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나름 가벼운 채비를 쓰는지라 세미플로팅 라인을 사용합니다.
노지지만 1.5~2호 정도 쓰는데요
제 지인은 카본라인을 쓰시는데, 그 이유가 세미나 모노라인은 잘 흐르기때문이라고 하시더군요
만약 물이 흐른다면 물이 수면 위에 떠있든 가라앉아 있든 흐르는건 마찬가지 아닐까요?
가만 생각해보니 잘 이해가 안가서..
저는 나름 가벼운 채비를 쓰는지라 세미플로팅 라인을 사용합니다.
노지지만 1.5~2호 정도 쓰는데요
제 지인은 카본라인을 쓰시는데, 그 이유가 세미나 모노라인은 잘 흐르기때문이라고 하시더군요
만약 물이 흐른다면 물이 수면 위에 떠있든 가라앉아 있든 흐르는건 마찬가지 아닐까요?
가만 생각해보니 잘 이해가 안가서..
그것보다는 바람이 많이 불 때 물위에 떠 있는 원줄들 상황을 상상하시면 맞을 것 같습니다.
대류나 유속에 있어서 카본이 유리한지가 확신이 안서서 질문드린건데
물위에 떠있는 부유물에 걸리는 문제는 생각을 못했습니다.
오름수위 생각하면 되는군요..
댓글 감사드립니다..
제 경우 원줄이 뜨는 현상이 저수지에 마다 다릅니다 며칠전에 수심70정도 였는데 유난이 원줄이 흘렀습니다
풀캐스팅이라 찌와 원줄이 거의 일자인데 보통은 서너차례 물먹이고 나면 잘 침수 되는데 뒷줄정리를 다른날보다 더 쳐박고 했는데도 안되는 저수지가 있었습니다 생각해보니 저수심일때 잘 안되는것 같았습니다
새줄일때 유분이 있어서 그런건 아닙니다
채비할때 주방세제 희석하여 두차례 닦습니다
잘 깔아않는 세미줄로 다른 회사제품도 써 볼까 합니다
안양초보님 말씀처럼 부유물이 있는 경우는 떠있는 원줄때문에 더 흐를수 있겠다 싶은데..
그게 아니라면.. 아직은 조금 혼란스럽습니다^^
조류가 강하거나 바닥 낚시에서 유리한 반면
세미플로팅 라인은 부력이 있어 물 속에서의 움직임이 자연스러워 잔잔한 물에서 사용하기 적합합니다.
이해 안되는 부분은 억지로 따라하지는 마세요.
"세미나 모노라인은 잘 흐르기 때문"
"만약, 물이 흐른다면 물이 수면 위에 떠있든 가라앉아 있든 흐르는 건 마찬가지 아닐까요?"
물이라는 유체속에서 흐름저항값에 관련하는
"전제 조건"이 없기 때문에
두 분의 이야기는 서로 다른 말이지만,
전부 틀린 이야기도 아니며, 둘중 한분의 이야기가 맞는 말도 아닙니다.
"전제 조건"을 간략히 말씀드리자면
유체저항은
라인이 받아내는 "유속이 항상 동일하다"와 "라인은 물속에 가라 앉아 있다"는 기본 전제 하에
라인의 재료(카본이든 나일론이든)와는 상관없이
유체저항을 많이 받는 라인의 굵기(즉, 호수가 몇호인지가 중요)가 매우 중요하며,
편성된 낚시대 칸수에 따라 유체저항을 많이 받는 라인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유속이 있는 유체속에서의 유체저항의 크기는
라인의 굵기와 사용되는 라인의 길이에 따라서 결정되는 중요한 "전제조건"입니다.
라인의 재료는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오히려 무거운 카본 원줄을 쓰면, 바닥을 짚고 있는 봉돌(닻)의 크기 즉. 무게만 작아지죠.
원줄이 수중에 잠기지 않고 표면에 떠서 물결에 영향으로 흘러다닌다(이동한다) 쯤으로 이해하시면 될 듯 합니다.
따라서 수면에 부유물이 있는 경우 작은 물체라고 해도 원줄에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수면 보다는 수중에 부유물이 있을 확률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보아야 합니다.
물론 줄자체에 유분등이 많은 경우 표면장력에 따라 원줄이 수면에 떠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마 지인께서는 좀 가라앉는 줄의 특성을 이야기 한 것으로 보입니다.
장점은 찌의 부력에 영향을 덜주며 옥내림 같은 기법을 구사할때 수심에 따른 무게편차를
줄일수있어서 카본줄보단 쎄미줄 쎄미보다는
모노를 사용합니다
고맙습니다
찌 부력은 2g미만으로 사용하며 32칸 찌만 2.6g으로 사용합니다(주력이 32칸 미만)
카본 3호줄로 시작해서 현 세미 1.5까지,내려왔네요
채비에도 밸런스 란게 있는데 예민한 낚시를 한다고 하셨으니
찌 또한 고부력으로 사용하시지는 않으실것 같네요
예를들자면 카본 3호줄을 사용하면서
2g미만의 찌를 사용하면 낮은수심의 경우 찌와 낚시대 사이 뒷줄이 제법 되는데
이길이의 뒷줄이 누르는 무게가
생각보다 크게 작용하여 시원한 찌올림의 횟수가 줄더라구요
다른예로 모노3호줄에 2g미만의 찌를 사용하여 낚시를 할때도
깊은 수심에서는 찌와 봉돌사이의 라인의 부력이 예민하게 맞추어논
찌맞춤에 영향을 주어 자칫 봉돌이 바닦에서 살짝 부상하게 되어
제대로된 입질 표현을 보기가 어려운 경우도 여러번 겪었습니다
찌맞춤에 최대한 영향을 덜주며 물보다 너무 가볍지도,너무 무겁지도
그렇다고 너무 약하지도 않은 줄이 저에겐 세미 1.5입니다
유속이 살짜기 있는 곳에서도 라인만 잘 가라앉힌다면 굻은호수 보다는 현저히
덜 흐르는걸 느꼈으며
모노줄이 흐른다는건 뒷줄을 가라않히지 않으면 바람의 영향도 당연히 받지만
수면에 흐르는 보이지 않은 갖가지 부유물의 영향을 많이 받게되어
찌가 이리 저리 다니는 현상이 발생되게 됩니다
더욱이 라인이 수면위에 떠있게 된다면 많은 부분 간과 하시는게 물의 표면장력도 같이 받게 되어
수중에 있을때 보다 더 큰 영향을 받게 됩니다
이상 과학적으로 밝혀지지 않은 저의 순수 경험담 입니다
사람들은 자신이 믿고 싶어 하는 것만 믿는다는 결론을 얻었기에
더 이상 이론적인 설명이나 설득은 필요 없는 것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