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에가면 많은 양수형 저수지에는
배수기를 대비해서 강물을 퍼올려
담아 놓는 곳이 많더라구요
비늘은 잉붕어 닮아도 보이고...
암튼 토종은 아닌 듯 하네요.
비늘은 잉붕어랑비슷하네요.
자신있게 희나리라고 단정 지을수있는 외형을가진 놈들은흔치않다고 합니다
낙동강수계나 영남분들은 오래전부터 봐온 종자라 익숙 하겟지만. 전남이 서식지인 저같은 경우 낮선 종자라하겟습니다
1972년경에 떡을 수입 하기 시작 하엿고
그 이전이나. 1970년중반에도 희나리가 알려진거로 볼때
우리고유종 이란거는 분명 합니다
대표적 특징이 우선 지역을 꼽을수 있갰고
측선위로 보이는 짙은5줄의 옆선
떡과 붕어를 섞은듯한외모
30개가넘는 측선수. 두배가넘는 세파수와 창자의길이,.
즉석 감별법으로는 비닐을 뽑아 말리면
돌돌 말리고. 비닐이 얇아 망에 넣어두면 핏기가 돌지요,.
아묺튼 요즈엔
떡과의 교잡동도 많다 하니
보다 정확한건 형질검사 정도는 해봐야 알겟지요
사진은
희나리에 가깝게 보입니다
비늘은 잉어에 가까운게
교잡종 같네요
토종은 확실히 아니네요
아마도 희나리 숫놈일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느낌이 순수한 토종은 아닌 것 같고, 뭔가 약간 섞인게 아닌가 싶습니다. ^^
조금 이상하다하면,
우린
무조건 희나리라 생각함.
희나리라 딱 꼬집어
분별하기도 힘든 세상...^^;;
아가미 중앙에서 아래에 위치해 있는것이
저는 희나리에 한표요 ..
히나리도 토종입니다 ~~^^
즐거운 낚시 하세요 ㅎㅎ ㅎㅎ
죄송합니다
순수 토종 붕순이 사료됩니다
외래어종과 적대성이없는
오직 붕어만 서식하는곳에서는
저런형태의 붕순이 인것같습니다.
경남에는 저런형태의 붕순이들이
많습니다^^*
아가미쪽 색상이
참아름답지예~^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