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계곡지가 터가 센 이유..

계곡지가 평지지에 비해 수초가 잘 자라지 않고 맹탕인데가 많은것이, 일조량이 부족한 부분도 있지만 ph(수소이온농도)가 알칼리성에 가까워서라고 생각하는데요..  붕어는 적응을 잘해서 생존이야 하겠지만, 약산성과 약알칼리성 중간단계인 중성의 수질에서 번식이 잘 이뤄지는걸로 알고있습니다.  해서 수초가 잘 자라지않는 약알칼리성 이상의 계곡지는 번식이 잘 이뤄지지않는 만큼 게체수가 적은게 아닐까요..?  흔히 말하는 터가 센 낚시터라는 것이 입맛 까다롭고 성깔 까칠한 붕어가 사는게 아니라 개체수가 평지지에 비해 현저히 적은건 아닐까하는 추측을 해 봅니다..


계곡지는 수온이 낮고 프랑크톤(먹이) 가 적기 때문입니다..
그라다보니 믈이 맑고 깨끗하여 계곡지 붕어는 잡아보면 황금빛이 돌지요..
계곡지도 낚시 잘되는곳 많습니다..
계곡지의

특성은

수위변화가 커서

붕어의 경계가

남다를듯.
수온이 낮아서 플랑크톤의 서식이 어려운지 물색도 대부분 맑다는 느낌입니다.
계곡지 한방터가 개체수가 적은 건
당연 팩트겠지요.

아래 원인으로 나름 추정합니다.

1. 저수온, 부영양화가 덜 된 맑은
물색(저 BOD) 으로 인한 먹이부족.
2. 배스 등 외래종 유입.
3. 수달 등 상위 포식군 번식 등.
붕어는 혈액형이 뭘 까요 선격 까칠한 애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