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일반 바닥채비에 목줄도 그렇게 길지 않은 합사같은 줄 ?? 쓰고있는데
그냥 일반 바다낚시 목줄에 길이를 좀 길게 쓰면
먹이를 먹을때 이물감이 덜 할까요?
옥내림 옥올림 다 해봤는데..역시 정통채비가 저한테는 맞는것 같은데 목줄이 좀 길면 괜찮을까 싶어 질문드립니다.
선배님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목줄 길이가 생각보다 변수가 많습니다.
먼저 합사냐, 나일론(모노,카본) 이냐를 생각해야됩니다.
합사는 너무 길면 입질 표현이 잘 안되는수가 있습니다.
반면 나일론줄은 길어도 입질 표현이 잘 됩니다.
그 경계 지점은 경험상 대략 12Cm 정도인 것 같습니다.
12Cm 이내는 합사, 나일론 무방하나
12Cm 이상은 가급적 나일론줄이 괜찮더라는 말씀입니다.
원인은 붕어가 미끼를 물고 봉돌쪽으로 이동하는 입질 표현문제입니다.
합사는 접힐 수 있는 반면
나일론은 봉돌이 밀리며 찌올림이 표현 되는 것 같습니다.
두번째 변수는 이물감입니다.
목줄이 짧으면 미끼 흡입시 봉돌의 충격 즉 이물감이 크게 느껴지고
목줄이 길면 작게 느껴질 것입니다.
힘의 작용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할 수 있겠으나 생략합니다.
따라서 원봉돌의 경우 좀 길게 쓰는게 좋고
나눔봉돌의 경우 좀 짧게 써도 무방한 것입니다.
스위벨 채비 목줄을 5Cm 정도로 짧게 쓰는 것을 보셨을 겁니다.
세번째 변수는 예민성입니다.
목줄은 짧으면 어신 표현이 예민하고
길어지면 다소 둔해집니다.
네번째 변수는 미끼의 형태입니다.
떡밥(글루텐 포함)과 같은 미끼는 흡입시 입질이 표현 되어야 하고,
고형미끼(옥수수, 콩, 새우, 지렁이 등)은 흡입시 표현이 안되어도
이동시 표현이 되면 충분합니다.
이런 변수들을 종합하면
고형미끼를 사용하는 원봉돌 채비는 다소 길게
떡밥 미끼를 사용하는 나눔봉돌 채비는 다소 짧게 를 기준으로
다양한 조합을 시도 해서 자신에게 맞는 지점을 찾는게 좋다고 봅니다.
질문에 대한 답을 해보자면
원봉돌 채비이고, 생미끼나 옥수수 등을 주력으로 쓰고
가끔 글루텐을 단단하게 쓰신다면
나일론(모노, 카본) 목줄을 길게(25Cm 내오) 써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생미끼라면 좀 길어도 괜찮고 떡밥은 짧게 쓰는 게 조과에 도움이 되리라 봅니다.
글루텐 찰지고 단단하면 길게 써도 괜찮았습니다.
여기서 짧다는 건 6~8cm, 길다는 건 약 15cm까지를 말합니다.
더 길게 쓰시는 분들도 많겠지만 15cm 이상 넘어가면
통상 범위는 벗어나는 것으로 생각되네요.
즉, 특화된 채비나 특유의 기법에 걸맞는 길이일테죠.
자동빵에는 대체로 긴 게 유리한 편인데요.
짧으면서 바늘을 아주 날카롭게 쓰면 그것도 (반)자동빵 잘 됩니다.
요즘 대세인 글루텐, 옥수수 미끼의 예를 들어 본다면...
게으른 낚시, 좋게 말해 힐링에는 긴 목줄이 좋고요.
부지런하고 열정적인 낚시에는 단연 짧은 목줄이 어울린다 생각됩니다.
먹을놈들은 다 먹습니다ㅋ
옥내림찌 바닥채비 긴목줄 35 ~30
자동빵 최고네요 ㅎㅎ
저 처럼 낚시 4~6시간 잠 3~5시간 분들은 긴목줄이 매우 좋네요
목줄이 길면 붕어가 바늘을 완전히 삼키고 이동을 시작해야 찌가 움직이므로 이물감이 적다고해야겠죠
반대로 먹고 찌가 안움직일만큼 움직이고 뱉어버리는 사각지대가 존재해서 입질을해도 꾼이 모르는 경우가 생깁니다
카본이나 모노 저는24cm사용합니더.~~자동빵 전문이라서
목줄 길이가 생각보다 변수가 많습니다.
먼저 합사냐, 나일론(모노,카본) 이냐를 생각해야됩니다.
합사는 너무 길면 입질 표현이 잘 안되는수가 있습니다.
반면 나일론줄은 길어도 입질 표현이 잘 됩니다.
그 경계 지점은 경험상 대략 12Cm 정도인 것 같습니다.
12Cm 이내는 합사, 나일론 무방하나
12Cm 이상은 가급적 나일론줄이 괜찮더라는 말씀입니다.
원인은 붕어가 미끼를 물고 봉돌쪽으로 이동하는 입질 표현문제입니다.
합사는 접힐 수 있는 반면
나일론은 봉돌이 밀리며 찌올림이 표현 되는 것 같습니다.
두번째 변수는 이물감입니다.
목줄이 짧으면 미끼 흡입시 봉돌의 충격 즉 이물감이 크게 느껴지고
목줄이 길면 작게 느껴질 것입니다.
힘의 작용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할 수 있겠으나 생략합니다.
따라서 원봉돌의 경우 좀 길게 쓰는게 좋고
나눔봉돌의 경우 좀 짧게 써도 무방한 것입니다.
스위벨 채비 목줄을 5Cm 정도로 짧게 쓰는 것을 보셨을 겁니다.
세번째 변수는 예민성입니다.
목줄은 짧으면 어신 표현이 예민하고
길어지면 다소 둔해집니다.
네번째 변수는 미끼의 형태입니다.
떡밥(글루텐 포함)과 같은 미끼는 흡입시 입질이 표현 되어야 하고,
고형미끼(옥수수, 콩, 새우, 지렁이 등)은 흡입시 표현이 안되어도
이동시 표현이 되면 충분합니다.
이런 변수들을 종합하면
고형미끼를 사용하는 원봉돌 채비는 다소 길게
떡밥 미끼를 사용하는 나눔봉돌 채비는 다소 짧게 를 기준으로
다양한 조합을 시도 해서 자신에게 맞는 지점을 찾는게 좋다고 봅니다.
질문에 대한 답을 해보자면
원봉돌 채비이고, 생미끼나 옥수수 등을 주력으로 쓰고
가끔 글루텐을 단단하게 쓰신다면
나일론(모노, 카본) 목줄을 길게(25Cm 내오) 써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