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개인좌대 많이들 쓰시죠 가격도 비싸기도 하고요. 개인적으로 좌대를 개발중인데 여러조사님들 조언을 수집해서 장비개발에 도움을 받고자 글을 올립니다.일단 지금 쓰시는 좌대의 적정크기입니다. 저는 1800.1800.한가지만 하려는데 자꾸옆에서는 더크게 하라 이야기들을 합니다 .물론 더크게 하는건 어렵지 안습니다. 또한 좌대의 기능입니다,조사님들생각에 필요한 기능이 있으시면 어떠한 기능이 있으면 될까요? 또 사이즈에 따른 무게 , 가격 그리고 꼭 앞다리가 자동조절이 필요한가? 여기까지 , 추가로 좌대의 금속재질( 스텐, 알미늄, 스틸, 프라스틱)중 선호하는 금속재질도 추천해 주셨으면 합니다, 얼마전 지렁이통샘플이 나왔습니다, 아직 도장처리는 되어있지않지만 ,지렁이10통들어가는 크기라 넉넉하게 사용할수 있을겁니다. 재질은 오동나무로 만들었습니다. 월님들 조언중에 기발한 아이디어를 제공해주시는 분께 선물로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가볍고 설치 쉽고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지 않은 이상, 경쟁이 쉽지 않으실 텐데요.
건승하시길 바랍니다~~~
공통 적인 모습과
부가적으로 이런것이 있었음 좋겠다 함 말해보겠어요
1.공통요건
1)견고성-비틀림 꿀렁임등
2)취급용이성-특히 앞다리를 좌대에서 셋팅하고 미세조절할수있는부분
3)호완성-옆날개 , 받침틀, 텐트등 장착의 범용성(개인적으로 파라솔 체결은 옵션으로)
4)경제성-제품개발비 및 기타이윤이 소비자에게 부담이 옵니다.좀 저렴히
2.부가적요건
1) 휴대성-가방및 기타 어께에 매고 움직일수있도록 분절하여 체결하거나 독립적으로 활용(사이즈별로 독립적으로 활용할수있도록)
2) 이음부의 최소화- 강재에서 최대의 단점은 부식과좌굴입니다. 이음이 많을수록 응력이 집중되어 파손되거나 부식의 맹점으로 작용될수있음(강재간의 이음연결
3) 하이브리드형-이질적 두가지재료를 통하여 단점을 줄이고 장점을 살릴수있는방안 "좌대는 무겁다". "해체시 고통스럽다 시간이 많이든다"라는 단점을 장점으로 만족할수있을런지요
이러한 요건을 충족할수있을지 넘 멀리왔는지 제가 업으로 하는일도 이러한 범주를 가지고 노력하지만 쉽지는 않습니다.
아무튼 치열한 경쟁인 좌대시장에서 승리하세요
1. 카본 소재의 좌대가 출시된다고 하니 좌대 소재와 생산 시기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좌대 시장이 급격하게 변화할 수 있습니다.
2. 좌대 크기는 2000x1500, 2000x1800, 2000x2000의 3가지로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2000x1500 기본 좌대에 2000x30, 2000x50의 확장판을 앞뒤로 연결하는 방식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확장성이 있는 좌대였으면 합니다.
3. 좌대 다리는 모두 자동으로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4. 좌대 가방은 들고 맬 수 있도록 했으면 합니다.
5. 가새 등 안정성과 튼튼함을 높이는 장치가 있었으면 합니다.
6. 설치와 해체가 수월했으면 합니다.
7. 가벼운 좌대였으면 좋겠습니다.
8. 부품 등을 잃어버리지 않도록 하는 소비자를 배려하는 방식이었으면 합니다.
9. 각진 부분이나 거친 면에 의해서 상해를 입지 않도록 소비자를 생각하는 좌대였으면 합니다.
10. 고급화 전략을 쓰시기 바랍니다. 5년 이상의 묻지마 as를 약속하시고 제품의 품질로써 승부를 보시기 바랍니다. 의외로 소비자들은 그틀의 위상을 높여주는 퀄리티 높은 제품을 선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