3.2대에 찌길이 75정도 수심 2.5~3m에서 잉어 향어 채비로서 봉돌의 무게는 어느정도가 이상적일까요?
2.8대에 찌길이 70정도 수심 2.5~3m에서 잉어 향어 채비로서 봉돌의 무게는 어느정도가 이상적일까요?
정말로 궁금합니다 보통 고리봉돌 몇 호로 표시해도 좋고요 그람(g)으로 표시해도 좋읍니다
그리고 그정도가 왜 좋은지의 "이유"도 설명좀 해주시면 더욱 감사하구요
아직까지도 잘 풀리지 않는 숙제입니다
찌 길이와 봉돌 무게
-
- Hit : 7626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6
몸통에 모양과 부력정도에 따라서 봉돌에 크기가 정해지기에 부력이 높은 찌에 무거운 봉돌로 가감해서 이상적인
0점을 맞춰놓는게 좋을것이고 , 부력이 적은 찌에 가벼운 봉돌을 달아서 가감해서 이상적인 0점을 맞춰놓는게 좋을것입니다 .
어느정도에 찌길이에 봉돌무게가 이상적일까?라는건 정답이 없이 사용하는 이에 따라 다르다 보기에 풀리지 않는 숙제라고
생각하시는게 그때문일것입니다 .행어나 잉어 때에따라선 쭉 올려주는 입질도 있으나 대부분이 살짝 올라오는 입질이나
끌고 들어가는 입질형태를 보여주기도 합니다 .수심2~3m권에 낚시터라면 충분한 찌맛을 볼수있는 곳이라 찌에 길이를
길게 잡아서 사용해도 되겠으나 향어나 잉어에 입질 특성상 그 찌길이만큼 찌 맛을 다 볼수없는 상황이 될수도 있을터 4~6호정도 봉돌에 맞는,찌에 자력을 많이 깎아먹지않는 순부력을 떨어뜨리는 (자력)찌톱과다리에 상태라 함이 좋을것입니다 .
그정도에 호수에 봉돌에 무게라함은 둔탁하지도 너무 예민하지도 않은 찌맞춤으로보면 0점에 위치 표준에 위치가 아닌가 생각하구요 .부력이 많이 나가면서 봉돌에 무게도 무거워짐으로 찌와봉돌에 상호간에 비례하는 위치에 있겠지만 그래도 날렵하고 전반적으로 가벼워 입질후 수직오름에 모습을 보일때 거부감없이 이물감없이 찌에서 그 모습을 볼수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
너무가벼우면 중후한모습에 찌 모습을 보기 어려울것이고 ,향어,잉어만이 아닌 작은 물고기나 잡어들에 건드림에 피곤할수도 있다는것입니다. 상황에따라(여러가지 이유&낚시터)달라지는 낚시라서 똑같은 어종을 낚는다해도 그 채비와낚시방법은 여러가지에 모습으로 나타나수있어 이번질문에 답또한 명쾌답은 얻기 어려우실듯하네요 .
제가 쓰는 찌는 고리봉돌 5 ~ 6호 정도를 사용할 경우 찌올림이 상당히 좋습니다
너무 무겁거나 가벼우면 앞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3.2대에 저는 4호 고리봉돌! 사용하지만,,
수심이 2~3m 라면 고리봉돌 5,6호도 괜찮을 듯 싶습니다..
예전 초보때,,,,
낚시점에서 어르신들이 저의 채비를 보더니,,
"봉돌이 너무 무거워,,투척하면 봉돌이 붕어머리를 때리겠다"고 하시던 말씀이 생각납니다^^
그 뒤론, 봉돌을 되도록 가볍게 사용할려고 하고 있습니다..(가벼운 봉돌을 선호하는 개인취향^^)
가벼운것, 무거운것, 자꾸 던지다 보면 자신만의 취향(무게나 찌의 형태도,,)을 알게되는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