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자 분에게는 미안한 말이지만 의미없는 질문 입니다. 당연히 자기채비가 좋다고 하겠지요. 현존하는 모든 채비를 사용해보지 않은 사람들이 다른 채비에 대하여 어떻게 평가할 수 있다는 말입니까? 분명한건 더 나은채비가 있다는 거죠. 그리고 채비 못지않게 낚시전체를 운용할 수 있는 실력이 따라가야 합니다. 최고의 도구를 쥐어주고 최상의 방법을 가르쳐준다고 다 잘할 수 있습니까? 최고의 채비라... 어떤 채비든 소화할 수 있는 최고의 실력이 최고의 채비라고 생각합니다.
최고의 채비는 포인트 선정이고 그다음은 그곳낚시터에서 잘듣는 미끼선정 채비선정입니다 ,,너무 채비가 예민하면 ,,,헛챕질이 많고 너무 무거우면 입질 이 별루 없고
그상황에 잘맞는 채비 미끼 선정 을 할수있는 결단력이죠,,,,,그래서 채비를 해서 오는 것보다 가져가서 직접 하는 겁니다 ,,
노지에서는 캐미머리가 살짝나오도록 부력을 잡습니다.
찌노출 목수는 1~2마디(요거이 사람 잡습니다. 조력(실전경험)의 차이를 확연히 알수있습니다.)
유료터에서는 캐미꽂이가 완전히 보이도록 부력을 잡습니다.
찌노출 목수는 2~3마디(이거는 완존히사람 잡습니다. 얼마나 노출시키느냐에 따라서 조과와 입질패턴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해서 저는 일단 3마디 부터 노출 시키고 밑밥질5번 해서 입질 형태를 보면서 찌노출목수를 1센티싞(ㅠ.ㅠ) 조정합니다.
한참 조절하다보면 입질횟수와 후킹(아오시) 확률이 확 좋아지는 구간이 나옵니다.
그때부터 본격적인 낚시를 합니다.
그런데 1~2시간정도 지나면 뭔가 안 맞는다는 느낌이 옵니다.
그럼 처음으로 가서 부력체크하고 다시...... (ㅠ.ㅠ)
있다하면 낚시꾼 뻥입니다,,
수시로 변하는 붕어입에 최고의 채비는 없습니다,,,
낚시꾼이 현재 쓰는 채비가 늘 현재의 최고채비입니다,,, 물론 내 생각입니다,,,
최고보단 최선을...
그위가 나만의 만족,즉 힐링이라 합니다
낚시에서는 최고의 포인트를 찾는게 우선인듯 합니다.
But....
아직 본인의 채비를 정하지 못했다면
모든 채비의 기본인 원봉돌쌍바늘 추천 합니다
찌마춤은. 전통 수평찌맞춤, 부력은 6호내외의 유동채비
기본에 충실 하다보면
물속 붕어의 움직임,예신,본신,챔질 타이밍,씨알의 크기, 잡고기유무, 활성도 파악 등이 가능해지고
더불어 이 채비를 바탕으로 응용도가능해질 뿐더러
다른 채비들의 매커니즘을 이해하기에도 좋습니다
외바늘을 쓰면 대물 채비가되고
가볍게 찌맞춤 하여 목줄을 길게 쓰면
내림채비(얼레채비)가 되고
캐미에 줄잡이만 끼우면 뽕채비가 되고
봉돌위에 멈춤고무만 끼우면 가지채비가되고..
이렇게 기본을 쓰다가
어느정도 변화의 욕심이 생길때,
옥내림 , 해결사, 올킬등의 채비를 추천드립니다
채비를 바꾼다고
구지어 봉돌이나,원줄등을 새로 구입 할게 아니고
기존 있는것으로 대체 해도 충분 하다고
생각됩니다
채비에서 가장 중요 한것은
간결함!~ 입니다
붕어낚시 최고의 조과를 보여준 채빕니다
아~~다시 멍텅구리로 가야하나?
외바늘 이라 뜰채에서 깨끗하게 처리되지요
이름하여 boongss채비라합니다.^^^
그리고 윗분이 말씀하신대로 채비는 단순하게 하시고 포인트선정이 최고중 최고입니다
포인트 좋은 곳에서 떡밥질 잘하고, 찌는 대충맞춤해도 잘올라옵니다
스웨벨이니 뭐니 하는 거 골아퍼요, 안배워도 됩니다
내가하고 있는 채비 입니다.
자기 채비에 자신감을 같고 하시면 됩니다
듣자고 글올리진 않았을텐데
글쓴사람도 그정도는 알고있겠죠
그건 당연한 얘기니까요
원봉돌이 그나마 제일 나을거에요
스위벨이 무난할겁니다
뭐 이런말을 해야지
자기에게 맞는 채비가...
이런 당연한소리는 쯧쯧
돌맹이로 채비해도 올려줄놈은 올려준다는
어른들말있자나요
낚시 입문 했을 때 만큼의 그 것이 없어 그런지 요즘 저의 조황은 영~....
모든 면에서, 절대적으로 최고라고 단정 할 수 있는 채비는 없습니다.
낚시스타일과 현장에 맞게
그때 그때 가장 적합한 채비를 쓰는 게 좋습니다.
그이후 상황에 맞는 채비적용하면 좋을듯 합니다.
고집보다는 그때 그때마마의 문제점을 알고가는게 좋겠습니다.
악조황에도 분명 낚아내는 사람이 있을테니 말입니다.
감사합니다.
그것도 재미 있던걸요
ㅈㅏ기채비에대한
" 믿음 " 아닐까요?^^*
얼레벌레 아무거나 던지믄 물어예 ㅎㅎ
그럼 그 채비가 질문사신 분에게 최고의 채비일겁니다.
전 그냥 유동봉돌에 목줄을 좀 길게한 퐁당채비를 사용합니다.^^
시시각각 변화하는 물속 상황을 면밀히 관찰하고 채비변화와 포인트 선정에 게을리 하지 않으면..
상대적으로(주위 같이 낚으시는 분들보다) 조과가 좋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몇년후 다시 원봉돌도 돌아오시는 선배 조사님들을 많이 보게 되더라구요..
다만, 입질을했을때 놓치지않고 챔질할수있는 열정과 동물적감각으로 입질타임을 가름할수있는 집중력 !!!!
이것이 경험에서나오는 노하우입니다
더이상 무슨 말이 필요합니까?
원봉돌 외바늘채비 제일 무난합니다
이걸로하세요
그상황에 잘맞는 채비 미끼 선정 을 할수있는 결단력이죠,,,,,그래서 채비를 해서 오는 것보다 가져가서 직접 하는 겁니다 ,,
20년째 오로지 초지일관 풍덩채비로
앞으로 쭈욱 사짜 할때까지 풍 덩~
지금까지 사짜는 상면을 못했지만
그래도 낚시는 즐겁습니다
내 집에서도 쓰레기 아무데나 버리나요??
꼭 되가져 옵니다
우리는 지성인 입니다
원봉돌에 목줄12센티 로 해서 바늘까지달고,
노지에서는 캐미머리가 살짝나오도록 부력을 잡습니다.
찌노출 목수는 1~2마디(요거이 사람 잡습니다. 조력(실전경험)의 차이를 확연히 알수있습니다.)
유료터에서는 캐미꽂이가 완전히 보이도록 부력을 잡습니다.
찌노출 목수는 2~3마디(이거는 완존히사람 잡습니다. 얼마나 노출시키느냐에 따라서 조과와 입질패턴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해서 저는 일단 3마디 부터 노출 시키고 밑밥질5번 해서 입질 형태를 보면서 찌노출목수를 1센티싞(ㅠ.ㅠ) 조정합니다.
한참 조절하다보면 입질횟수와 후킹(아오시) 확률이 확 좋아지는 구간이 나옵니다.
그때부터 본격적인 낚시를 합니다.
그런데 1~2시간정도 지나면 뭔가 안 맞는다는 느낌이 옵니다.
그럼 처음으로 가서 부력체크하고 다시...... (ㅠ.ㅠ)
그렇게 한두번 하다보면 집에 갈시간~
이상 허접한 채비법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