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초짜 찌맞춤 여쭤봅니다~~

바늘달고 찌맞춤할때 바늘이 바닥에 닿았는지 봉돌이 바닥에 닿은 건지 어떻게 구분하나요? 이해가 안됩니다ㅜㅜ 찌맞춤할때 캐미달고 수면에 일치하면 그냥합니다ㅋ

군계X학 싸이트가시면 찌맞춤동영상있어요..
굳이 스위밸채비가 아니여도 이해를 돕는데편하게 가르쳐주고있어요 ㅎㅎ
질문수정요ㅎ
찌맞춤하고 던졌을때 봉동이 바닥에 닿았는지 바늘이 바닥에 닿았는지 어떻게 아나요? 질문이 바보갔나요ㅜㅜ
확인이 필요하다면 바늘을 제거하고 던져보면 됩니다. 수심을 맞출 때 1마디를 노출했다면, 바늘을 빼고 던져서 비슷한 높이가 노출되면 봉돌이 닿은 것입니다.
그런 의심이 없게 하시려면 수심을 맞출 때 찌톱이 충분히 올라오게 찌를 쭉 올린 다음 원하는 만큼 노출될 때까지 조금씩 내리면서 맞추시면 됩니다.
아주 예민한 찌맞춤은 목줄이 봉돌을 떠받쳐서 자칫 봉돌이 뜰 수 있습니다. 그런 상황에 찌를 올리면서 수심을 맞추면 봉돌이 뜬 상태로 낚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시계님... 군계.가서 공부하겠습니다.
화무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조금 번거롭더라도 확실한 방법이네요^^
수조통에넣어서보심되요 줄하고찌길이다해서 수조 넣어보세요 한두속세목나오고 추는바닥에데여있어요
본능님 ...수조통에선 찌맞춤만해봤는데 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본봉돌을 항상 바닥에 붙여서 낚시하시려면,
현장찌맞춤시 캐미를 포함한 전체채비에서 목줄과 바늘(미끼포함)를 뺀 채비로 찌맞춤하시구요.
목줄과 바늘을 달고나서 낚시하실때 찌맞춤시 노출되었던 찌높이보다 조금이라도 높으면 본봉돌이 항상 닿아 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만약에 목줄과 바늘까지 단채로 찌맞춤을 한후에 본봉돌을 바닥에 붙여서 낚시하시려면,
찌맞춤시 침력으로 작용하던 목줄과 바늘무게를 수면으로 내놓는 찌톱의 무게로 상쇄시켜(눌러) 줘야,
비로소 본봉돌이 바닥에 닿기 때문에 찌맞춤 당시에 0점높이에서 얼마만큼의 양을 더 수면위로 내놓아야
되는지 계산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면, 본봉돌이 바닥에 닿았는지 어쨌는지 가늠하기가 어렵습니다.
(그차이는 목줄과 바늘의 비중과 수중무게나 찌톱의 굵기에 따라 많이 다릅니다.
무거운 큰바늘을 쓸수록, 찌톱이 가는 것을 쓸수록 그 격차는 크게 벌어집니다.)
본봉돌이 바닥에서 뜬채로 구사하는 옥내림 같은 경우도 목줄과 바늘을 다 달고 찌맞춤 하는 이유가 이때문이죠.

본봉돌을 바닥에 항상 붙여서 낚시하시려면,
현장찌맞춤 할때 본봉돌 아래의 채비(목줄과 바늘(미끼포함)은 배재시키고, 찌맞춤 하신다음에 찌맞춤 높이보다 아주 조금만 더 내놓고 낚시하시면 항상 본봉돌은 바닥에 닿아있는 상태라고 생각하시고 낚시하시면 됩니다.
스모그님.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이론상으론 저도 봉돌만달고 하면 된다고 생각했는데 귀찮아서 바늘달아놓은 상태에서 간단하게 아는 방법이 궁금해 올려봤습니다. 역시 월척님들은 모르는 게 없으신듯 ㅎㅎ
캐미 바늘 빼고 수평 맞춤하시고 풀로 장착하고 낚시하시면 자동으로 살짝 무거운 맞춤이됩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