꽝을 몇번 쳤더니,,
스위벨이나 얼레채비를 몇대 해야되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스위벨 채비를 생각하다가,
문득, 좀 황당한 생각이 듭니다.
스위벨 채비에서,
위 아래, 봉돌 단차를 10~15cm 정도로 준다고 할때,
붕어가 미끼를 흡입하려고 하면,
붕어 눈앞에 떠 있는 본봉돌을 보고 경계심이 무척 심해지지 않을까?하는 ㅋㅋ
또는,
붕어가 흡입하며 들어 올릴때,
본봉돌이 따라 움직이는 것을 보고,
깜짝 놀라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드네요..
혹시, 이런 황당한 생각 해보신분 계세요? ㅎㅎ
조과가 더 좋아요.
상관없습니다
안될때는 둘다 안되요
잘 될 때는 풍덩채비에도 허리급 쏟아지고
안 될 때는 뭘 해도 안 됩니다.
이유는 생략...
어느날 붕어가 입질하다가 갑자기 불빛이 바껴서 놀라면
어쩌지 하는 생각을 한적이 있읍니다. ㅎㅎ
열심히 생긱하십시요~~
목줄길이 감안해서 올리고 내리고 합니다.
목줄 8~9센치 스위벨 본봉돌 거리 15~16센치
목줄 15센치 전후 스위벨 본봉돌 거리 0~10센치
원봉돌 외바늘 체비로 돌아왔네요
옥내림대
대물대
가방 두개 챙겨 다녔네요
붕어를 인간의 관점에서 보면 안되요~^^;
그냥 붕어입니다
미끼가 있음 먹고...
수온변화나 천적이 있음 안먹고....
입에 넣었는데 껄끄러우면 뱉고....
또 넣었다가 뱉고....
그냥 먹을뿐입니다~
바닥상태나 활성도에 따라 찌의 표현이 달라질뿐~
꽝때문에 예민한 채비에 관심이 있으신것 같은데요~
기본적으로 토종터 기준 요즘같은 시기엔 큰차이 없습니다 꽝친날 붕어가 어떤 이유로 활성도가 떨어져서 일겁니다
이맘때 예민한 채비는 여간 불편한게 아닙니다
수초나 장애물 때문에 바닥을 찍기가 힘들고...
잔챙이 입질에 들쑥날쑥 찌가 춤을 춥니다~
생각해보니,
봄 가을도 아니고,
이 더운 여름에 예민한 채비를?
하는 생각도 들긴 합니다.,
대류현상으로 찌가 떠오르고,
살치가 춤을 추는 그런 상상이 되기도 합니다. ㅋ
그래도,
사용하지 않던 3호 모노줄도 있고,
잘못 구매한 카멜레온유동봉돌도 있고 해서,,,
크게 돈 들이지 않을 것 같아서,
각각 두대씩만 채비해볼 생각입니다.
요 몇일 전국에 많은 비가 내렸습니다.
여건이 허락하는 그런 좋은 곳에서 즐거운 시간 갖길 기원합니다.
쓸데없는 상상에 관심 가져준 많은 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윗봉돌에 놀란다하더래도 금방 머지 이럴겁니다.
오직 본능에만 충실히 살아가는 것 같습니다.
낚시꾼으로서는 그 본능과 습성을 최대한 파악하고 공략하는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사람의 욕심이 커질수록 더!더!더! 복잡 해 지고...
붕어처럼 단순히 살 수 있는 세상이면 좋겠습니다.
기본기를 착실히 다지고 계시네요~
하지만, 계속 생각에 생각을 하다 보면, 정신 건강에 매우 안 좋습니다.
어느 정도 과학적 상식을 잘 적용해 보면, 보다 더 즐거운 낚시가 되는 것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만,
너무 깊게 생각하시면 재미도 있지만 어느 순간 현타 심하게 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