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수심 3메다 50에서 낚시를 하였는데. 유료 낚시터 찌 그람수 차이가 너무 심하네요 32대 원줄 1.5호 스위벨 0,5g 핀크립. 0 2g 본봉돌 3.2g 합3.9g 찌는 부력이 찌통에 3.5 g 발사찌.라고. 수심찿고 봉돌 가감 하는데 너무 가감 한다 싶어 약간 의심 했는데 ㅎ 찌는 잘올리고. 붕어도 잘나와서 낚시는 재밌게. 하고 왔는데. 집에 돌아와서. 봉돌 그람수 재봤더니 2.6 g. . 원줄 무게. 수앞등등 해도. 0,9g차이는 넘 심한거 아닌가요? 다른 32대 한쪽도 4.0g찌가 찌맞춤.봉돌보니 3.4g. ㅎ 0,6g차이 찌올림 좋았고 마릿수도 좋았습니다 둘다 찌맞춤. 케미딸각 평소 다른 찌들도 ?0,4/0,5 찌맞춤하면 차이가 있더라구요. 그런데 찌통 그람수 보다 0 6-0.9g 가벼운거는 문제가 있는거 아닌가요? 국내 가성비 좋은 찌 전문회사라서 10년이 넘게 이 회사 제품만 쓰고 있는데. 이번엔. 좀 심한거 같아서요 선후배님들 2019년 가정에 행복과 건강이 가득하시길 기원합니다
찌 부력차이?너무 심하네요.
-
- Hit : 7414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3
찌와 봉돌과의 단순비교로 부력이 몇그람 먹는지에 대한 표기입니다.
하지만, 현장에서 찌맞춤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봉돌 외에도, 원줄, 찌멈춤 고무, 각종 금속 도래, 찌고무, 채비메카니즘에 따라 목줄 내지는 바늘무게까지 다 포함되서 찌맞춤이 되게 되는데요.
그 상태에서 봉돌만을 빼서 무게를 달아보게 되면, 봉돌이외의 다른 채비 부속들의 무게는 뺀 상태이므로
일반적으로 표기되어 있는 찌부력보다 실질적으로 사용하는 봉돌무게가 적게 나오는게 인지상정입니다.
찌맞춤하고, 수압은 상관관계가 크게 없는 편입니다.
주로 찌맞춤 했을때의 수심하고, 실질적으로 낚시하는 포인트의 수심간의 격차로 차이를 보입니다.
나무 부위에 따라 무게가 다르게 나가는 것 같아요
저는 5그람대 20개사서 부력 맞추다보니
무게 적은거는 4그람대 많은 것은 6그람 대가 한두개 나오더라구요 ㅎㅎ
그나마 요즘 많이 나오는 라텍스나 나노 재질이 차이가 많이 안날껍니다.
원줄만 빼고. 찌고무.핀도래 스위벨.본봉돌 이렇게
무게를 측정해 보았는데. 이렇게 차이가 납니다
ㅜ 그렇다고. 원줄 모노 1.5. 찌멈춤고무 4개가
무거운건 아닐 건데요 .
그래서. 오늘 찌맟춤통 하나 구입해서. 확인좀 해볼까 합니다.
감사합니다
그래도. 제가 알기론.
대한민국에서 1~3번째로 유명한. 찌회사 인데
너무 차이가 나니가.황당해서요.
.초보님 올 한해도. 4짜.5짜 하시고
모든일이. 만사형통. 대박나세요!
발사찌 20 오동찌 20
소유중
수조통에 봉돌에 바늘달고
케미꽂이 상단에 맟추는데
찌부력차이 가관이네요 ㅋ
동일부력을 만들려면 재료 선정부터 같은 크기일 때 같은 무게가 나가는 것으로 골라야 합니다만, 현실적으로 그렇게 하기는 어려운 일이겠죠.
실제로 그렇게 치밀하게 계산해서 제작한다면 단가가 올라가게 될 테고요.
제 경우 찌통에 표시된것보다 0.4~0.5g정도 무게가 덜 나가더군요.
1.똑같은...
2.몸통 소재를 사용 해도...
3.부력이 각각 다릅니다.
4.동일부력에 가까운 찌를 (선별)해서 사용 하십시요.
제원도 참고용이라고
보시면됩니다
욕할필요도없구요
동일부력찌 지인분 15개정도 만드시는데
거의 찌300개정도 만드셨습니다
같은 자리에서 오늘과 다음날 낚시해도 부력 차이가 0.2~0.3 그램 차이 날때가 있지요(그건 기후탓도 있긴 마련이지요)
2019년 건강하시고. 4짜 5짜 하십시요
저야 언제나 평균조과에 만족하는데 말입니다.
여그서 평균조과란? 거의 꽝이라는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