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맞춤...
1.소품없이...
2.케미꽂이 상단이 수면하고 일치하도록하는 (표준)찌맞춤을 하셨습니다.
3.(바늘.미끼)달고...
4.(케미꽂이) 절반 약1cm 정도 내 놯을때...
5.(봉돌)은...바닥에 안정되게 있습니다.
6.(케미.케미꽂이)를 (수면)위에 나오게 했을때는...
7.(봉돌)은 바닥에 안정되게 있습니다.
8.여기서...
9.(표준찌맞춤)을 하고...
10.케미,바늘.기타.등등의 소품이 추가가 됐습니다.
11.추가 된 만큼...무거워졌습니다.
우리는 과학이라는 사기에 세뇌되어 착각에 빠지죠.
예를 들어 케미꽂고 한목을 따면 실제 낚시에서는 2~3목을 시작으로 낚시.
흐르거나 빨리면 한목씩 추가하면서 안정적일때까지 관찰하면서 합니다.
케미꽂이 없이 한 목따고4목( 4~5목)부터 내어 놓고 낚시.
흐르거나 빨리면 마찬가지로 올리면서 낚시.
이건 수영장에서 수중촬영으로 얻은 데이터입니다.
한목 따고 한목 내어 놓으면 봉돌은 100% 떠 있음.
차라리 봉돌이 완전히 바닥에 닿는 것이 찌올림 이 더 좋습니다.
팁!! 폭 1mm 길이 3mm 편납을 봉돌 끝에 달고 수심을 재고 하시면 효과적이고 정확함.
바닥에 확실히 닫습니다.^*^
1.소품없이...
2.케미꽂이 상단이 수면하고 일치하도록하는 (표준)찌맞춤을 하셨습니다.
3.(바늘.미끼)달고...
4.(케미꽂이) 절반 약1cm 정도 내 놯을때...
5.(봉돌)은...바닥에 안정되게 있습니다.
6.(케미.케미꽂이)를 (수면)위에 나오게 했을때는...
7.(봉돌)은 바닥에 안정되게 있습니다.
8.여기서...
9.(표준찌맞춤)을 하고...
10.케미,바늘.기타.등등의 소품이 추가가 됐습니다.
11.추가 된 만큼...무거워졌습니다.
케미고무 맞춤이 예민 하지만 노지 특성상 불편 할겁니다
생미끼엔 1목은 내어 주시면 좋을거 같구요.
봉돌이 바닥에 살짝콩 닿는 느낌이 나는걸 좋아합니다..
바닥을 못찍거나 작은 변수에도 찌가 흐르거나 잠기고 떠버리고해서 피곤합니다
특히 바람이 조금 있는날에 떡밥낚시하면 채비가 떠서 움직이는 경우가 많아 다시 떡밥 달아야 하는등 다대 편성시 피곤합니다
노지에선 아주 보편적인 스트레스 없는 찌맞춤이라 생각합니다
저도 노지에선 말뚝님하고 같은 찌맞춤 입니다
예를 들어 케미꽂고 한목을 따면 실제 낚시에서는 2~3목을 시작으로 낚시.
흐르거나 빨리면 한목씩 추가하면서 안정적일때까지 관찰하면서 합니다.
케미꽂이 없이 한 목따고4목( 4~5목)부터 내어 놓고 낚시.
흐르거나 빨리면 마찬가지로 올리면서 낚시.
이건 수영장에서 수중촬영으로 얻은 데이터입니다.
한목 따고 한목 내어 놓으면 봉돌은 100% 떠 있음.
차라리 봉돌이 완전히 바닥에 닿는 것이 찌올림 이 더 좋습니다.
팁!! 폭 1mm 길이 3mm 편납을 봉돌 끝에 달고 수심을 재고 하시면 효과적이고 정확함.
물놈이면 15호 봉돌도 가뿐하게 올린다는 꼰대정신으로 무장했기 때문이죠^^
이래서 초보를 못벗어나나 봅니다,
노지 케미끝 수면일치 표준맞춤으로 쭉 해야겠습니다,
답변 달아주신 선배님들 모두 안출 하시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