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물낚시 찌 입수시 뒤뚱거림 현상 같은찌종류만 뒤뚱거리네요 고수님들 시원한 답좀해주세요 ^^
목록 이전 다음 민물낚시 찌 입수시 뒤뚱거림 현상 ㅉl만보면잠ㅇl아이디로 검색25-10-10Hit : 3656 본문+댓글추천 : 9댓글 13 공유 인쇄 신고 네이버 밴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https://www.wolchuck.co.kr/커뮤니티/자유게시판/민물낚시-찌-입수시-뒤뚱거림-현상 URL 복사 민물낚시 찌 입수시 뒤뚱거림 현상 같은찌종류만 뒤뚱거리네요 고수님들 시원한 답좀해주세요 ^^ 추천 1 하드락아이디로 검색 25-10-10 10:35 뒤뚱거림이 찌가 원줄을 타고 앞으로 끌려오면서 입수하는 모습일까요? 찌몸통의 모양이나 찌에 관한 부연설명이 있다면 더 많은 정보를 교환할수있겠네요. 추천 0 신고 뒤뚱거림이 찌가 원줄을 타고 앞으로 끌려오면서 입수하는 모습일까요? 찌몸통의 모양이나 찌에 관한 부연설명이 있다면 더 많은 정보를 교환할수있겠네요. 부처핸섬아이디로 검색 25-10-10 13:34 찌 스토퍼 유동을 안주시면 됩니다 추천 1 신고 찌 스토퍼 유동을 안주시면 됩니다 ss3302아이디로 검색 25-10-10 15:08 유동폭을 최대한 줄이는것도 방법입니다.. 구멍이 큰 찌홀더(찌고무?)를 써도 그런 현상이 나아질거 같습니다^^ 추천 0 신고 유동폭을 최대한 줄이는것도 방법입니다.. 구멍이 큰 찌홀더(찌고무?)를 써도 그런 현상이 나아질거 같습니다^^ 어인魚人아이디로 검색 25-10-10 17:18 찌 유동으로 사용시 그렇게 오다가 서쥬~~ 추천 2 신고 찌 유동으로 사용시 그렇게 오다가 서쥬~~ ㅉl만보면잠ㅇl아이디로 검색 25-10-10 17:23 여로모로 도움이 많이되었습니다 답글주신님들 감사합니다 ^^ 추천 0 신고 여로모로 도움이 많이되었습니다 답글주신님들 감사합니다 ^^ 머여어아이디로 검색 25-10-11 22:46 오우~~~~ 여기에 낚시 도사 님 이 많으시구나. 유동찌를 사용하는데 궁뎅이 큰 아줌마 걸어가는것 같은 찌 입수도 그냥 그런가 보다~~~ 했는데. 대단 하십니다. 추천 1 신고 오우~~~~ 여기에 낚시 도사 님 이 많으시구나. 유동찌를 사용하는데 궁뎅이 큰 아줌마 걸어가는것 같은 찌 입수도 그냥 그런가 보다~~~ 했는데. 대단 하십니다. S모그아이디로 검색 25-10-13 12:53 대개, 유동찌 홀더 때문에 발생하지만. 찌다리 길이에 비해 찌톱의 길이가 과하게 큰 찌가 (자립력 부족으로) 더욱 그러기 쉽습니다. (찌부력 대비, 찌톱길이를 최대한 길게 몰빵한 찌) 추천 1 신고 대개, 유동찌 홀더 때문에 발생하지만. 찌다리 길이에 비해 찌톱의 길이가 과하게 큰 찌가 (자립력 부족으로) 더욱 그러기 쉽습니다. (찌부력 대비, 찌톱길이를 최대한 길게 몰빵한 찌) 웃는아이아이디로 검색 25-10-13 13:38 유동찌홀더와 비유동찌 사용시 착지 오차가 큰가요??? 지금까지 유동찌홀더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의문이 생기네요??? 고수님들 알려주세요^^ 추천 0 신고 유동찌홀더와 비유동찌 사용시 착지 오차가 큰가요??? 지금까지 유동찌홀더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의문이 생기네요??? 고수님들 알려주세요^^ 봄비의향기아이디로 검색 25-10-13 15:36 찌의 밸런스가 맞지 않으면 그럴 수 있습니다. 찌 다리에 편납을 조금 감으시면 괜찮아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찌를 비유동으로 하면 찌와 채비를 거의 같은 지점에 던지는 기술을 익히실 수 있습니다. 조금 시간이 걸리기는 합니다만... 유동찌면 봉돌이 떨어지고 찌가 서서히 끌려가기 때문에 찌와 채비가 사선이 될 수 있습니다. 조과 차이는... 모르겠습니다. 추천 3 신고 찌의 밸런스가 맞지 않으면 그럴 수 있습니다. 찌 다리에 편납을 조금 감으시면 괜찮아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찌를 비유동으로 하면 찌와 채비를 거의 같은 지점에 던지는 기술을 익히실 수 있습니다. 조금 시간이 걸리기는 합니다만... 유동찌면 봉돌이 떨어지고 찌가 서서히 끌려가기 때문에 찌와 채비가 사선이 될 수 있습니다. 조과 차이는... 모르겠습니다. ㅉl만보면잠ㅇl아이디로 검색 25-10-13 20:08 네 고수님들 답변 감사합니다`~하나씩 문제를풀어 보겟습니다 ^^ 추천 0 신고 네 고수님들 답변 감사합니다`~하나씩 문제를풀어 보겟습니다 ^^ 기타릭아이디로 검색 25-10-14 16:03 물론 찌의 불량이나 뭐 그런 부분의 의문을 품고 작성하셨지않았나 싶습니다만 여러가지 이유들이 있겠으나 원줄과 유동찌고무의 밸런스를 우선 생각해보시면 어떨까요? 원줄은 굵은데 찌고무의 구멍크기가 너무 작아서일 경우도 있습니다 그 다음은 찌맞춤을 좀 더 예민하게 잘 맞추시면 어떨지요? 혹은 더 무겁게 맞추시던지요? 추천 0 신고 물론 찌의 불량이나 뭐 그런 부분의 의문을 품고 작성하셨지않았나 싶습니다만 여러가지 이유들이 있겠으나 원줄과 유동찌고무의 밸런스를 우선 생각해보시면 어떨까요? 원줄은 굵은데 찌고무의 구멍크기가 너무 작아서일 경우도 있습니다 그 다음은 찌맞춤을 좀 더 예민하게 잘 맞추시면 어떨지요? 혹은 더 무겁게 맞추시던지요? 수수찌아이디로 검색 25-10-15 16:01 뒤뚱거리는 찌 입수 ? 현장에서 캐미고무와 사용하는 캐미 무게가 변수 입니다. 보통 무거운 캐미를 사용할때 많이 발생 합니다. 이러면 찌오름도 낮고 조과도 별로 입니다. 캐미고무와 캐미를 탈착한후 상부 톱을 1CM씩 자르고 캐미를 끼우는 방법으로 계속 1CM씩 찌톱을 자르다 보면 ~~~ 뒤뚱거리지 않을때가 정답 입니다. 추천 0 신고 뒤뚱거리는 찌 입수 ? 현장에서 캐미고무와 사용하는 캐미 무게가 변수 입니다. 보통 무거운 캐미를 사용할때 많이 발생 합니다. 이러면 찌오름도 낮고 조과도 별로 입니다. 캐미고무와 캐미를 탈착한후 상부 톱을 1CM씩 자르고 캐미를 끼우는 방법으로 계속 1CM씩 찌톱을 자르다 보면 ~~~ 뒤뚱거리지 않을때가 정답 입니다. ㅉl만보면잠ㅇl아이디로 검색 25-10-15 22:05 답변주신 조사님여러분 감사드립니다`~ 추천 0 신고 답변주신 조사님여러분 감사드립니다`~ 목록 이전 다음 하단에 목록보기
하드락아이디로 검색 25-10-10 10:35 뒤뚱거림이 찌가 원줄을 타고 앞으로 끌려오면서 입수하는 모습일까요? 찌몸통의 모양이나 찌에 관한 부연설명이 있다면 더 많은 정보를 교환할수있겠네요.
머여어아이디로 검색 25-10-11 22:46 오우~~~~ 여기에 낚시 도사 님 이 많으시구나. 유동찌를 사용하는데 궁뎅이 큰 아줌마 걸어가는것 같은 찌 입수도 그냥 그런가 보다~~~ 했는데. 대단 하십니다.
S모그아이디로 검색 25-10-13 12:53 대개, 유동찌 홀더 때문에 발생하지만. 찌다리 길이에 비해 찌톱의 길이가 과하게 큰 찌가 (자립력 부족으로) 더욱 그러기 쉽습니다. (찌부력 대비, 찌톱길이를 최대한 길게 몰빵한 찌)
웃는아이아이디로 검색 25-10-13 13:38 유동찌홀더와 비유동찌 사용시 착지 오차가 큰가요??? 지금까지 유동찌홀더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의문이 생기네요??? 고수님들 알려주세요^^
봄비의향기아이디로 검색 25-10-13 15:36 찌의 밸런스가 맞지 않으면 그럴 수 있습니다. 찌 다리에 편납을 조금 감으시면 괜찮아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찌를 비유동으로 하면 찌와 채비를 거의 같은 지점에 던지는 기술을 익히실 수 있습니다. 조금 시간이 걸리기는 합니다만... 유동찌면 봉돌이 떨어지고 찌가 서서히 끌려가기 때문에 찌와 채비가 사선이 될 수 있습니다. 조과 차이는... 모르겠습니다.
기타릭아이디로 검색 25-10-14 16:03 물론 찌의 불량이나 뭐 그런 부분의 의문을 품고 작성하셨지않았나 싶습니다만 여러가지 이유들이 있겠으나 원줄과 유동찌고무의 밸런스를 우선 생각해보시면 어떨까요? 원줄은 굵은데 찌고무의 구멍크기가 너무 작아서일 경우도 있습니다 그 다음은 찌맞춤을 좀 더 예민하게 잘 맞추시면 어떨지요? 혹은 더 무겁게 맞추시던지요?
수수찌아이디로 검색 25-10-15 16:01 뒤뚱거리는 찌 입수 ? 현장에서 캐미고무와 사용하는 캐미 무게가 변수 입니다. 보통 무거운 캐미를 사용할때 많이 발생 합니다. 이러면 찌오름도 낮고 조과도 별로 입니다. 캐미고무와 캐미를 탈착한후 상부 톱을 1CM씩 자르고 캐미를 끼우는 방법으로 계속 1CM씩 찌톱을 자르다 보면 ~~~ 뒤뚱거리지 않을때가 정답 입니다.
찌가
원줄을 타고
앞으로 끌려오면서
입수하는 모습일까요?
찌몸통의 모양이나
찌에 관한 부연설명이
있다면 더 많은
정보를 교환할수있겠네요.
구멍이 큰 찌홀더(찌고무?)를 써도 그런 현상이 나아질거 같습니다^^
답글주신님들 감사합니다 ^^
여기에 낚시 도사 님 이 많으시구나.
유동찌를 사용하는데
궁뎅이 큰 아줌마 걸어가는것 같은 찌 입수도
그냥 그런가 보다~~~ 했는데.
대단 하십니다.
찌다리 길이에 비해 찌톱의 길이가 과하게 큰 찌가 (자립력 부족으로) 더욱 그러기 쉽습니다.
(찌부력 대비, 찌톱길이를 최대한 길게 몰빵한 찌)
지금까지 유동찌홀더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의문이 생기네요???
고수님들 알려주세요^^
찌를 비유동으로 하면 찌와 채비를 거의 같은 지점에 던지는 기술을 익히실 수 있습니다. 조금 시간이 걸리기는
합니다만...
유동찌면 봉돌이 떨어지고 찌가 서서히 끌려가기 때문에 찌와 채비가 사선이 될 수 있습니다.
조과 차이는... 모르겠습니다.
여러가지 이유들이 있겠으나
원줄과 유동찌고무의 밸런스를 우선 생각해보시면 어떨까요?
원줄은 굵은데 찌고무의 구멍크기가 너무 작아서일 경우도 있습니다
그 다음은 찌맞춤을 좀 더 예민하게 잘 맞추시면 어떨지요?
혹은 더 무겁게 맞추시던지요?
현장에서 캐미고무와 사용하는 캐미 무게가 변수 입니다.
보통 무거운 캐미를 사용할때 많이 발생 합니다.
이러면 찌오름도 낮고
조과도 별로 입니다.
캐미고무와 캐미를 탈착한후
상부 톱을 1CM씩 자르고 캐미를 끼우는 방법으로
계속 1CM씩 찌톱을 자르다 보면 ~~~
뒤뚱거리지 않을때가 정답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