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동채비 옥내림 검색을 좀하다보니 원줄 ( 카본 모노)차이 뿐 채비도는 같은데
그렇다면 1) 옥내림 세마디 맞춤 낚시를 하다 캐미고무 까지 잠길만큼 무게를 더해서 낚시를 하면 동동채비 가 되는건가요??
2)그리고 동동채비 9호봉돌 정도의 고부력도 가능한가요??
3) 동동채비 목줄길이를 짧게 5cm 정도로 매고 낚시하면 입질이 어떻게 나오는지 해보신분 계신가요??
옥내림을 몇대 운영을 해봤는데 마리수나 입질형태 시원해서 좋긴한데 목줄 가라앉히지 너무 귀찮고 힘들어서 카본줄 사용 사능한 동동채비로 채비
를 변화를 하려고 알아보는데 너무나도 비슷한 채비도 때문에 약간 헷갈리네요~
나름 옥내림할때 내림이란 글자가 붙어서 무조건 내리기만 할줄 알았는데 찌를 멋지게 올리고 쭉빨려들어가니 찌오름도 보고 좋았는데
찌가 너무 짧아 아쉬움도 좀 있고~
두가지 다 구사하시는 선배님 고견좀 들려주십시오~~
동동채비 옥내림 다 구사 하시는분 질문좀요~
-
- Hit : 2456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6
동동채비의 핵심은 바닥 안착시 '살짝'입니다.
아주 미묘한 건데요. 공부 좀 하셔야 합니다.
옥내림은 내림 채비 - 마이너스 찌마춤(3목이던 4목이던)을 근간으로 하고
동동채비 = 옥내림 채비에 올림 찌마춤
이라고 간단히 생각하시고 접근 하시면 많은 의문이 쉽게 풀릴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예를 들면
옥내림 세마디 맞춤 낚시를 하다 캐미고무 까지 잠길만큼 무게를
더해서 낚시를 하면 동동채비 가 되는건가요??
여기에 대한 답은 옥내림 채비에 편납이던 오링이던 무게를
더하여 영점찌마춤까지 한다면 올림 입질을 볼 수 있습니다.
(동동채비 설명의 경우 많이 어렵게 설명하셨는데..
캐미 1/2마디 정도의 찌마춤 정도로 쉽게 접근 하시고)
고부력 저부력은 기본적으로
고부력은 고기가 이물감을 많이 느낀다. 원거리 투척이 쉽다.
수초지대등 채비 내림이 가능하다. 바람에 강하다.
저부력은 고기가 이물감을 많이 덜 느낀다,원거리 투척이 어렵다.
수초지대에 채비내림이 어렵다. 바람,대류현상에 약하다.
긴 목줄 = 고기가 편안하게 먹는다. 작은 입질은 어신이 전달되지 않는다.
짧은 목줄 = 이물감을 많이 느낀다. 작은입질도 찌로 전달된다.
이런 정도로 접근하시면 모든 채비에 대한 접근이 쉬워 질것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중 동동채비에 목줄길이를 짧게 쓴다면 어떤 현상이
나올까요?
작은 입질도 찌에 전달 되지만 이물감때문에 찌의 유동폭을 작을
수 있으므로 짧은 입질에 챔질을 하면 되겠지요.
나머지 부문은(예를 들면 유동봉돌에 폭을 준다등) 전체적인 관점에서
작은 부문이오니...참고적인 부문으로 활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 한 때 옥내림을 선호하다가..
수로낚시,말풀지대,목줄꼬임등의 단점과 귀찮니즘 때문에..
옥내림 채비에 약간의 변형을 하여 그때 그때 상황에 따라
변형을 주어 사용합니다.
여기서 변형이란 좁살봉돌과 짜투리 편납을 이용하여 가감하고
어떤미끼를 쓰느냐,고기의 입질형태가 어떠냐에 따라 목줄을 가감하고
노지 낚시시 중층에서 부터 바닥까지 상황에 맞게 대응합니다.
기존적인 원리를 생각해보시고.. 여러가지 채비를 참고 하시면
쉽게 접근이 가능하리라 봅니다.
위의 기본적인 전제는 개인의 경험에 따른 개인적인 의견이오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1) 안됩니다.
2) 가능하지안을겁니다.
3) 올림 입질이 나옵니다.
답변을 원하셔서 답을 달긴 하였으나 윗분들의 설명이 사실더 타당합니다.
스위벨 안쓰고 분할봉돌쓰면 스위벨 채비인가요?
분납 아랫봉돌에 4호봉돌 쓰면 스위벨 효과를 보나요? 같은 질문 을 하신걸로 보입니다.
옥수수로 내림낚시하면 옥내림.
채비가 무거워도 붕어가 이물감 덜느끼고 찌가 찌가동동거려야 동동채비의 원함 아닐까요?
사족을 달자면 수십가지의 붕어낚시 채비에서 사용자가 어떤 필요에 의해 채비의 부분을 바꾼다면 이미 그채비는 님만의 것이 되는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주제넘은 답변을 올립니다.
이미 강좌란이나 지식란에 언급이 많이 되던 부문으로서
그냥 지나가려다 채비에서 원론적인 부문을
조금생각해보면 질문에 도움이 될 것 같아 댓글을 드렸건만....
어머나~~광고글?? 에효~~ ㅠㅠ
옥같은 시간을 쪼개어 답글을 올렸건만
원치않는 답변을 드린 것 같아 댓글을 삭제하려다
土龍5짜님의 댓글이 이상해 질 것 같아 그냥 둡니다.
이방원님이 말씀하신 동동채비 요약하면
1. 목줄길이 : 20cm~ 30cm까지 사용,단차는 최하 5cm
-> 옥내림과 같음
2. 편납홀더가 원줄에서 유동을 줌
-> 옥내림도 개인취향에 따라 유동을 줌
3. 원줄 : 카본원줄
-> 옥내림 나일론
4. 찌 : 막대형찌,장대를 치는 경우 고부력 찌맞춤
-> 옥내림과 같음
5. 찌맞춤 0 점 찌마춤에서 좀더 예미하게
-> 올림찌 마춤
6.챔질 :생미끼 사용시 찌가 동동동 거릴때 챔질
-> 올림 낚시시 당연함
이미 님이 하신 질문에 모두 답을 하였다고 생각하지만
굳이 질문에 답을 달라고 하시니
1) 안됩니다.
옥내림에서 원줄을 카본으로 바꾸셔야지 동동채비
아닌가요? 찌마춤은 이방원님께서 하라는 되로
그대로 하시고요
2) 가능합니다.
동동채비에서 부력을 명시하지 않았으므로 9호봉돌가능합니다.
3) 입질은 동동거릴수도 있고 그렇치 않을 수 있습니다.
5cm 짧게 쓰면 통상적으로 목줄을 길게 쓸데보다 입질폭이 작으나
바닥상태 ,고기의 활성도등 환경에 따라 틀립니다.
이미 고수인분께서 머 이런 질문을...ㅠㅠ
낚시 초보자가 소견 올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