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선배님들 스위벨채비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빨간방울케미 / 2016-12-06 17:45 / Hit : 29552 본문+댓글추천 : 0

    헛챔질 없이 정직한 입질에 챔질되는 스위벨채비가 있을까요?

    스위벨 채비 따라한다고 몇달째 관리터 가고있는데... 헛챔질이 80% 이상입니다 ㅜㅜ

    모노원줄 2호 + 오뚜기형 3g 찌 + 원봉돌 2g + 기둥줄 당줄2호 길이 10cm + 스위벨 1g + 목줄 3cm + 바늘 5호

    찌맞춤은 원봉돌로 몸통따고 스위벨 1g 달면 수면일치 됩니다.
    (찌고무까지 깔딱도 해보고 케미고무까지도 해보고 수면일치도 해봤습니다.)

    결론은 대부분 헛챔질입니다 ㅜㅜ

    스위벨이 가벼우면 헛챔질된다기에 1g 짜리 씁니다.
    목줄이 길면 헛챔질된다기에 3cm로 줄였습니다.
    기둥줄이 길면 헛챔질된다기에 15cm 쓰다 10cm로 줄였습니다.

    그래도 헛챔질입니다.
    찌는 그림같이 천천히 몸통까지 올리는데... 헛챔질입니다. ㅜㅜ

    어떻게 해야되나요?

    산적꼬봉 16-12-06 18:32
    챔질 타이밍을 늦게 가져가 보시죠.

    아주 예민한 입질을 보이는곳은, 평소처럼 챔질하면 헛 챔질이 없을 수 있으나,

    입질이 시원하게 나타나는 곳 이라면, 입질 시간을 늦게 가져가 보는것이 답일듯 합니다.
    RSTC 16-12-06 19:07
    제 생각에는 쓰시던 원줄을 1.2호 내리고 스위벨 무게를 부력 3g 정도 찌라면 0.6~~0.8g 정도로 하시는게 어떠실까 합니다..

    워낙 변수가 많아서 정답은 아니겠지만 제 경우엔 좀 효과가 있었던듯 합니다..안출하세요..^^
    신ll통 16-12-06 19:59
    혹시~~바늘에 문제가 있는거 아닐까요~~~?
    새벽안개속으로 16-12-06 20:06
    바늘목줄이3센치라면 너무 짧다생각합니다.5에서7센치로 해보심이 좋을듯합니다.
    장교수 16-12-06 22:57
    원줄1,2호/ 스위벨 2호(0.42그람)에 목줄 0.8호 목줄길이 10Cm 바늘에서 4Cm 위치에 좁쌀봉돌 B를 물려서 무미늘 5~6호 바늘 채비면 입질이 깔끔 할겁니다.
    artfisher 16-12-07 12:57
    "목줄이 길면 헛챔질된다기에 3cm로 줄였습니다"
    손맛터 아닌가요
    목줄이 짧으면 흡입과 동시에 신호가 오기때문에 헛챔이 오지 않을까요.
    충분히 흡입하는 시간을 줘야된다는 뜻이겠지요
    손터에서는 목줄을 길게 쓰는 분들이 많을겁니다
    그리고 손맛터는 대부분 헛챔질이 많습니다
    진천나무 16-12-07 14:12
    찌가 그림같이 올라오는데 헛챔질 80프로.

    입질이 짧아서 입질따로. 찌올림따로 아닌가싶네요

    원봉돌과 스위벨을 붙여서 테스트 해보고싶네요.
    영화로운여름 16-12-07 18:47
    바늘이 좀 작을수도 있어서 그런가 싶네요 한두치수 큰걸 써보세요
    두마리만낚자 16-12-08 01:38
    전문지식이 좀달려서 오래동안 스웨벨을 사용하지만 아마도.. 제경험상 찌맞춤의 문제일듯하네요
    찌맞춤시 수면일치에서 천천히 내려가면서 일치가 되는지 아니좀 조금빠른입수가 되는지의 문제일듯하네요..
    그리고 스위벨호수를 조금내리세요 0.5추천드리구요 5~8정도의 목줄길이 추천드립니다..
    저수온기에는 아주천천히 수면일치.. 고수온기는 약간빠른 입수가 적당합니다.. 바늘도 5호는 관리터에서는 작은편으로 보이구요..7호정도가
    적당하나고 보여짐니다.. 떡밥크기는 딱바늘정도 크기며 챔질시기는 예신/본신일때 정점으로 올라가기 바로전이좋습니다..
    챔질시 너무힘을주고 하지마시고 살작만 딸각하는정도로 챔질해주시면 헛챔질을 줄일수있을것 같네요
    부부꾼 16-12-08 07:36
    제가 만약 채비를 한다면

    윗봉돌 2.4g / 아랫봉돌을 0.6 g / 기둥목줄 길이 15 ~ 20 cm / 바늘목줄 길이 5~6 cm / 바늘은 5호 정도로 채비할것 같습니다

    관리터 수심이 어느정도 인지는 모르겠지만 수심 상황에 따라서 입질은 틀려질것 같구요

    미끼를 뭘쓰시는지 몰라도 미끼 영향도 있을것 같구요

    찌를 올리는 도중에 뱉어도 찌는 계속 올라간다고 알고 있습니다

    챔질을 한템포 빨리 / 한템포 늦게 등 여러상황에서의 챔질을 해보셨으면 합니다.
    쩡콩 16-12-08 07:43
    관리터면 떡붕어 입질영향도 있지않을까요?
    떡붕어가 찌는 잘 올려도 입질이 약아서
    헛챔질이 좀있을수도 있습니다
    S모그 16-12-08 08:23
    찌가 실제로 움직이는 동작을 보고
    어떤 타이밍에 챔질을 하고 계시는지 봐야
    진단이 나올듯 하네요

    제가 보기엔 챔질 타이밍을 못잡고 있는것이 과반은되는듯 합니다
    5치만족 16-12-08 08:32
    모두 맞는 내용인것에 동감하고, 챔질을 스냅으로 톡 끊는 느낌이 아닌 길게 주욱 뽑듯이 하는것이..
    힘받는 무게점이 위에 있으니 챔질시 밑 스위벨이나 바늘부위는 너풀너풀거리게 되어서 나오는 현상 아닐까요
    주말노숙 16-12-08 08:47
    목줄3cm가 너무 짧은거 같은데요..
    4~5cm로 한번 해보세요
    simeon80 16-12-08 08:48
    찌가 조금 빠르게 솟구치지 않던가요?
    하우스에서 초봄에 쭈 ~ 욱 올리는 입질에도 헛챔질이 많이 나기에 콩알을 작게하고 찌가 올라오는 중에 채니 해결되더군요.
    myz****8333 16-12-08 08:59
    혹시 바늘을 달고 찌맞춤 한것은 아닌지~~~바늘을 달고하면 그 만큼 가벼운 찌맞츔입니다~~헛챔질의 원인은 여러가지 있으나 가벼운찌맟춤이 가장 큰 원인입니다
    실전븅어낚시 16-12-08 09:21
    찌가 오름을 꼭 붕어가 바늘을 물었다고 올린다고 생각하시나요???

    붕어가 바늘을 먹고 그렇게 올릴경우에 챔질이 늦던 빠르던 헛챔질 타율이 80%가 나올리가 있겠습니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채비 주면에 고기가 모여 원줄이나 뜬봉돌에 영향을 주어 찌가 올라오는 겁니다...

    즉 집어제 잔분등을 떠있는상태에서 받아 먹고 바닥에 안착된 미끼 흡입은 꺼려하니.. 실제 바늘입질전 찌가 들랑날랑 하니 챔질해도 맨날 헛빵인거죠..

    또한 바닥에 가만히 있어야 할 미끼가 움직이고 뜨니 바늘에서 이탈하여 미끼역할도 할수가 없지요..

    손맛터에서 완벽한 해결책은 없습니다.

    1. 집어제를 사용하지 않고 미끼만 사용(글루텐이나 어분 떡밥등)

    2. 미끼를 바꾸는 방법(이방법을 가장 추천) 통상 하우스 붕어도 지렁이에는 꾀나 반응 잘합니다.. 지렁이 외바늘 // 봉돌에 어분에 바라케를 배합하여 집어제가 잘풀리게 하고 드러운 입질은 가만히 내비두다가 정직하게 올리는 찌올림만 까내면 거의 입걸림 다됩니다..

    3. 찌마춤을 케미가 수면 일치로 좀더 무겁게 하는 방법인데.. 사실 이방법은 그닥 의미가 없습니다.. 정말 무거운 풍덩채비가 아니고서야 움직임에는 별반 차이가 없을 겁니다..
    실전븅어낚시 16-12-08 09:23
    4. 채비도 반드시 바꾸십시오 1호 정도 먹는 하우스 부력찌에 원봉돌로 가세요.. 스위벨은 원봉돌이 떠있기때문에 찌움직임에 표현이 더심한겁니다.. 떠있는 고기가 줄만 걸들어도 팡팡 올라오거든요
    쫑우 16-12-08 10:42
    바늘목줄 이 너무 짧네요

    그리고 스위벨채비랑 원봉돌이랑 다르지 않습니다. 스위벨이 바닥에 닿아있는 바닥낚시 기법입니다.

    채비에는 특별히 문제가 없는듯한데 잡어가 없는데도 헛방이 나오면 떡밥 물성을 바꿔보심이 어떨가요
    훈상이자주가는곳 16-12-08 10:56
    이미지가 제가 올린 채비 사진이네요.ㅎㅎ
    일단 목줄을 2배정도 길게 해보세요
    탱구리 16-12-08 10:58
    채비에 관한 사항은 위에 고수분들이 다 적어 주셨네요
    (목줄을 조금 더 길게, 스위벨을 조금 더 가볍게 등등)

    위에 실전븅어님의 의견에 많이 공감 합니다 (가짜 찌올림이라고 할까요)

    챔질을 지금보다 빨리 가져가보심이 어떨까 싶습니다
    손맛터의 붕어는 원체 학습이 많이 되다보니, 본능적으로 흡입 후 바로 뱉어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거운 채비, 맞춤 등의 문제로 인해 그런 경우도 있겠지요)

    삼켰다가 바로 뱉어 버렸는데(바늘은 이미 입 밖에), 가벼운 맞춤이다 보니 찌의 상승력은 유지 될 수 있습니다
    바로 떨어지지 않는거죠... 이걸 보고 (정점까지 기다렸다가) 챔질하면, 결국 붕어 없는 챔질이 됩니다

    로켓처럼 쏘아 올리는 입질은 버리시고, 다소 느리게 상승하는 입질에 좀 빨리 반응해 보시면
    헛챔질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트라웃 16-12-08 12:37
    저도 비슷한 경우가 있었습니다.

    수심 3m 찌는 몸통찍습니다. 챔질하면 헛챔질. 가끔 나오고 그래서 목줄길이 조정 스위벨조정 다 해보다가

    스위벨대신 원봉돌 달고 해봤습니다. 조금 무겁게. 똑같이 찌 몸통찍고 똑같이 헛챔질 나옵니다.

    결론은 채비문제가 아니라 붕어입질패턴이 그런거더군요. 그래서 몸통찍고 2-3초후나 내려갈려 할때 챔질하니 나오더군요.

    짜장이 많은 관리터 씨알은 6-7치 활성도 높은 7월이었네요.너무 채비에 의심하지 마시고 믿음을 가지시고 입질패턴을 분석하시는게 더 나은 조과로 이어지실거 같습니다.
    구퍼맨2344 16-12-08 12:44
    전 원줄 모노줄 2호. 목줄 당줄2호 목줄길이25cm 아랫목줄 5cm 바늘 5~6호 스위벨 0.5
    이렇게 사용 합니다.. 주로 손 맛터에서 즐기고요.
    극히 개인적인 경험 말씀 드리면 화성에 위치한 신ㅊ 손맛터에서 합니다.
    저도 처음에는 챔질 타이밍을 못잡아서 고생 햇어요 ㅎ.ㅎ
    찌는 쭈욱 잘올려 주는데 꽝 ㅋㅋ ㅋㅋ
    글쓴신님과 거의 비슷한 증상 이였습니다.
    전 반대로 챔질 타이밍을 빠르게 가져 갑니다.
    쭈욱 올라 오눈거 찌맛 보다가 챔질하면 거의 헛챔질 ㅎㅎ
    전 2~3마디 올라 올때 빠른 챔질로 바꾸니 조과가 훨씬 좋아 졋어여.
    실전븅어낚시 16-12-08 14:02
    가짜 입질인지 확인해보세요
    바늘에 미끼달지말고 봉돌에 집어제 달고 던져도 찌가 막올라올꺼에요
    절묘한타이밍 16-12-08 14:39
    저도 바늘문제 목줄문제 일단 패스하고
    본봉돌 스위벨 붙여서 테스트먼저해볼것
    같네요
    이관 16-12-08 16:16
    저도 같은경험 있습니다

    1. 낚시터 다른곳으로 가서 해보세요..
    찌올림에 잘 걸려올것이라 생각합니다

    2. 옴겨도 똑같은현상이 나타나면
    찌마춤을 조금더 무겁게 마쳐보시길바래요
    저도 스위벨채비를 많이 사용했었습니다
    스위벨 무검게 찌마춤해도 미약한 양어장 및 하우스 붕어들 잘~~올려줍니다
    무겁게 마쳐서 하는대 붕어가 안나온다?? 이것은 무거워서 못올리는것이 아니라 그날상황이 입질이 없는 그런날입니다

    3. 찌올림시 빠른챔질을해보세요
    올라올것 같다 생각드시면 1~2마디 올라오는거 바로 채보새요..

    4. 바늘호수를 가장 작은 호수 그리고 가장 가벼운 바늘로 사용해보새요


    위4가지대로 해보시면 거의 해결된다 보시면 됩니다~^^
    박가이버™ 16-12-08 16:17
    전 두가지라고 생각됩니다.
    1.가벼운 찌맞춤의 전형적인 모습입니다.
    바늘 달고 찌톱을 내놓는 찌맞춤에서 대부분 그런것 같습니다. 앞서 언급되었 듯이 작은고기가 흡입만해도 찌가 상승합니다. 넘 예민하기에 목줄길이는 스위벨에서는 크게 문제될것이 없지만 짧기에 여유없이 바로 찌에 전달 됩니다. 목줄이 짧으면 그만큼 이동반경이 작기에 예민하지만 입질이 경망스럽게 나타납니다. 즉 마이너스 예민 채비에 짧은 목줄은 예민도를 증폭시키는 채비 입니다.
    바늘을 달지 않고 영점을 잡고 해보고 예민성을 줄여보세요.
    2. 미끼의 크기입니다. 채비도 예민한데 글루텐에 잔고기가 입질하면 미끼의 바깥만 물고 올리니 찌는 제멋대로 상승합니다. 지렁이 꼬리물기와 유사합니다. 미끼다실때 사이즈를 줄여보세용
    박가이버™ 16-12-08 16:26
    양어장이면 풀어 놓은 사이즈가 어느 정도는 될 터이니 크기에 맞추어 바늘은 7호나 그이상 정도 적당해 보입니다
    빛고을시민™ 16-12-08 16:58
    원봉돌가벼운찌맞춤 긴목줄채비로 전향하세요
    재미 많이봤습니다
    메가피쉬 16-12-08 17:36
    스위벨 채비가 원래 그런걸로 알고있어요
    찌가 상승할땐 그냥 보고있다가 완전히 올라와서 정지하거나 동동거리거나 옆으로 끌고 갈때 챔질하면 훅킹 됩니다.
    또하나는 싸이즈 구분이 않간다는 거죠 대물터에서 스믈스믈 점잖게 올라와 챔질하니 세치 붕애 ㅋㅋㅋ
    별품은하늘 16-12-08 20:52
    낙시공식에 빨면 가볍다 입니다 또한 헛챔질도 가볍다입니다
    헛챔질이 나오면 찌를 두마디 올려보시고
    그래도 헛챔질 나오면 두마디 더올리고 비로소 후킹이 되면
    올린 마디수를 상쇠할 무게의 오링을 채우고
    낚시를 하시면 됩니다
    양어장 이나 관리터 하우스 낚시 동일 합니다
    붕어존중 16-12-08 22:15
    초보 조사입니다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한 말씀드리면
    저도 수위벨채비입니다 다대편성 하면서 이런저런 실험 많이해봤지만 가볍고 예민할수록 피곤하더라고요
    지금은 약간 무겁게 갑니다 무거워도 올릴찌는 다 올리더라고요ㅎ 수위벨이 바닦에다을때 살작 떨어지는느낌? 목줄은 8~10정도로하고요 짧은목줄은 몸통걸림도 많아서 ㅜㅜ 예민한채비 예민한만큼 본인도 예민해집니다 힐링하러 갔다 스트레스받음 안되잔아요 ㅎ
    안출하시고요^^
    요가 16-12-08 22:19
    여러곳을 다녀보시고 똑같이 80%의 헛챔질이라면 채비의 문제이지만..
    한곳에서 80%이면.. 채비이상이 아니라면 붕어의 문제일수도있습니다.
    좀더 빠른탬포에 챔질해보시고..

    전.. 다른곳을 한번 가보는걸 추천해드리고싶네요..
    다른곳에서 똑같은 헛챔질이 나는지 안나는지보면.. 답이 나오실거같아요
    완벽한 16-12-08 23:03
    중요한게 빠졋내요 .. 수심이 얼마정도 였는지요..
    2m 기준으로 깊으면 바닥에 스위벨이 있는것이 아니고 물위로 띠워졋서 있을것입니다.. 순간 챔질 아니면 고기는 없조. 이때 0링채우셔서 바닥에 스위벨 안착을 시켜야합니다.

    2m 기준으로 낮으면 위와 같은 상황이 물고기 마음 아니면 거의 나타 나진 않을겁니다... 가끔 잔쨍이 성화 심할때 그런 경우도 있으니가 ... 요

    스위벨 채비에 장점은 부드러운 입질입니다.. 혹시 저수온기 하우시면 본봉돌을 원줄 유동편납체비에 스위벨 채비로 바꾸시고 본봉돌을 최대한 찌 위로 올리셔서 사용해 보시지요. 저수온기 하우스 굳입니다.
    커버걸 16-12-09 00:44
    실전븅어낚시님 말씀에 동감하고 추가로 사실 손맛터나 규모가 작은 양어장 일수록 그런 현상이 자주 일어나는데 제일 큰 이유는 저의 경험에서 말씀드리자면 이물감 차이와 붕어 마리수 입니다. 일차적으로 하우스나 양어장에서 특히 하우스는 평상시에도 무지 예민한 상태인데 동절기엔 입질까지 약해서 살짝 빨거나 걷할기 식으로 먹는 경우도 많코 먹이를 흡입했다 해도 뱃는속도가 정말 빠르고 찌가 올라갔다고해서 물고 올렸다기 보다는 마릿수로 인하여 주변에 붕어들이 먹이물고 살짝 올리다 뱃는놈 따라가
    다 생기는 물살이나 제가 동생이 찌를 스믈스물 잘올리는데 헛챔질될때 자주하는 농담중에 붕어가 등으로 찌올렸네 하며 놀립니다. 그게 농담만은 아니고 실제 그럴때도 있구요 또 먹이가크면 바늘까지 물지 못하고 걷만 무는경우도 있고 등등 많습니다. 말이 길었네요 일단 채비를 좀더 가볍게 하시고 저부력 장찌 추천드립니다. 전 스위벨도 마릿수 좋았고 이것 저것 해보다 현채비에 만족하며 많은 마릿수를 하고 있네요 원줄 모노1.5 목줄 0.8 5호바늘 목줄길이12에서15 외바늘 사슬채비에 나루예 해조 찌 60센티짜리 제가가는 하우스는 365일 하우스고 써치가 있어서 탑찌고무탑 안달고 합니다 찌맞춤은 물쌀이 없는관계로 바늘이 바닥에 다으면 멈추고 3목땁니다. 그리고 글루텐보단 아쿠아 김밥 섞어서 질게 많이 치대서 가루로 떡밥 궤논것처럼 이물감없이 사용합니다 하우스 특성상 떡밥이 더 좋아 그런것이니 그루텐으로 하시면 평소보다 질게 사용하세요
    커버걸 16-12-09 00:50
    떡밥도 작게달아 주시고 외바늘이 찌올림 정직하고 빠는 입질보다 올리는게 많아요 하우스도 찌 잘 올리고 헛챔질도 줄겁니다
    만상 16-12-11 22:24
    후훗!!
    스웨벨 채비는 분납채비의 변형입니다. 예민한 입질을 원할때 주로 사용하지요.
    우선 목줄을 10cm 이상을 저는 권합니다.
    다음에는 원봉돌과 스웨벨의 무게를 비교해 보시고 7:3 정도의 비율을 밎춰 보시길. - 비율이 8:2나 그이상이 될수록 예민해지고 올라오는찌에 헛 챔질이 많이 나오구요
    - 반대로 6:4 아님 1:1로 되면 찌올림은 중후한데 전체적으로 둔해지는 느낌이 있죠.
    - 찌맞춤을 수평맞춤을 하는것 보다 목줄이 살짝 휘어질정도로 무겁게 하는걸 저는 권합니다. 최소 찌가 가라 앉아서 바늘이 바닥에 닿을 정도(수조 찌맞춤).
    가득이나 1g 정도의 봉돌로 가볍게 맞추는데 상층 찌로 당겨 올리니까 거의 내림 수준의 찌 맞춤이니까 올라올때는 헛챔질이 되죠.
    스웨벨 채비는 거의 내림 수준의 봉돌 예민함이잖어요.

    믿거나 말거나 .... 만상생각입니다.
    붕어천적레인 16-12-18 13:41
    문제가 생겼을 때는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하나하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스위벨 채비의 원리에 입각해서 처음부터 채비 모든 것을 재 확인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1. 찌의 선택
    사용하시는 낚시대의 길이에 알맞는 무게를 가진 봉돌을 써야 하므로 그에 맞는 찌인지 확인 하십니다
    (3.0칸이면 봉돌의 무게는 약 3.5~4.5g 정도, 2.5칸이면 2.5~3g 정도)

    2. 스위벨의 선택
    사용하시는 찌의 찌톱만을 침수하게 하는 정도가 가장 적당합니다 우선 원봉돌 하나만 달고 찌톱 시작부분에 마추고 기둥목줄에 스위벨을 달고 찌톱 끝이 수면에 일치되면 가장 알맞는 스위벨 무게입니다

    3. 찌마춤
    원봉돌에 스위벨만 장착한 상태로 수심을 체크 한 뒤에 찌길이 만큼 찌를 위로 올려줍니다 바닥에 스위벨이 찌 길이만큼 떠 있는 상태에서 찌마춤을 합니다
    장소에 따라 가볍게 또는 무겁게 찌마춤해야 할 경우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예민한 채비 찌마춤으로 해도 무방합니다
    께미꽃이 중앙부분과 수면일치하게 찌마춤을 합니다

    4. 바늘 장착
    바늘목줄은 하나는 5센치 하나는 7센치 정도로 달아줍니다

    5. 채비 투척
    미끼가 없는 상태에서 투척을 하여 찌톱 첫마디의 중간 부분이 수면위로 노출되도록 합니다 이렇게 되면 스위벨이 바닥에 모로 서서 닿게 되고 바늘은 자연스럽게 바닥에 놓여지게 됩니다 이때 찌마춤을 조금 무겁게 했을 경우라면 스위벨이 모로 서지 않고 옆으로 누어서 안착되게 되므로 스위벨을 사용하는 효과를 볼수 없는 둔탁한 채비가 됩니다

    6. 미끼달고 투척
    집어제와 주미끼를 달아서 투척해보면 좀전에 찌톱 첫마디의 중앙부분만이 수면위로 노출되었지만 미끼의 무게로 인해서 찌와 봉돌이 수직으로 서지 않고 사선입수가 되어 조금더 찌가 아래로 들어가게 됩니다 이때 찌를 올려주기 보다는 사선입수가 되지 않도록 낚시를 투척하고 난 뒤 잠깐동안 낚시대를 들고 있거나 앞으로 당겨주거나 하여 사선입수가 되는 것을 최대한 막아주는 것이 효과적이며 지나치게 집어제를 크게 달아서 무겁게 투척 하는 것 보다는 조금 작게 달아서 자주 투척해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7. 챔질
    찌가 매번 몸통까지 올라오는 경우라면 활성도가 매우좋거나 집어가 잘되어 있거나 외바늘을 쓰거나 하는 경우입니다 하지만 그게 아니라면 보통 그런 입질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집어도 안되어 있고 붕어의 활성도도 좋지 않고 외바늘을 쓰는 것도 아닌데 몸통까지 찌가 올라 온다는 것은 찌의 반발력이 너무 크거나 찌마춤이 지나치게 가볍게 되어 있어서 조금만 건드려도 위로 솟구치는 현상 즉 가짜입질일 확률이 더 높습니다

    위의 모든 사항들을 다시 점검했는데도 계속 몸통까지 찌가 올라오고 헛챔질이 이어진다면 그때는 찌를 다른 것으로 바꿔서 다시 채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찌는 똑같은 부력과 자중을 가졌더라도 제작당시 사용한 찌의 재질에 따라서 움직임이 모두 달라지는 한마디로 특성이 생겨납니다
    그러므로 계속 똑같은 현상이 발생한다면 찌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고 채비를 다시 마추는 것이 해답이 될수 있습니다

    스위벨 채비에서의 헛챔질은 80% 이상이 가벼운 찌마춤이 원인입니다
    또한, 스위벨 채비에서의 빠는 입질도 그 원인은 거의 모두 지나치게 가벼운 찌마춤입니다
    원칙은 스위벨 채비 역시 바닥채비의 일종이므로 스위벨과 바늘 모두 바닥에 안착되어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원칙이 지켜지지 않을 경우 원치않는 결과가 초래될수 있으니 채비할 시에 항상 원칙에 입각해서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낚시에는 원칙이 없다고 하지만 채비하는 데에는 원칙이 있습니다 ^^
    띠띠빵빵 17-12-06 20:51
    안녕하세요 스위벨
    채비낚시한지 5년 정도 됬습니다
    저도 잘모르지만 기둥목줄 20~30정도 주시면 헛챔질 덜하실거 같아요 저도 얼마전에 하우스 낚시 하는데 헛챔질이 자꾸 되서 기둥 목줄 30센치 로 바꾸고는 정확한 입걸림이 되더라구요 아랫목줄은 4센치 줫습니다!!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