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스위벨 채비 찌맞춤에 의문이 있어서요

스위벨 채비를 하게되면

먼저 수중에 떠 있는 본 봉돌이 찌 몸통을 따고 나머지 스위벨로 찌탑을 내려서 찌 맞춤을 하면 된다고 하는데요

일단 본 봉돌같은 경우에는 무게를 가감할수 있는 방법은 여러가지 있어서 문제가 없다고 보는데요

시중에 나와있는 스위벨을 보면 거의 모든 스위벨은 황동으로 만들어져서

무게를 조절을 못하게 되어있는데요 

그럼 이 스위벨을 종류 무게 별로 전부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말이 되는거 아닌가요?

수중에 떠 있는 본 봉돌을 찌 몸통에 맞춰서 무게를 가감한 상태에서 스위벨 무게가 일정하다고 한다면

결국 나중에는 본 봉돌을 가감을 해야 한다는 말인데

그럼 처음에 본 봉돌로 찌 몸통을 땄던게 의미가 없어 지는거 아닌가요?

스위벨의 무게를 가감하는게 맞는거 아닌가요?

 

 


찌의

부력을 본봉돌 하나로

대략 마추시고,

쓰고자하는

스위벨과 함께 달아보세요.

가라앉겠죠?

본봉돌을 깍으세요.

끝!
스위벨 사용자 입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 입니다.

스위벨 종류별로 가지고 있습니다. 0.2~1.5 총 9가지 되네요

그러나 0.3그람만 되어도 어지간한 찌탑 다 상쇠 됩니다. 전자찌의 경우 0.4그람 이상...

저는 수심이나 활성도를 보고 먼저 그람수를 선택한다음

본봉돌과 같이 채비 연결 한다음 본봉돌로 찌고무 하단에 부력을 맞춥니다.(일명 깔딱맞춤)

그리고 스위벨 빼고 투척해보고 몸통이 보이는지 확인만 합니다.

최종 무게는 똑같아도 스위벨 무게가 가벼울수록 찌상승 속도가 느려집니다. 본봉돌 무게가 잡고 있기때문에...

가장 선호하는 스위벨 무게는 0.4~0.6 입니다. 0.6~1.5는 노지에서 사용 합니다.
그냥 다달고 본봉돌로 부력 마추시면
됩니다ᆢ작은거나 큰거나 상관없이 전체 부력만 마추시면 됩니다
핀도레로 스위벨 연결을 해줍니다.
본봉돌로 찌몸통 따고, 스위벨 무게로
다 가라앉히지 못할땐..
스위벨 연결핀에 오링가감 합니다.
보기에..깔끔하지는 않지만..
편리하긴 하네요
저는 본줄 , 핀도래 , 본봉돌 , 스위벨 , 바늘
순으로 채비하는데 항상 본봉돌 깍아서 맞추니 편하던데요
스위벨 사이즈가 커지면 덜깍고 작아지면 더 깍고
스위벨 채비는 군계일학 성재현프로께서 만든 채비인데요
그 이전에 좁살봉돌채비를 간소화한 채비라고 보시면 되구요
스위벨 채비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보시려면
군계일학 사이트에 가시거나 유튜브에서 스위벨채비로 검색하시면
스위벨채비의 창시자 성재현님의 자세한 동영싱이 있습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