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 전체 길이에서 찌몸통(부력중심축)에서 윗부분를 상부, 아랫부분을 하부라 했을때
아랫부분 길이가 길수록 자립능력이 좋습니다.
흐름이 있는 경우 찌가 흐름을 타고 입질로 오해할 정도로 기우는 경우가 많은데
찌몸통이 찌중앙부에 가까운 다루마형이 자립능력이 좋은편입니다.
그 다루마형중에서도 찌몸통이 공모양에 가깝게 뭉뚝하기보다는 약간 길쭉하게(슬림하게) 되어 있는 것이 흐름에 대해 저항이 좀 더 강한편입니다.
수면위로 찌톱을 많이 내놓고 하는 아주 예민한 낚시의 경우 이 노출된 찌톱이 바람을 타고, 찌가 기우는 경우가 많은데
이 찌 하체가 긴 편인 다루마형이 자립능력이 좋아서 안정성이 좋습니다.
그런 부분에서 떡밥찌하면 바로 다루마형찌에 찌톱이 가늘게 디자인된 찌를 연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강낚시만 하면서 흐르는 물에서 찌를 세우려고 많은 고민을 했습니다. 찌의 형태는 약한 유속에선 다루마형태나 유선형(헤라형)이 직립성이 좋습니다. 그보다 빠른 유속에서 찌를 세워서 하기에 좋은 낚시가 빨낚시(중통낚시, 외통낚시)입니다. 찌를 세울 수 없는 빠른 유속에선 끝보기 낚시를 합니다. 끝보기조차 힘든 빠른 유속에선 청태나 수초, 각종 부유물이 떠내려와 채비에 걸리기 때문에 자리를 옮기던가 낚시를 포기해야 합니다.
물에 흐름도 적당이 있어야 찌를 세울수 있습니다.
보통 강에서 물에 흐름이 있다면 포기 하시는게 정신 건강에 좋습니다.
그래도 도전을 해보고 싶다면 다루마형찌에 중통 채비를 해보세요 근데 중통채비는 빠는 입질이라
찌를 끌고 들어가는 입질을 볼수 있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약간의 물 흐름이 있는 곳에서 비교적 안정적입니다
측면 단면적이 작을수록 측면으로 흐르는 물의 압력을 적게 받는 원리고요
수심이 앝을수록 유속이 빨라지므로
찌다리가 좀 짧을수록 찌의 몸통이 깊이있어서 유속의 영향을 적게 받습니다
아랫부분 길이가 길수록 자립능력이 좋습니다.
흐름이 있는 경우 찌가 흐름을 타고 입질로 오해할 정도로 기우는 경우가 많은데
찌몸통이 찌중앙부에 가까운 다루마형이 자립능력이 좋은편입니다.
그 다루마형중에서도 찌몸통이 공모양에 가깝게 뭉뚝하기보다는 약간 길쭉하게(슬림하게) 되어 있는 것이 흐름에 대해 저항이 좀 더 강한편입니다.
수면위로 찌톱을 많이 내놓고 하는 아주 예민한 낚시의 경우 이 노출된 찌톱이 바람을 타고, 찌가 기우는 경우가 많은데
이 찌 하체가 긴 편인 다루마형이 자립능력이 좋아서 안정성이 좋습니다.
그런 부분에서 떡밥찌하면 바로 다루마형찌에 찌톱이 가늘게 디자인된 찌를 연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르쳐주신 님들께 어복이 충만하시기를 ....
부력이 좀나가면 그런데로
바로스지만 심하게 흐르는곳은 그래도 누워요~^^
막대형태의 찌는 상대적으로 표면적이 넓어 물속에서 유속에 저항이 크기 때문에 잘 흐릅니다..
대물찌처럼 무게중심이 아래쪽에 있는찌는 거의 드러눕더라구요 ㅋ
보통 강에서 물에 흐름이 있다면 포기 하시는게 정신 건강에 좋습니다.
그래도 도전을 해보고 싶다면 다루마형찌에 중통 채비를 해보세요 근데 중통채비는 빠는 입질이라
찌를 끌고 들어가는 입질을 볼수 있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