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올림채비 초보 질문드립니다.

    KillerWhale / 2014-10-29 20:21 / Hit : 5248 본문+댓글추천 : 0

    반갑습니다.
    요 근래 민물낚시에 빠져들어 바다낚시를 등한시하게된 민물왕초보 질문드립니다.

    제가 아직 민물찌에 대한 부력(푼개념)개념이 없어서 그러니 글이 이상하더라도 이해부탁드립니다.
    일단 찌는 1개
    무게가 다른 봉돌 각각 1개씩..
    이걸로 2개의 채비를 꾸려봤습니다.

    채비1
    일단 하나의 찌로 무게가 가벼운 봉돌로 세팅시 부력을 측정하면(케미꼽았을때) 2목 정도 나옵니다.(봉돌이 바닥에 안착되었을때나 약간
    띄웠을때나 동일합니다.)

    채비2
    같은 찌로 무게가 아주 약간 무거운 봉돌을 세팅시 부력을 측정하면(케미꼽았을때) 찌가 아주 천천히 물속으로 잠겨버립니다.
    잠길찌 채비가 되는데...
    여기서 제가 찌를 조금씩 올려 찌톱을 수면에 약간 잠기게 하는 경우..
    찌를 미세하게 조금 더 올려 케미가 나올정도로 수심조절을 할경우...
    그리고,찌를 미세하게 더올려 찌톱을 약간 더 나오게 하는 경우....

    요렇게 채비구성을 해봤는데 각각의 채비에 대한 장단점 부탁드리겠습니다.대략 4가지 정도 채비가 되겠네요.
    제 짧은 생각으로는 입질의 빈도는 떠나서 찌가 잠기는 채비2가 불규칙한 포인트 바닥상태에서 바닥지형도 파악하기 쉽고 유리할듯 싶은데
    어떨런지 모르겠습니다.
    질문이 좀 광범위한듯 싶은데 한수 지도 부탁드립니다.

    다락요괴 14-10-29 20:50
    어떤 이유로 글을 올리셨는지 먼저 말씀을 하셔야 할꺼 같은데요...
    저런 찌맞춤은 없거나... 굉장히 특이한것 같아서요^^
    다락요괴 14-10-29 20:51
    참고로 보통은..4번으로 보통 합니다만...
    코싱 14-10-29 21:21
    체비1은 가벼운 맞춤으로 낚시하실때 3목이상 내놓고 하셔야 안정적임니다. 2목이하로 하시면 봉돌이 바닥에서 떠있는 상태로 제대로된 찌올림 보다는 찌가 방정맞게 움직이고 물속으로 잠기는 입질이 많이 보입니다.
    2번,3번은 잘 쓰지는 않습니다.3번은 입질이 예민할때 예신을 조금이라도 보기위해 씀니다. 혹 향어낚시 할때도 씀니다.
    4번이 제일 많이쓰이고 잘보이고 체비도 안정적입니다.
    234번은 같은체비로 찌만 조금 내리고 올린 것 밖에 차이는 없는 체비 입니다.
    KillerWhale 14-10-29 21:24
    다락요괴님~특이한 채비인가요?ㅜㅜ;
    주위에 바다낚시만 하고 민물하는 분이 없어서 그냥 이래저래 검색하고 바다채비 응용해서 채비를 하는데 혼자 할려니
    어려운 점이 많네요^^; 제가 하는게 맞는 채비인지 짝퉁채비인지 ;;
    일단 고정찌 채비 기준으로 설명하면 찌고무-봉돌-도래-목줄-바늘(민물도래봉돌이 없어서 바다좁쌀봉돌을 원줄에 물려서 사용중이구요.)
    유동찌 채비는 찌멈춤고무-유동찌고무-찌멈춤고무-봉돌-도래-목줄-바늘
    요렇게 사용중입니다.
    가장 궁금한것은 위에 설명드린 채비를 각각 했을경우 입질빈도수에 차이가 있는지도 궁금하고 바닥에 닿은 봉돌무게 차이로 인해
    고기가 느끼는 이물감의 차이..^^; 이정도일듯 싶습니다.
    다락요괴 14-10-29 21:46
    일단 붕어바닥낚시로 질문을 하셨고 가장 기본적인걸 물어보시는거 같은데요...
    원봉돌로 하실지 요즘 많이하는 분할채비(스위벨채비)로 하실지 정하셔서..검색해보시면..자료가 방대합니다...
    동영상도 많이 있구요..
    말로 설명드리는거보다는...검색하셔서 보시고 하시는게 제일 빠른듯 보여짐니다^^
    KillerWhale 14-10-29 22:00
    코싱님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어느정도 궁금증이 해결되었습니다.
    KillerWhale 14-10-29 22:01
    다락요괴님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제가 본문글에 자세한 내용을 적질 못해서 죄송합니다.^^;;
    말씀하신대로 자료 찾아보고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가을과꾼 14-10-29 23:26
    민물갈쳐 드릴테니 바다갈쳐주삼~
    1.가벼운 마춤 혹은 마이너스 마춤이라고 합니다 간혹 쓰시는분들도 있지만 정석은 아닙니다~ 하지만 어떤경우엔 일부러 그렇게 하기도 합니다 나중에 기본이 되심 알게 됩니다~

    2.무거운 마춤이라고 합니다~ 보통 대물낚시때 쓰지만 민물 초보라면 입질보기 힘들어서 나중에 대물하실때나 하시는게 좋습니다

    3. 수조통에 넣고 케미꽂고 케미꽂이와 케미가 만나도록 마추시고 낚시할땐 한목정도 내놓고 낚시하시면 좋습니다~

    바다해보셨으니 금방요령터득 하실거라ㅇ봅니다 힐링~ 하세요~
    싸그리 14-10-29 23:35
    바다 조법과 민물 붕어 채비는 틀립니다.

    바다 어종은 물고 빨고 들어가서 잠길찌를 해도 원줄, 육안으로 확인 가능 하지만

    민물 붕어는 흡입해서 떠오릅니다. 잠길찌 채비로 하시면 미끼에 따라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쉽게 고기가 이물감을 느끼고 뱉어 버립니다.

    생미끼 새우 지렁이 참붕어 종류는 꼬물 꼬물 하면서 무거워도 지속적인 입질을 하고 빨고 들어가기도 하지만 예민한 놈들은 그냥 뱉기도 하지요.

    떡밥이나 옥수수에서는 절대 적으로 안됩니다.
    먹고 싶은 욕구가 강해서 옥수수에선 좀 올리지만 떡밥에선 문제가 생기죠 뱉어버리면 미끼가 바늘과 분리 되니까요.

    잠길찌의 장점은 생미끼로 씨알 선별할때는 좋습니다..

    1번 채비로도 바닥 지형을 파악하는데 무리는 없습니다. 다만 바닥에 수초가 찌들어 있는 곳은 좀 짜증납니다. 그냥 맨바닥면 두목나오고 차츰 슬로프가 줄어 한목 정도로 잠기게 됩니다. 이 채비는 한겨울철 초봄 육초가 자라기번 맨바닥에서는 효과를 봅니다.

    1번 채비에 단점은 수심 편차에 따라 찌 부력차이가 좀 많이 발생 됩니다..

    카본 원줄을 사용하게 되면 얕은수심에선 더 가벼워지고 깊은수심에선 조금 더 무거워 집니다..

    무거워 지는건 문제가 안되지만 가벼워 지면 문제가 생깁니다. 얕은 수초언저리나 직벽형식의 지형을 보이는 곳에서 자생 새우나 참붕어가 건들어도 봉돌이나 바늘이 깊은쪽으로 이동해서 흐르기도 합니다. 바닥이 평지거나 투척하는 방향쪽으로 깊어지는 곳에서는 괜찮지만 좌우로 수심편차가 심한 곳에서는 좀 까다로운 낚시를 하게 됩니다..

    상황에 맞게 사용하시면 득이 됩니다.

    1채비는 저수온기, 떡밥찌 채비때 해보시고
    2번 채비는 생미끼 위주로 하시되 입질표현이 너무 지저분 하시거나 마리수를 원하실땐 ㄷ깍아서 0점 잔존부력 0될때까지 깍으세요.
    일월일수 14-10-30 13:47
    채비1은 바늘없이 2목 나오게 맞춘 후 수심 측정 후 1목 나오게 하고 2봉 긴 목줄 단차 주고 사용하면 얼레벌레 채비가 됩니다.
    입질 보기가 매우 방정 맞고 챔질 또한 헛챔질이 많지만 예민한 입질 받기 위해 하우스등에서 많이 사용하기도 합니다만 추천해드리고 싶지는 안고요..
    채비2번은 찌만 올렷다 내렸다 하면서 수심 맞추기만 하신듯 한데 봉돌을 깍아 가면서 캐미 노출로 찌맞춤을 하시기 바랍니다..
    찌맞춤이 끝난 후 수심을 맞추고 낚시하시면 바닥올림 낚시가 됩니다.
    글로만 이해하시기 보다는 찌맞춤 관련 동영상이 많으니 동영상 보시면 훨씬 낚시가 쉬워질 것입니다..
    어신충만 14-10-30 15:29
    바닥낚시는 바늘빼고 봉돌깍아서 캐미꼿이노출 봉돌이 바닥에 단다 통종붕어 및 바닥고기 메기등 공략
    내림은 바늘달고 찌맞춤 바늘이바닥에단다 토종붕어.중국붕어공략채비 물속30m정도 공략
    중층은 바늘이 떡밥달고 물속3분에2지점에 물에떠있는 떡붕어공략채비 겨울에 소꼬지리로 바닥 공략
    대만속공채비 일본소꼬에서발전 목줄짧게해서 마릿수조과 위한방법 기타외 채비는 본인입맛에 맛게 채비 하세요 저도 바다채비 유동봉돌이용한 소꼬 더하기 대만속공특징인 짧은 목줄로 입질이 민감할데
    유동봉돌을 올려서 사용 밑걸 림시에도 유리
    이때 원줄과 목줄연결을위해 큰핀도래를 사용합니다
    (분납효과 ) 이채비한지 이십년 넘었어도 꽝거의없습니다
    어신충만 14-10-30 15:40
    제채비의 특징은 매듭을줄여서 채비법이간단
    터져도 봉돌 찌안전 확보유리
    노지낚시위주로 다니다보니 흐르는 물에서 바닥낚시할경우 (노지물낚시)핀도래부분에 편동감아서 바닥낚시 가능 합니다.
    KillerWhale 14-10-30 20:11
    추가로 답변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