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현장 찌맞춤이라는게 개념이안섭니다

일단 수조통 찌맞춤을하구요 노지가서 현장찌맞춤을하는데 찌높이 조절 수심체크완료 50cm내려서 던져 찌가 가라않는지 보고 내려가면 깍고 다시 던져 맞는지확인 맞으면 아까 그수심맞춰논곳으로 찌이동 바늘달고 낚시시작 이게맞나요? 수심이 총 50cm도 안되면 봉돌쪽으로 그냥 찌를 밀면되는건가요?

저도 님처럼 하는데~~~
수조찌맞춤을 하다보니
오늘다르고 낼 다르고 하더군요
현장찌맞춤이 최고인듯 싶네요
저는 평균 1미터정도수심에서
같은방법으로 찌맞춤합니다. 수심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워낙 미세하여 신경안쓰셔도될듯합니다.
저도 수조맞춤도하고 현장맞춤도 합니다만

수조에서 맞출여유가 없으면 생략하고 바로 현장맞춤을 하기도 하구요

제가 수조맞춤을 하는 이유는 어디까지나 현장에서 납을 깍는 시간과 깍아내는 납의 양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 입니다.

적어도 1미터 이상되는 곳에서 맞춰두시면 노지낚시는 크게 지장이 없습니다.

손맛터 같은데 가셔서 맞추는것도 괜찮은 방법입니다. 대략 2미터권 나오니까요

현장찌맞춤을 하실때에는 가급적이면 바람도 안불고 수면도 잔잔할때 맞추세요(대략 새벽이나 이른아침에 맞추시면 됩니다.)
현장에서 찌마춤 하는것은 한번더 확인하는것이죠...
사람인지라 100%확신이 안서기 때문아닐까요?
모든 분들이 현장에서 한두번 정도 찌마춤하시고... 쭉 사용들 하시더군요...
현장찌맞춤은 가능한 낚시 조건과 동일한 환경에서 찌를 맞추기 위함입니다.
기계적으로 순서를 외우시기 보다는 찌맞춤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1. 봉돌이 확실하게 바닥에 안착될 수 있도록 찌를 노출한 상태로 수심체크
합니다.(예 : 수조맞춤 시 캐미 전부노출인 경우 3마디 이상 노출 등)

2. 찌 길이 이상으로 내린 후 찌를 맞춥니다. 이때 원줄 무게 등이 충분히
반영되면서, 부력체크를 위해 봉돌이 바닥에 뜰 수 있도록 적당히 내려야 합
니다. 이후 봉돌을 깍거나 와셔, 쇠링 등을 가감하여 캐미반, 캐미전부, 반
마디 등으로 찌를 맞춥니다.

3. 1번에서 맞춰놓은 수심으로 찌를 올리고, 찌노출을 봉돌이 바닥에 안착
되도록 조정한 후 바늘끼고 낚시 시작합니다. 쇠링을 가감하거나, 찌노출
조정 등이 있겠습니다.

4. 498이 걸립니다.
본문대로라면 수조나 현장이나 큰차이가 없을것 같습니다 전 같은방법으로 현장에서 찌를 반마디나 한마디 올라오게 마이너스 맞춤 한후 쇠링을 상황에 따라 한두개 달고 낚시 합니다 극도로 예민한 채비져 ㅎㅎ
맞게 하신듯합니다
수심 3m가 넘지 않으시면 그냥 쓰셔도 무난할듯합니다
버릇처럼 현장가시면 찌맞춤한번씩 하고 하시는게 제일 좋을듯합니다
윗분들 말씀대로라면 前週에 했던 채비에서 바늘을 빼고 찌톱 한마디 맞춤하고 나서 다시 바늘을 단다는거 같은데 한두대 편성도 아니고 찌맞춤에 너무 시간소모가 많은거 아닐까요? 전 전주채비그대로 (바늘 매단채로) 찌를 봉돌가까이 내려 찌톱끝에서 맞춤 하고 수심체크후 낚시시작하는데 제가 틀린건가요? 바늘무게하고 찌톱한마디부력하고 비슷하지 않을까요? 가르침 바랍니다
현장찌마춤 별 의미 없습니다.

수조와 현장찌마춤의 차이에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게 원줄의 무게 입니다.
수심이 깊으냐 낮으냐가 찌마춤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주는건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고 다만 수직으로 서있는 원줄의 길이가 얼마나 되냐가 더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현장찌마춤해도 낚시대 끝을 물위로 들어올리느냐 물속에 두냐에 따라 또 틀리게 됩니다.
원줄이 얼마나 휘어 있냐에 따라 찌에 영향을 다르게 준다는 말입니다.

물위로 들어올리는 분은 매번 낚시 갈 때 마다 항상 일정한 물과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습니까?
끝을 물속에 집어 넣는 분도 마찬가지 입니다.

그런건 전부 무시할 정도의 미미한 영향이라 보시면 됩니다.

다만...아주 무거운 줄을 사용할 때는 현장마춤이 수조마춤과 어느정도 차이가 나는지
한번 체크해 보시는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붕어낚시는................붕어가 어디에 있는지 파악하는 게 90% 이상의 비중으로 중요합니다.
채비의 밸런스는 당연 원줄 원줄 무게 포함입니다 대개는 수조찌맞춤 해서 가면은 현장에선 채비가 무겁습니다
그 이유는 수조의 찌맞춤은 깨끗한 수질로 인해서 물의 밀도가 높아서 찌를 밀어 올려서
찌의 부력이 높아지는데 물이 혼탁한 현장에서는 밀도가 낮아 덜밀어올려서(수압이낮아)
무겁게 표출됩니다 그래서 현장 찌맞춤이 필요한것입니다
물론 예민한 채비가 필요치않은 활성도가 높은 조건이라면 굳이 필요 없습니다만은
그게 아니라면은 현장 찌맞춤은 반드시 집고 넘어가야할 문제인것 같습니다
동절기시 조금만 무거워도 입질해도 하루종일 말뚝이라고 말씀하시고 올정도로요
농갈라묵자님 말씀은 절대 틀린말씀이라 뭐라... 다만 맞는말일때란 이럴때는 상관이 없습니다. 즉, 붕어 활성도가 좋아 아무렇게해도 찌를 잘 올려줄때... 이때는 현장찌맞춤이 아니라 엄청무겁게 찌맞춤을 해도 붕어 잘 잡을수 있습니다. 다만 우리가 찌맞춤을 하는 이유는 입질이 예민할때(활성도가 나쁠때) 어떻게 하면 붕어를 잡아볼까? 해서 하는 것이지요...ㅎㅎ

그아래 별이빛나는밤에님 말씀은 절대 맞는 말씀이라... 추천 꾸욱!~~~ 합니다.

그리고 윗분들 대부분 맞는 말씀인데 하나 빠진게 있어 말씀드립니다.

물깊이를 알게 되었다면 찌톱부터 바늘까지 길이만큼을 뺀 나머지(최소한)를 찌를 조정(봉돌쪽으로내려야겠지요)하셔서 반드시 찌맞춤을 해야한다는 겁니다. 이것은 물수압때문인데 입질이 예민할때는 엄청난 장애가 되기 때문임을 명심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수조통찌맞춤보다는 현장찌맞춤이 무겁다는 건 정도입니다. 그러니 반드시 현장찌맞춤을 다시금 하시면 되겠습니다.
한가지만 더 말씀드리면 활성도가 좋을때는 아무렇게 찌맞춤을 해도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다만 활성도가 좋지 않아 붕어들이 깰짝되는 예민하다면 이놈의 찌맞춤을 얼마나 잘 했냐에 따라 그날의 붕어조과가 하늘과 땅차이가 된다는 사실만 아시고 낚시를 하시면 될것입니다. 그리고 정도는 없긴한데 저놈보다 내가 더 얼마나 찌맞춤을 더 많이 했냐에 따라서 낚시는 잘 하고 못하고가 판단된다는 신념을 가지고 저는 낚시를 하고 있고 지금도 수시로 찌맞춤을 수조통에서도 하고 있고 현장에서도 여러각도로 찌맞춤을 하고 있답니다. 그럼 찌맞춤의 정의가 내려지실때까지 무한 노력하시고 언제나 즐낚하시기 바랍니다. 휴가 잘 보내세요...^^
윗분들의찌맞춤에전부동감이갑니다. 허지만제생각에는 찌맞춤에있어서 수조통에서
케미빼고 찌톱이상단까지 나오게마춤다음 케미를찌톱에끼었을때 서서히내려가 지톱고무와케미만나오게합니다.
그상태에서 바늘무게 찌톱한메디반에서 두메디나오게하고 원줄무게한메디반정도 예상 총세메디반정도나온상태로
현장에돌입합니다. 헌데문제는 수심이깊은4m터이상되는곳은 제가맞춘찌가가벼움을알수있고 1m 이하수심에서는 무거움을 알수있었읍니다
그래서수조통에서찌맞춤은 예비상태준비일뿐이지확실한찌맞춤이아니라믿습니다.현장에가서찌를검색해보면완연히느낌니다.
전 이렇게 합니다.


1. 찌를 선택할때 단품 하나를 선택. 모든 낚시대에 적용

(봉돌의 호수 통일. 원하는 찌의 사이즈에 깍을 필요없는 봉돌의 호수가 있다면 럭키!)


2. 1의 요건만 갖추어도 수조에서 맞춤할일이 없어집니다.

(심지어는 원줄이 터져 채비를 다시 매어야하는 상황이 와도 찌마춤 건너뛰고 그냥 던져넣기도 합니다.)


3. 수심 및 계절별 물의 온도에 따른 부력의 변화 및 봉돌 무게의 변화는 원줄과 봉돌을 이어주는 작은 핀도래에

핀도래 하나를 더 껴넣어 대응합니다.



낚시를 하면서 확실히 깨달은건

이 찌마춤이라는건 기본중에 기본이고.

현장에 맞는 미끼의 운용 < 포인트의 선별 < 그 날 고기의 마음 <br/>
이라능 ^^: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