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가운전자들이 베터리교환시 카센터등 정비업소에 교체를 의뢰하지 않고 베터리를 직접 구매
하여 교체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주의할 점은 반드시 엔진스위치를 OFF(키를빼고)한 후에 교체
작업을 해야한다.
깜박잊고 스위치를 켠상태에서 베터리를 교체하면 순간적으로 강력한 충격전압으로 인하여 차량
내부의 각종 전장품에 전기적인 쇼크가 가해져 이상이 발생될 위험이 있음으로 안전을 위해서
엔진스위치를 끄고 작업해야한다.
2. 시동을 켠후 정차중에 속도게이지 옆에있는 RPM게이지 지침바늘이 안정되지 않고 불안정하면
『스로틀보디』부품에 이상이 없는지 점검해 본다.(스로틀보디 문제발생 원인: 엔진작동에 필수적
으로 필요한 공기가 에어크리너 필터를 통과하여 유입되게 되는데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엑셀페
달 작동에 따라서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하는 부품에 카본등 이물질이 달라붙게 되면 유입되는
공기량의 부족현상이 발생하여 엔진공회전시 (정차시) 엔진회전수가 일정치 않고 불안정해지는
증상이 발생하게 된다.)
3. 주행시 갑자기 헤드라이트와 계기판 조도 밝기가 밝아졌다가 어두워지는 등 심하게 변화가
발생하면 발전기 (알터네이터)에이상이 있을 수 있음으로 발전기의 정상작동 여부를 체크해
본다.
4. 주행시 도어쪽에서 찌그덕하는 소음이 발생하면 도어부분 잠금장치인 도어스트라이크(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ㄷ자 고리형태의부품) 소음 발생이 원인인 경우가 있음으로 이때는 도어 스트라이
크에 테이프를 약간 감아주면 깜쪽같이 소음이 사라지는 경우가 있다. (현재 이 블로그 개설자도
신차 출고후 얼마 지나지 않아 소음이 발생하여 이방법으로 소음 발생을 제거했으니 참조바람.)
5. 주차 브레이크 레버가 힘없이 쭈욱 당겨지면 뒷바퀴 브레이크 라이닝 부품의 간극이 커진
경우임으로 간극을 점검해 본다.
6. 엔진시동시 또는 가속시에 삐익하는 소음이 발생하면 벨트가 늘어져 회전시 미끄러짐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음으로 이때는 벨트장력을 점검해본다.
7. 주행시 바퀴부분에서 우두둑하는 큰소음이 발생하면 허브베어링 고장인 경우가 있음으로 허브
베어링의 이상유무를 점검해 본다.
8. 엔진작동시 차체하부에서 깨진 조각들이 철판에 부딪치며 발생하는 것과 같은 시끄러운 큰소음이
발생하면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부품인 촉매의 파손 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이 블로그 개설자의
소유차량도 얼마전 이와같은 증상이 발생하여 점검해보니 촉매가 파손되어 A/S를 받은예가 있음.
9. 자동차의 운전석쪽의 미러와 조수석쪽의 미러가 다른이유는 왜일까?
조수석쪽 미러를 자세히 살펴보면 눈에띠는 문구가 인쇄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진행방향이
우측차선 통행방식을 적용하고 있음으로 운전석쪽 미러는 평면거울형태이고 조수석쪽 미러는
볼록거울을 형태를 하고 있다. 볼록거울에 비쳐지는 사물은 일반적으로 실제의 거리보다 멀리
있어보이는데 눈으로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를 최소하 하기위해 볼록거울을 적용하고 있다. 만약
운전석쪽 미러도 볼록거울을 적용하면 는으로 보이는 거리감의 차이로 인하여 사고발생의 위험
을 초래할 수 있게된다.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보조 볼록거울을 장착한 차량을 가끔 보게되는데
가능한 운전석쪽 미러는 평면형태의 미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알아두면 유용한 기본 자동차 정비상식
-
- Hit : 6460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3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유용한 정보 감사.....................
좋은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