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류가 있을때
봉돌의 비중을 꺼꾸로
하네요 예!! 2 3 5
반대로 하게되면 5 3 2
그리고 봉돌 2 분활이 몸통이
살짝 잠기게 하고 나머지
마지막 봉돌이 찌맞춤을 완성
합니다
비율은 본인이 맞추면 되고요!!
자기만의 스타일 찾아야 합니다
수심이 낮은 곳은 3 분활 어렵네요
그래서 조절해서 2분활 또는
원봉돌 형식으로 가도 무방합니다
동돌의 간격은 붕어의 이물감을
줄이기 위해서 최소 붕어 계측시
높이만큼 띄웁니다!!
계절에 따라 저수온기 고수원기
입질에 활성도에 따라 채비의
변화도 중요합니다!!
이상 잡조사의 짧은 소견입니다!!
전!!
풍덩이 좋아요!!
고부력 찌에 봉틀 하나를 사용하게 되면 봉틀이 부피가 커져서 물의 저항을 받게 됩니다. 2개 이상의 봉틀(편납)으로 분할채비를 하게되면 부피도 분할되어 예민한 입질도 잡아 낼 수 있지요. 보통 2분할이나 고부력 찌의 경우는 3분할을 많이 사용하지요. 입질이 예민하지 않으면 최하단 봉틀(편납)보다 15~25cm 정도 높게, 입질이 까질하면 30cm 이상,, 너무 길이 차이가 많이 나면 채비 투척(캐스팅)시에 좀 깔끔하게 입수되지 않습니다. 찌의 미학을 즐기시려면 분할채비가 좋습니다. 이상 저의 소견입니다..
2분할 하는데
윗분납 : 아랫분납 비윤을
7:3 정도로 해주고요
분납간 간격은 찌톱 거리만큼 띄웁니다
이유는 잘 모릅니다 ㅠㅠ
붕어의 습이 습관각도 이해입니다
보통 대각으로 형성되어 있기에
분할의 목적도 이물감 최소에 따른 예민함 추구죠
실질적으로 2분할이든 3분할이든 4분할이든
길이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봅니다
그렇다고 너무 따닥따닥 붙으면 안되겠쥬~~
각 분할간의 최소 간격은
찌의 어신표현 최소길이
즉 입질파악시 올리는 길이며
최대길이는 사용하는 찌의
몸통에서 케미까지라고 고수님께 배웠습니다
ㆍ
ㆍ
ㆍ
근디
잘배우긴 잘배운거 같은디
왜???
꽝만치는지
ㅡㅡ^
봉돌의 비중을 꺼꾸로
하네요 예!! 2 3 5
반대로 하게되면 5 3 2
그리고 봉돌 2 분활이 몸통이
살짝 잠기게 하고 나머지
마지막 봉돌이 찌맞춤을 완성
합니다
비율은 본인이 맞추면 되고요!!
자기만의 스타일 찾아야 합니다
수심이 낮은 곳은 3 분활 어렵네요
그래서 조절해서 2분활 또는
원봉돌 형식으로 가도 무방합니다
동돌의 간격은 붕어의 이물감을
줄이기 위해서 최소 붕어 계측시
높이만큼 띄웁니다!!
계절에 따라 저수온기 고수원기
입질에 활성도에 따라 채비의
변화도 중요합니다!!
이상 잡조사의 짧은 소견입니다!!
전!!
풍덩이 좋아요!!
맨 아래 봉돌을 작게 해서 미끼 흡입시 이물감을 줄이기 위해서 입니다.
5g 짜리 원봉돌을 흡입하는 것보다 0.5g 짜리 나눔봉돌을 흡입할 때 이물감이 적겠지요.
이물감을 줄인다는 입장에서 생각하면 나눔봉돌은 작으면 좋겠죠?
작으면 이물감은 분명 줄어듭니다.
그렇다면 얼마나 작아도 될까요?
그 한계는 찌톱 부력 크기 입니다.
만약 찌톱 부력보다 나눔봉돌 크기가 작다면
붕어가 나눔봉돌을 다 들어도 찌가 다 올라오지 않습니다.
시중에 판매되는 대부분의 찌의 찌톱 부력은 0.2~0.3g 정도 입니다.
(장찌의 경우는 더 큽니다만 장찌는 생략합니다)
그렇다면 0,3g 이상이면 찌톱이 올라오다 말 일은 없습니다만
유속, 바람, 대류 등이 있는 자연지에서 0.3g은 너무 가볍습니다.
지금까지 자연지에서 나눔봉돌 채비 운영 경험에 비춰보면
미끼, 운영 방법 등에 따라 차이가 있긴 하지만 0.5~1g 정도가 적당하더군요.
다음은 본봉돌과 나눔봉돌 사이의 간격에 대해 말씀 드립니다.
간격은 나눔봉돌 흡입시 흡입하는 힘이 본 봉돌에 전달되지 않을 정도면 됩니다.
짧으면 전달이 되고, 길면 전달이 안되겠죠.
5~7Cm 정도 이상이면 전달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들어 가 보면,
본봉돌과 나눔봉돌 사이 거리에 따라 찌오름이 약간 달라집니다.
거리가 가까우면 찌오름이 급하고
거리가 길어지면 찌오름이 부드러워집니다.
그렇다고 마냥 길게 하면 부드러지기만 하는게 아니고,
어느 지점을 넘어서면 입질 표현도 잘 안될 뿐만 아니라 입걸림이 잘 안되는 지점이 있습니다.
찌마다 다르긴 하지만 대략 40~48Cm 거리에
최적화 지점이 있습니다.
다대로 하시기는 어렵고
일간일침으로 해보시면 느낄 수 있습니다.
1m 내외의 수심에서 낚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심, 찌길이를 고려해 나눔봉돌-본봉돌 거리를 조절해야 되는데
40Cm는 무리가 따릅니다,
결국 수심 1m 자연지 낚시에서 선택할 수 있는 거리는
찌길(40Cm) X 2 + 거리 = 1m 방정식을 풀면
거리는 20cm 이내가 되어야
본 봉돌이 찌에 감기지 않게 운영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자연지 나눔봉돌 채비에서 나눔봉돌과 본봉돌 거리는
수심에 따라 10~15Cm 정도에서 조절하는 게 적절 하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끝으로 2분할과 3분할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찌올림에는
2분할, 3분할은 차이가 없습니다.
그런데 고부력 장찌의 경우 전체 부력이 15g 이라고 하고 나눔 봉돌을 1g 을 쓰면
본 봉돌이 무려 14g 이나 됩니다.
챔질시 관성에 따라 고정된 봉돌이 밀리기도 하고
채비 정렬시 찌가 잠겼다 올라오는 등 운영이 어려워집니다.
이러한 운영상의 어려움은 1g, 7g, 7g 등으로 3분할 하거나,
자신이 원하는 전략에 따라 나눠 운영하면 됩니다.
찌다리에 감기도 하고,
너무 분할 비율에 얽매일 필요는 없습니다.
작은 창에 길게 쓰다보니
잘 설명을 했는지 모르겠습니다.
일간일침 장찌 낚시가 아닌한
다대편성에 3분할은 정신건강에 해롭다는 말씀을 끝으로
도움이 되셨기 바랍니다.
노지는 원봉돌,양어는 2분할로 하고 찌맞춤만 잘하세요
3분할 채비 별로 장점없습니다
질문내용으로 보아 고부력은 아닌듯하오니
윗분들말씀이 정답이라고 조언하고 싶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