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긍금해서 질의 드려 봅니다.
간단하게 필요한 물건은 만들어서 쓸려고 하는데..
조구사에서 판매하는 제품의 단순 자재비 비율이 얼마인지 궁금하네요..(노무비랑 경비등 제외)
각 물품별로 다르겠지만.. 어느정도 할까요??
낚시대 / 의자 / 파라솔 / 발판or좌대..등등
답변 주시분들께 감사합니다.
업태별로 원가의 구조가 많이금 틀리겠지만 낚시용품이 너무 가격이 과하지 않는가 해서요.
물론 노무비(또는 가공비)비율이 높은 구조도 있을테지만...
생산원가를 고려하지 않고 비싼게 잘팔린다는 심정으로 책정을 하시는지...
그리고 할인은 많게는 50% 까지 하는거 보면... 재고 처분도 아닐텐데요..
그냥 제가 호구인것 같아서요 ^.^;; 그냥 호구가 맞겠죠??
순재료비는 공산품 17ㅡ30% 정도
요식업은 30%내외 일겁니다
모든업이 거의가 비슷합니다
조구업체만의 문제가 아니고 모든 산업전반이 다 그렇습니다
인건비,개발비,홍보비,재고비율,금융비용,형식승인비용,기타고정비,세금 등등을 전부 포함하고
이익분을 더하면 소비가인데
카본필름의 경우 생물은 아니지만,
수축율 때문에 일정기간 안에 재단해서 소비해야 하고 무한으로 방치가 불가한 관계로
낚시대의 경우 한 디자인을 만들 때 해당 필름을 전량을 소진하고 다른 필름으로 또 다른 낚시대를 재작하므로 현실적으로 소량 생산이 불가능합니다
이와 같이 재작 쪽에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비용부담 부분도 상당합니다
발판...
1.( 1000 - 1200)의 발판의 가격이 500.000원
2.직접 만들었을때...
3.재료:스테인레스. 멈춤버튼 기타.등등
4.( 170.000)원 정도...
5.(알루미늄)보다 더 훨씬 더 튼튼하고 오래 사용할 수 있습니다.
6.무게: 약간 더 무겁지만 큰 차이는 없습니다.
7.(발판)은...만들어서 사용하십시요.
8.튼튼하고.비용도 3분의 1입니다.
9.(각도기)도 만들어서 사용 하십시요.
10.(각도기)는...3만 - 5만 원이면...원하는 제품이 나옵니다.
11.(가방스텐드)...몇 천 원이며 됩니다.
주가 가공은 아니지만..회사에서 가공쪽도 처리하다보니..
제가 못하거나 작업 효율적인 부분은 현장 반장님께 일정의 수수료를 지불하고 자작하고 있습니다.
자재는 제가 사야 되는데..
소량으로 사더라도 기성제품의 약 30% 정도? 수준이거나.. 10%도 안되는 경우도 종종 있었습니다.
(단, 10% 미만대의 재료비가 들어가면.. 가공비 20~30% 가량? 나옴 )
계실지 모르겠습니다만,
대부분 자작비용이 더 나옵니다.
도구와 기술이 있다는 가정하에 인건비 제외하면
저렴하겠지만요.
제조업쪽에 계시는걸로 아는데 ,,,,
제조업 순수 자재비 소비자값기준 20-30 % 안넘습니다
모든 생산원가 포함해서도 40-50 % 안넘구요...
물론 품목에 차이는 있겠지만 낚시대 40 % 세일해서 파는거보면 알수있지요...
업태별로 원가의 구조가 많이금 틀리겠지만 낚시용품이 너무 가격이 과하지 않는가 해서요.
물론 노무비(또는 가공비)비율이 높은 구조도 있을테지만...
생산원가를 고려하지 않고 비싼게 잘팔린다는 심정으로 책정을 하시는지...
그리고 할인은 많게는 50% 까지 하는거 보면... 재고 처분도 아닐텐데요..
그냥 제가 호구인것 같아서요 ^.^;; 그냥 호구가 맞겠죠??
기성품 그가격이 그대로 다나옵니다.
필요한 자재가 어디 입맛에 맞게 소량구입이 가능할까요.
최소량 구입을 한다하더라도 구입 비용이 만만치 않을겁니다.
자작이 그나마 단순한 발판이나 좌대도 재료비만 50%이상 나올거에요
지금하시는 업이 비슷한 업종이라면 모를까
공구부터 본인의 인건비 등등
그냥 맘편히 기성품으로 구매하심이 정신건강에 좋을겁니다.
요식업은 30%내외 일겁니다
모든업이 거의가 비슷합니다
조구업체만의 문제가 아니고 모든 산업전반이 다 그렇습니다
인건비,개발비,홍보비,재고비율,금융비용,형식승인비용,기타고정비,세금 등등을 전부 포함하고
이익분을 더하면 소비가인데
카본필름의 경우 생물은 아니지만,
수축율 때문에 일정기간 안에 재단해서 소비해야 하고 무한으로 방치가 불가한 관계로
낚시대의 경우 한 디자인을 만들 때 해당 필름을 전량을 소진하고 다른 필름으로 또 다른 낚시대를 재작하므로 현실적으로 소량 생산이 불가능합니다
이와 같이 재작 쪽에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비용부담 부분도 상당합니다
민물 낚시용품 시장... 뭐 대단한것처럼 보이지만 ...아무것도 아닙니다...
솔직이 한달에 몆개나 팔것 같습니까...
시장이 적다보니 결국 다품종 소생산이고 생산원가가 비쌉니다.....
어쩔수없는 현실이지요.....
찌 이쁜게 있길레 물어보니 .. 이번에 중국에서 십만개 만들었다네요...
과연 찌공방 하시는분들과 제조원가가 비교나 될까요....
1.( 1000 - 1200)의 발판의 가격이 500.000원
2.직접 만들었을때...
3.재료:스테인레스. 멈춤버튼 기타.등등
4.( 170.000)원 정도...
5.(알루미늄)보다 더 훨씬 더 튼튼하고 오래 사용할 수 있습니다.
6.무게: 약간 더 무겁지만 큰 차이는 없습니다.
7.(발판)은...만들어서 사용하십시요.
8.튼튼하고.비용도 3분의 1입니다.
9.(각도기)도 만들어서 사용 하십시요.
10.(각도기)는...3만 - 5만 원이면...원하는 제품이 나옵니다.
11.(가방스텐드)...몇 천 원이며 됩니다.
하지만 ...
그저 부럽울뿐 입니다
통 손재주가 ...
올해초 부러진 루어 로드 를 가지고 손잡이도 있겠다. ? 바늘빼기나 만들어 보자..생각했다..
밤에 혼자 심심해서 칼이 불어지면서 손가락 검지 엄지 32발은 꼬맵습니다. ...
새벽에 혼자 수건 싸매고 택시타고 응급실로 ㅠㅠ
응급실 병원비 20만원인가.. 또 3주동안 2-3일에 한번씩 소독에..
바늘빼기 7천원짜리 만들려다.. 공구를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전문가가 샘플 제작한거지.. 그게 무슨 디아이와이일까요??
그래도 멋진 작품 기대 하겠습니다.
제가 못하거나 작업 효율적인 부분은 현장 반장님께 일정의 수수료를 지불하고 자작하고 있습니다.
자재는 제가 사야 되는데..
소량으로 사더라도 기성제품의 약 30% 정도? 수준이거나.. 10%도 안되는 경우도 종종 있었습니다.
(단, 10% 미만대의 재료비가 들어가면.. 가공비 20~30% 가량? 나옴 )
그냥 제 입맞에 맞춰 만드는게 좋은것 같아서요..
못쓰는 절번 6~7번대정도 있으면 아무나 만들어써도 됩니다 ㅎㅎ
잘 나가네요. 요즈음 그것으로 사용하는데 기성품이나 별 차이 없더군요...
물론 외관은 좀 허접하지만 그런것을 5만원씩이나 투자해야 된다니 씁쓸 하더군요
자재비는 10~20% 정도 일겁니다.
나머진 인건비.경비.유통비.이윤. 등등 이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