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 집앞에 저수지가 있어서 시간날때 내려가서 낚시하는 허접 초보입니다.
물려받은 낚시대도 있고 낚시도 재밌고 해서 집에 찌맞춤통까지 준비해놓고 가기전에 준비를 하곤 하는데
가끔씩 봉돌을 깍다가 ;; 아주 조금깎아야 하는데 실수로 많이 깎아 거짓말 조금 보태서 흑인만큼 쑥 올라오는 경우가 너무 많습니다;;
한숨 푹 쉬고 다시 깎다가 보니 오링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게됐는데;
인터넷 검색 실력도 허접인지 관련 내용을 못찾겠습니다
원줄+찌멈춤고무+유통찌+찌멈춤고무+봉돌+바늘 이렇게 쓰고잇는데요
오링을 달려면 어떤 순서로 하는건지 주의해야될 것은 없는지 설명좀 부탁드리겠습니다 ㅠ
초보 살려 주세요!!!!
-
- Hit : 4873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4
그 핀도래에 봉돌, O링 넣습니다.
저두 윗분들과 같이
핀도래에 오링이나
조개봉돌을 목줄에 물려 부력을 맞추기도 하고
원줄에 물려 맞추기도 합니다 ^^
질문 하나만 더 할게요!! 핀도래도 봉돌처럼 사이즈가 있을텐데 어느정도 크기 사용해야 하나요?
면도사절하면?? 털본가요? ㅋㅋ
먼저 제가 사용하고있는 채비방법을 소개할께요^^
걍~참고만 하세요
초릿대에 원줄을 매고 그 밑으로 멈춤고무2개->유동찌고무->멈춤고무3개(장찌에 고부력이라 챔질시 밑에있는멈춤고무가흘러내리
는걸방지하기위해서 무식하게3개)->핀도래(몇호인지는 모름 걍 낚시점에서 이정도면 무난하겠다 생각되는걸로했음)
**팀** 핀도래는 원줄의 맨 마지막에 있는 도구로서 이때 나한테 맞는 줄의 길이를 선택해야 합니다. 좀더 멀리 던지자 하면
길게. 낚시를 편하고 쉽게 하고자 하면 3.2대 기준으로 30cm 정도 짦게맵니다.
계속해서 핀도래->위코프 편납홀더 (위코프편납홀더 설명: 위에는 핀도래에 끼겠끔 원형의 고리가있고.아래에도 바늘을 끼거나
분활채비를 위해서 더 연결할수있게끔 원형의 고리가 있다. 제가 쓰고있는 편납홀더는 나사형으로 편납이 차지하는 비율이 70%이며
나머지 윗 공간은 나사를 풀어서 그 속에 오링을 너어 오링가감을 할수있게 한 홀더입니다. 이때 오링은 위코프것만 호환이
됩니다. 나름 간결하고 저에게는 다름 제품보다 유용해서 이것으로 사용합니다)
계속해서 편납홀더->목줄->바늘 탈 부착이 가능한 편납홀더->목줄->바늘.
ㅋㅋㅋ 다 설명하고보니까 채비가 복잡하네요^^
분활봉돌을 사용하니까 편납홀더가 2개 가 들어 가네요. 참고로 요즘 찌맞춤할때 바늘빼고하는게 대세입니다.
그래서 바늘위에 있는 편납홀더는 바늘 탈 부착이 편한(이 홀더 이름을 몰라서 이렇게 적습니다^^. 내림이나. 증층하시는
분들은 머를 말하는지 한번에 알겠지만)홀더를 씁니다. 이런모양의 홀더는 위코프 말고도 많이 나옵니다. 될수있으면
위코프꺼 말고 다른제품사용하세요. 왜야면 위에서 오링가감형(이것도 명칭을 몰라 이렇게 표기합니다 ㅋㅋ) 편납홀더를
위코프제품을 강조해서 아마도 많은 조사님들께서 제가 위코프 홍보대사로 오해하시는 분들도 계셨을 것 같아서^^
아참!! 그러고 막약에 그 홀더 사용하실려면 편납은 위코프꺼 비추입니다. 편동?? 인가 먼가 하는 위코프 편납있는데요
이거 무게 안나가서 감아도 감아도 찌가 나라앉질안네요. 홀더는 강추하는데요. 편납은 많이 비추합니다.
편하신대로 하시면 됩니다..
미세조정은 오링으로 핀도래에 +- 하시면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