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간단한 질문 한가지 하겠습니다

수조 에서 찌 봉돌 케미 수평 맞춤시 현장 에서 낚시 할때 원줄 무게로 인하여 호수가 높은 원줄이 무겁게 작용 하는데요 그럼 찌맞춤이 무겁게 되는 건가요 가볍게 되는건가요 수초낚시 에서도 수초를 뚫고 봉돌이 바닥에 내려 갈수 있는건가요 새우 참붕어 사용과 잔챙이 입질시 찌가 꿈뻑꿈뻑 움직이나요

시험 문제 인가요?

아니면 알고 싶으신건가요?

그도 저도 아니면 월척회원님들 실력 테스트 하시는건가요?
제가 잘몰라서 질문 한겁니다
찌맞춤 어땋게 해야 할지도 모르고 해서요
제질문이 맞다면 찌맞춤 저렇게 할려고 합니다
민물꾼님 같은 질문을 계속 반복하시고
저를 비롯하여 많은 분들이 길고 짧은 글들로 설명을 드렸는데
아직 이해가 안가시는건지요?

글로 이해가 안가시면 많은 조언에 따라 직접해보시는게 속편하고 빠릅니다.
찌 마춤에는 정답이 없습니다.
아무리 예민하게 해도 고기들이 더 예민하면 깔짝일뿐 올리지 않고요
돌멩이를 달아서 던져도 고기가 배가 고파 미칠 지경이면 찌를 눕힐 정도로 올리기도합니다

찌마춤에 너무 빠져들지 마세요

수조에서 원줄이니 침력이니 부력이니 이런거 따지지 마시고
주간캐미까지 꽂고 주간캐미 전부 노출 될 정도로 마춘 후에 현장에서 그냥 낚시하면 됩니다.

수초지대에 채비가 뚫고 내려가고 못내려가고는 얼마나 큰봉돌을 사용하는가와 얼마나 쪄들어 있냐의 차이입니다.
제 생각에 님은 지금 상황에서는 쪄들어 있는 수초대 공략은 안하시는게 좋고, 일단은 그냥 맹탕 부터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수초지대로 원줄이 전혀 물에 닿지 않을정도로 길게 뻗은 수초대는 공략이 어렵습니다. 경험은 많은 사람들도 그런 곳을 공략할때는 봉돌이 원하는 지점을 찍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초보자들은 당연히 봉돌이 내려갔는지. 바닥을 찍었는지 의문이 들수밖에 없고, 의문이 들고 자기 채비를 믿지 못한다면 이미 그 포인터는 공략에 실패한겁니다.
발앞은 수초가 없고 반대로 반대쪽은 수초를 공략할수 있는 그런 포인터를 가세요

새우나 참붕어 낚시는 잔챙이를 걸러내고 대물을 잡기위한 하나의 수단일뿐, 잔챙이라고해서 그런 미끼에 꿈벅이기만 하는것도 아니고 5~6치 되는 녀석들도 참붕어 먹고 찌 잘 올리는 날도 있고, 4짜 대물도 생미끼에 찌 시원하게 못올리고 한시간이 넘도록 꿈뻑이기만 하는 녀석도 있습니다. 특정 미끼. 특정 마춤에 어떤 표현의 찌올림이 나타날것이라고는 아무도 단정 지을수 없을정도로 다양하고 환경과 조건, 시간에 따라 절대 동일 하지 않는 방식으로 나타납니다.

그냥 수조 마춤하고 채비 믿고 미끼 잘 달고 던져 놓은세요

대물낚시에 얽매이지 말고 실력을 늘린다는 생각으로하세요. 걷지도 못하는데 날려고 하십니까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