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여러 채비들이 많습니다.
단적인 예로 옥수수 내림 채비로는 저는 안합니다. 왜냐하면 붕어 목구멍에 올려와서 싫습니다. 물론 고수 분들에 비해 능력이 없겠죠. 제능력이
안되서 그러려니 해서 안합니다. 그러면 올림 채비에서 원봉돌 분할봉돌 채비도 해봤습니다. 저는 수조에서 케미끝이 살짝 보일정도로 스웨벨이
바닥이 안착할때 맞추어 하니 노지에서 활성화 될땐 막 올라오고 아닐땐 안돼더군요. 궁금한게 채비를 몇목? 또는 케미에서 이렇게해라 저렇게 해라. 하시던군요 그에 맞습니까? 제 생각엔 붕어가 조금은 안맞아도 그정도는 올려 줄수 있다고 생각하거던요. 오히려 채비는 중요하지 않고 포인트를 정확히 보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선배님들의 생각은요?(노지 기준입니다)
선배님들 감히 여쭙겠습니다.
-
- Hit : 1534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6
딱히 잘못하시는 부분도 없어 보입니다.
"바늘달고 케미한 목 내 놓고 마추고 3목 꺼내고 낚시해라...."
저도 표현이 정확한지는 모르겠으나... 이런 저런 위와 비슷한 이야기를 많이 접합니다.
노지에서는 바늘없이 케미 보이면 수심 마추고 바늘달고 낚시합니다.
바람불고 파도?치고 부유물 떠다니고 .... 스트레스 받아서 낚시 못하겠더군요.
노지에서는 조금 무겁게 마춰서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ㅎㅎ
아참...붕어의 조과....? 붕어의 찌올림?
이 부분은 전 모르겠던데요.
붕어가 바늘보고 목줄보고 봉돌보고 원줄보고 낚시대 보고 받침틀 보고 .....등등
입질을 해주는 것은 아니겠지요?
노지에서 어느 까탈스런 붕어가 입에 넣었다가 무겁다고 밷고 그러지는 않는 다고 믿습니다 ㅎㅎ
하지만 정답은 없는거 같네요!!
본인에 맞는 룰을 찾아서
그룰에 맞쳐 하는 행의가 자기만의
방법이 되겠지요!!
그렇다고 그방법이 맞다고 타인에게
강요할순 없겠죠!!
다만 난 이럴땐 이렇게 해라고
얘기할순 있지만 말이죠!!
낚시 어렵습니다!!
제가 느끼는 바로는!!
개인적 생각을 추가하자면
모든 찌는 죽어있습니다!!
생명을 불어넣는 일은 나만의
낚시 방법에서 찾아야 겠지요!!
그러기에 영점이 있구요!!
타점이 있지요!!
모든찌의 타점을 정확히 읽어
내는게 젤 중요하다 생각하는
1인 허접조사 입니다!!
계절에 따라 다르고
입질에 따라 다르고
포인트 여건과 환경에 다르고
그때 그때 찌의 타점을 찾는게
저한테도 아직은 어렵네요!!
아직 허접조사를 넘어서지 못한
1인의 개인적 생각 입니다!!
넵다 챔질하면 부레가 걸려
나올수 있죠...
고기도,
다니는 전용도로도 있고...
노니는 놀이터도 있고...
식탁도 있고....
제일 중요한게
나는
바닥상태를 읽는거라고 봐요...
채비는
거기에 준하여 맞추어준다고
배웠어요.
첫째, 바닥을 읽는다.
둘째, 채비를 정한다.
그다음 바닦지형이 읽을줄 알아야하구요.
미끼가 함몰안되게 깨끗한 바닦을찾고 없다면 만들어야죠.
한목이런건 예민하게 쓰시는분들 말이지 그까이꺼 저처럼 풍덩하면 필요도 없습니다ㅋ
그래서 선택이 돌돔11호나 지누 8호입니다.
장점은 잔챙이가 입질은 해도 무는 경우가 확 줄어든다는 거구유.
단점은 마릿수가 가관입니다.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