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점점 낚시할수잇는 시간이 점점 줄어드네요 다름이 아니고 찌랑주간캐미 달고 전자저울로 정확히 마추면 카본3호줄기준으로 예민한 민춤일까요? 0점 마춤 일까요?ㅎ 집에 전자저울이 잇길래 생각나서 물어봅니다ㅎㅎ 그리고 록시40대로 3그람찌 앞치기 잘 될까요?ㅎ 찌8개주문햇는데ㅎ 걱정이네요ㅎ 40대는 첨쓰는거라서ㅎ 다들 사구팔하세요ㅎ
전자 저울의 찌 무게는 봉돌 선별시 필요한 무게일뿐
부력 잡을시는 예외입니다
찌의 형태에 따라서 부력점을 어디에 잡는지가 판가름 합니다
예로 유선형 떡밥찌이고 찌 자체 무게중심점이 몸통 중앙이라면
찌탑 수면일치 부력 맞춤은 자연 침력이 많은 맞춤이고
찌탑이 수면하단부1cm 정도 위로 올라온 상태면 몸통중앙부 쪽 침력과 부력이 중간지점
찌탑이 수면위3ㅡ5cm정도위는 부력점이 몸통 상부쪽입니다
위형태의 입질반응은 수면일치 느긋한 올림 탑하단부1cm상위맞춤 좀빠르게 올라옴
3-5cm상위맞춤시 몸통ㅉ까지올림
개인취향에맞춰 선별하시길요
찌의 부력은 부력체의 재질(단위 부피당 밀도)에 따라서 각각 달라지죠
나무라면 오동나무와 발사나무의 부력차이가 상당한 것처럼 찌의 재질에 따라 부력은 각기 달라집니다
여기에서 찌의 무게는 단지 순수부력을 알아내기 위한 요소일 뿐입니다
( 순수부력 = 찌의 부력 - 찌의 자중 )
찌마춤을 집에서 하시려면 수조가 있어야 할것이며
찌마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장찌마춤 일것입니다
수조찌마춤이 아무리 정확하다 해도 현장의 물의 특성에 따라서 부력과 찌마춤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수조찌마춤은 기준보다 약간 무겁게 하신 후에 현장에 가서 그 물에 맞게 정확한 찌마춤을 새로 하셔야 합니다
민물이라고 해서 모두 같은 물이라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물의 염도, 탁도, 오염도 등등에 따라서 물의 비중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보통 순수한 물의 경우 비중이 1이라고 하지만 우리가 낚시 하는 하천이나 저수지 하우스 등등 현장의 물은 순수한 물이 아니겠지요
또한 바닷가 근처의 하천이나 저수지에는 염도가 높을수 있으며
계곡지나 강원도 근처의 저수지는 다른 저수지들 보다 수질이 깨끗하고 염도 또한 낮게 되므로
찌마춤은 현장에서 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아야 합니다
4칸대에 사용할 찌가 3그람이라고 하셨는데 초보자시라면 앞치기에 상당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겠네요
게다가 바람이라도 조금 불게 되면 더욱더 난감한 처지가 될거 같구요 ㅋㅋㅋㅋ
4.0칸대라면 5g 정도는 되야 초보자로써 무난히 앞치기가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물론 집어제를 엄지손톱 만하게 달아서 던진다면 상황은 조금 달라지겠지요 ^ㅠ^
부력 잡을시는 예외입니다
찌의 형태에 따라서 부력점을 어디에 잡는지가 판가름 합니다
예로 유선형 떡밥찌이고 찌 자체 무게중심점이 몸통 중앙이라면
찌탑 수면일치 부력 맞춤은 자연 침력이 많은 맞춤이고
찌탑이 수면하단부1cm 정도 위로 올라온 상태면 몸통중앙부 쪽 침력과 부력이 중간지점
찌탑이 수면위3ㅡ5cm정도위는 부력점이 몸통 상부쪽입니다
위형태의 입질반응은 수면일치 느긋한 올림 탑하단부1cm상위맞춤 좀빠르게 올라옴
3-5cm상위맞춤시 몸통ㅉ까지올림
개인취향에맞춰 선별하시길요
오타네요 찌탑하단부를 케미꼿이 하단부로 정정합니다
예민한 채비 아니면 대충 해도 별 문제는 없습니다~
그리고 카본 줄은 자체 무게가 있어 시간이 지나면 조금 가라 앉는 특징이 있으니 이점도 참고 하세요
봉돌이 바닥안착시는 찌 내려가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물론 5푼찌에 5푼봉돌이면 과정이 별로 중요하지는 않겠지요
유선형 막대형 찌 수조통 봉돌바닥은 부력점이 찌 몸통 중앙부를 기준으로볼때 찌다리쪽에
부력이 잡힌것이고 봉돌이 수조통 바닥에서 떠올라있다면 떠오른만큼
부력점이 찌 몸통 중앙부 쪽으로 이동해 있다고 보시면 좋을듯하네요
찌탑이 수조통 수면위로1/4정도 올라와도 바닥 떡밥용으론 지금 시기에는 무난하다고 봅니다
단 동물성 미끼 사용시는 수조 봉돌 바닥안착이 좋을것같네요
스넵도래역시 봉돌과 함께 부력잡으면 무난하다고 봅니다
설명이 부족한것같아 첨부하오니 참고하시고
4칸대 스윙또는 앞치기는 조사님의 조력에 달려있습니다
만약 한다 해도 찌의 부력과 자중 차이를 환산하고 봉돌도 같은 방법으로 환산해야 하며, 그렇게 해도 물의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부력측정은 그냥 물에서 하는 게 답입니다.
찌의 부력은 부력체의 재질(단위 부피당 밀도)에 따라서 각각 달라지죠
나무라면 오동나무와 발사나무의 부력차이가 상당한 것처럼 찌의 재질에 따라 부력은 각기 달라집니다
여기에서 찌의 무게는 단지 순수부력을 알아내기 위한 요소일 뿐입니다
( 순수부력 = 찌의 부력 - 찌의 자중 )
찌마춤을 집에서 하시려면 수조가 있어야 할것이며
찌마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장찌마춤 일것입니다
수조찌마춤이 아무리 정확하다 해도 현장의 물의 특성에 따라서 부력과 찌마춤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수조찌마춤은 기준보다 약간 무겁게 하신 후에 현장에 가서 그 물에 맞게 정확한 찌마춤을 새로 하셔야 합니다
민물이라고 해서 모두 같은 물이라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물의 염도, 탁도, 오염도 등등에 따라서 물의 비중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보통 순수한 물의 경우 비중이 1이라고 하지만 우리가 낚시 하는 하천이나 저수지 하우스 등등 현장의 물은 순수한 물이 아니겠지요
또한 바닷가 근처의 하천이나 저수지에는 염도가 높을수 있으며
계곡지나 강원도 근처의 저수지는 다른 저수지들 보다 수질이 깨끗하고 염도 또한 낮게 되므로
찌마춤은 현장에서 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아야 합니다
4칸대에 사용할 찌가 3그람이라고 하셨는데 초보자시라면 앞치기에 상당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겠네요
게다가 바람이라도 조금 불게 되면 더욱더 난감한 처지가 될거 같구요 ㅋㅋㅋㅋ
4.0칸대라면 5g 정도는 되야 초보자로써 무난히 앞치기가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물론 집어제를 엄지손톱 만하게 달아서 던진다면 상황은 조금 달라지겠지요 ^ㅠ^
바람을 가르며 잘갑니다~^^
난 무슨 말인지 몰겟네~
고기 한번 잡아보셨으먼 그 잡는 느낌대로 잡으면 되요~
여기서 전자저울이 왜 나오는지.~ ㅜㅜ
찌랑 캐미랑 셋트지 전자저울이 머죠?
전자 저울은 몸무게 체크할때 쓰는거 아닌가요 ㅜㅜ 먼 말 하는지 도통 이해가 안 되게 질문하네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