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카본사와 모노라인

    수7124 / 2024-05-26 22:43 / Hit : 6272 본문+댓글추천 : 19

    2b7baa2661_ddunk_qna10444049.jpg
    5016256fc4_ddunk_qna10455717.jpg


    카본사는 가볍게 맞춤을 하면 줄의 무게에 의해 찌가 낚시대 쪽으로 당겨오는 것을 이해를 하겠는데...

    모노라인이 굵은 줄(예 4~5호)을 사용하면 카본줄 처럼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는데 동조하나요?

    (이미지)낚시춘추 2018년 11월호


    S모그 24-05-27 11:09
    [2번째 그림]은 맞는 이야기이구요.

    어떤 낚시줄이든 가볍고, 조금 더 무거운 차이만 있을 뿐 원줄의 무게 때문에 봉돌에서 찌에 이르는 안착각도가 기울어 지게 되어 있습니다.
    이 상관관계를 명확히 이해해서 계산만 가능하다면, 저 안착 각도도 계산이 가능합니다.
    (계산으로 미리 예측이 가능하며, 미리 예측이 가능하기에 의도 할 수도 있습니다.)

    제가 전에 계산해논 자료내에서 추출해서 몇가지만 보여드리자면,
    (낚시대는 40칸으로 기준, 칸수가 정해져야 원줄의 길이가 정해지기에....)
    (사용봉돌(부력)은 3g으로 기준, 봉돌(부력)은 3g이 정해져야 그를 기준으로 안착 각도 산출이 가능하기에, 봉돌무게가 클수록(고부력)을 안착각도가 90도에 가까워지죠.)
    <아래는 제가 전에 계산해놨던 자료중에서 비교해서 볼만한 내용만 추출한 것들입니다>
    <자료가 꽤나 방대해서 이 댓글 상에서 다 보여드릴 수는 없구요. 웹상에 각 종류의 낚시줄과 부력과 사용하는 낚시대 칸수별로 산출해서, 검색이 가능하도록 제가 올려논 자료도 있긴 합니다.>

    40칸, 3g봉돌(부력), 나일론 4호원줄, 채비의 안착기대각도 [89.28도]
    40칸, 3g봉돌(부력), 나일론 5호원줄, 채비의 안착기대각도 [89.10도]
    40칸, 3g봉돌(부력), 카본 5호원줄, 채비의 안착기대각도 [84.43도]
    40칸, 3g봉돌(부력), 카본 4호원줄, 채비의 안착기대각도 [85.65도]
    40칸, 3g봉돌(부력), 카본 3호원줄, 채비의 안착기대각도 [86.82도]
    40칸, 3g봉돌(부력), 카본 2호원줄, 채비의 안착기대각도 [87.87도]
    40칸, 3g봉돌(부력), 카본 1.5호원줄, 채비의 안착기대각도 [88.39도]
    40칸, 3g봉돌(부력), 카본 1호원줄, 채비의 안착기대각도 [88.97도]
    40칸, 3g봉돌(부력), 세미플로팅타입(비중 1.07일때) 4호원줄, 채비의 안착기대각도 [89.64도]
    40칸, 3g봉돌(부력), 세미플로팅타입(비중 1.07일때) 5호원줄, 채비의 안착기대각도 [89.55도]

    <번외자료>
    20칸, 3g봉돌(부력), 카본 5호원줄, 채비의 안착기대각도 [87.78도]
    30칸, 3g봉돌(부력), 카본 5호원줄, 채비의 안착기대각도 [86.15도]
    40칸, 3g봉돌(부력), 카본 5호원줄, 채비의 안착기대각도 [84.43도]
    50칸, 3g봉돌(부력), 카본 5호원줄, 채비의 안착기대각도 [82.62도]
    60칸, 3g봉돌(부력), 카본 5호원줄, 채비의 안착기대각도 [80.72도]
    70칸, 3g봉돌(부력), 카본 5호원줄, 채비의 안착기대각도 [78.73도]
    80칸, 3g봉돌(부력), 카본 5호원줄, 채비의 안착기대각도 [76.63도]
    # 장대로 갈수록 원줄이 길어지므로, 안착각도가 더욱 기울게 되고, 긴 장대로 수심이 매우 낮은 포인트로 낚시하는 경우에
    활처럼 휘어지며 가라앉은 원줄의 일부는 물속 바닥에 얹혀지면서,
    채비가 가벼워져서, 본봉돌이 떠오르게 될 수도 있으며,
    이는 채비된 목줄 길이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붕어가 입질을 해도 찌는 올림 표현이 되지 않고, 끌고가는 표현만 보게 될 수도 있습니다.


    [1번째 그림]의 왼쪽 첫 그림은 현장 맞춤과 근접하게 맞추고자, 수조통에서 봉돌 아래에 사용하는 원줄전체를 직접 매달아서 찌맞춤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만. 저 발상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왜냐하면, (찌위의)원줄은 낚시대(초리실)과 찌가 양쪽에서 잡고, 그 전체무게의 절반씩[낚시대 부담+찌가 부담]을 나눠서 부담하기 때문에,
    원줄 전체를 찌에 몰빵해서 매다는 것은 채비를 실제 사용할 원줄의 [수중무게 1/2] 만큼 더 가볍게 채비할(찌맞춤할) 오류를 가지고 있습니다.

    [1번째 그림]의 우측 설명은 맞는 이야기이구요.
    원줄이 찌 위에 위치해 있을 때는 원줄의 수중무게를 낚시대와 찌가 동등하게 나눠서 부담했지만,
    원줄이 찌 아래로 내려가게 된 양은 찌가 고스란히 부담해야할 무게값으로 변화되기 때문에 찌맞춤 량이 (공략하는 수심에 따라)변화할 수 있습니다.

    # 공략 수심이 달라지면 '수압 때문에 찌맞춤값이 변한다는 이야기들도 돕니다만.'
    수압은 모든 방향(위아래,좌우 모든 축)에서 작용하고, 그 수압들의 합력은 0이 되기 때문에 채비맞춤값이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 만약, 수압이 위에서만 작용한다면,
    수중에서 날계란을 깨면, 프라이팬에 올려진 계란처럼 물 바닥에 떨어져 납작하게 펼쳐져야 합니다만.
    실제로는 수중에서 둥근공처럼 모양이 잡혀서 마치 무중력상태에서 우주인이 유영하듯 합니다.

    (비중, 단위중량이 각기 다른)원줄의 소재에 따라서 수중무게가 달라지기 때문에,
    공략수심의 변화에 따라
    위의 [2번재 그림]의 안착각도 계산처럼 찌맞춤의 변화값은 계산으로서 예측이 가능합니다.

    # 카본줄 공기 중 단위중량 1.8(g/㎤) -> 카본줄 수중 단위중량 0.8(g/㎤)
    -> 수심 1m 변화 시 찌맞춤 값의 변화량(g) = (카본줄 1m의 총 부피 계산)X(카본줄 수중 단위중량)X(1/2)
    (* 카본줄 1m의 총 부피 = 해당 카본줄의 단면적X1m)

    나일론 공기 중 단위중량 1.14(g/㎤) -> 나일론 수중 단위중량 0.14(g/㎤)
    -> 수심 1m 변화 시 찌맞춤 값의 변화량(g) = (나일론 1m의 총 부피 계산)X(나일론줄 수중 단위중량)X(1/2)
    (* 나일론줄 1m의 총 부피(㎤) = 해당 나일론줄의 단면적X100(cm))

    세미플로팅 타입의 나일론 줄 공기 중 단위중량 1.07(g/㎤) -> 세미플로팅 타입의 나일론 줄 수중 단위중량 0.07(g/㎤)
    -> 수심 1m 변화 시 찌맞춤 값의 변화량(g) = (세미플로팅 타입의 나일론 1m의 총 부피 계산)X(세미플로팅 타입의 나일론줄 수중 단위중량)X(1/2)
    (* 세미플로팅 타입의 나일론줄 1m의 총 부피(㎤) = 해당 낚시줄의 단면적X100(cm))

    플로팅 타입의 나일론 줄 공기 중 단위중량 0.98(g/㎤) -> 플로팅 타입의 나일론 줄 공기 중 단위중량 -0.02(g/㎤)
    -> 수심 1m 변화 시 찌맞춤 값의 변화량(g) = (플로팅 타입의 나일론 1m의 총 부피 계산)X(플로팅 타입의 나일론줄 수중 단위중량)X(1/2)
    (* 플로팅 타입의 나일론줄 1m의 총 부피(㎤) = 해당 낚시줄의 단면적X100(cm))


    물의 단위 중량 보다 수중 단위중량이 조금이라도 무거운 낚시줄이라면,
    공략수심이 깊어질 수록 그 수심에 비례하여 찌맞춤이 무거워지는 게 보통입니다만.
    '플로팅 타입'의 원줄을 채비해 놓은 경우에는 공략수심이 깊어질 수록 그 수심에 비례하여 찌맞춤이 오히려 가벼워 질 수 있습니다.

    낚시하면서 원줄이 수면위로 뜨면, 초릿대를 수중에 쳐박아 억지로 입수시켜서 낚시를 하기도 합니다만.
    비중(단위중량)이 원천적으로 물보다 가벼운 낚시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중에 억지로 쳐박혀 있다고 한들
    어차피 물속에 쳐박은 물놀이용 튜브 마냥 떠오르려고 용을 쓰기 때문에 어차피 채비에는 떠오르려는 부력으로 작용하게 되어 있습니다.
    물보다 무거운 낚시줄은 아래로 활처럼 휘어서 내려앉지만, 플로팅 타입은 역으로 위로 볼록하게 떠오르려고 하겠죠.

    보통의 나일론줄(비중 1.14)나 세미플로팅 타입의 경우, 원줄로 쓰면
    수중무게가 가벼운 편이기 때문에 카본원줄 보다는 채비 안착각도에 영향을 적게 주기도 하며,
    낚시대 끝에서 찌다리에 이르는 원줄의 내려앉은(가라앉은) 형태 또한 얼른 보면,
    수면과 수평을 이루며, 가라앉게 되며,
    색상을 가지는 원줄의 경우에는 물 밖에서 육안으로도 관찰이 가능한데
    이를 보는 이의 입장에 따라
    "카본줄은 잘 가라앉아서 보이지가 않는 데 나일론줄은 물속에 떠있더라!"라며 표현을 하기도 합니다만.
    수중 무게가 0값에 가까울수록 수중에 가라앉는 형태는 초리실 끝에서 찌다리 끝까지의 안착형태는
    아래로 활처럼 휘기 보다는 거의 직선에 가깝게 안착이 되기 때문에,
    물밖에서도 충분히 육안으로도 원줄의 관찰이 가능하게 된 것입니다.

    아이고 쓰다보니, 출근도 하지 않고 이글을 작성하고 있네요.
    머리 아프다 하지 마시고, 이해 하실 수 있는 만큼만 이해하셔서, 정확한 낚시를 하시는 데에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중등부 정도의 기초지식만 가지고 계셔도 충분히 이해 하실 수 있을 겁니다.
    S모그 24-05-27 12:38
    S모그 24-05-27 12:43
    물속에서 계란을 깨면....유투브 영상

    https://youtu.be/OFFkIuHnJgE?t=30
    똘이아부지 24-05-27 14:50
    낚시 너무 이론적으로 하면 머리아퍼요
    처음배울땐 이론으로 낚시하지만 경험도 중요합니다
    예전에 겨울 하우스낚시 간적 있습니다
    저는 수초 채비 5호원줄 봉돌 12호
    옆조사님 아저씨 그 채비로는 입질 받기 힘들어요
    줄도 두껩고 봉돌도 무거워요 하십니다 예민한 채비로 공략하랍니다
    결과는 저만 연타로 50여수했죠 옆조사님 미끼 머쓰세요 물으십니다 한수 가르처 드렸죠
    원줄과 봉돌은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는다 찌마춤은
    영점 무중력 이기때문에 찌 마춤만 잘하면 된다
    낚시 지금은 1년된 초보조사님이 조력 40년 된 저보다 이론적으로 더 잘알고 게십니다 아무래도 유튜브와
    인터넷 영향이겠죠 낚시 넘 복잡하게 생각하지 마세요 이리저리해보고 본인 생각대로 하심됩니다
    돌고돌아 풍덩이 생각나네요
    담여수 24-05-28 06:15
    흔히들 침력이라고 하는데
    정확히는 중력이죠.
    피싱라이프 24-05-28 10:03
    그냥 지나가려다...

    정확히는 중력이라기 보다

    찌맞춤 얘기에서 부력과 반대 개념으로 침력이라고 표현합니다

    중력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거구요. 찌의 부상력 부력

    채비의 수중 안착 과정에서 찌를 내리는 힘 침력.

    그래서 침력이 맞습니다
    바람의실드 24-05-29 23:28
    똘이아부지님 태클아닌 태클 걸께요

    요즘도 겨울 하우스낚시가보셨는지 가보셨으면 요즘도 5호줄로 50여수하시는지

    그렇다면 진정 고수라 하실만한데

    제생각에는 아닌듯 합니다만??
    욕심많은달빛 24-05-30 07:09
    위 내용들은 낚시줄이 최대한 팽팽하게 펴졌을 때의 경우가 아닌가요?
    채비안착 후에 살짝 한 번 들어주면 찌에서 낚시대까지의 줄이 느슨해지며 무게로 작용할 지는 몰라도 각도에 크게 영향은 안 줄거 같은데요.
    S모그 24-05-30 08:13
    @욕심많은달빛
    지구 상의 모든 물체(고체, 액체, 기체 전부 포함)는 지구의 중력에서 자유로울 수가 없습니다.
    느슨하게 있던, 팽팽하게 있던 (활처럼 휘어져 가라앉는 최대 심도(깊이)만 달라질 뿐)
    지구의 중력을 무조건 받게 되어 있으며, 똑같은 무게 값을 가지고 바닥으로 가라 앉으려는 상황은 동일합니다.
    (저울 위에 올라가서 온몸에 힘을 주고 있던, 힘을 최대한 빼고 무게를 재던 체중은 같죠.)

    제 댓글 속에도 언급된 내용이 조금 있습니다만.
    원줄이 과하게 느슨해지면, 저수심의 경우에는 물속 바닥에 원줄이 내려앉아 버리면서,
    당초에 계획했던 것(맹탕에서 찌맞춤 했던 것) 보다 채비가 가벼워져서 채비가 떠오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minow44 24-05-30 08:35
    카본사도 모노라인 입니다.
    낚시와인생 24-05-30 09:40
    중국붕어, 향붕어 등등
    양어장, 하우스 등등

    참 낚시 어렵게 만든 요소들...

    우리 토종붕어님들은 대충 그냥 잡수시는디 ㅋㅋ
    노지는 채비보담 바닥(현장) 상황이 더 많은 영향 주는듯

    낚시는 과학적이지만
    낚시는 세월이고 인생이지요
    쉽게 가면 쉬운 것이고 어렵게 가면 어려운 것이겠지요.
    즐기러 가면 무소유 행복을 잡으러 가면 소유적 불행이 될 수 있는 것이 또한 낚시이고 인생이겠지요.

    40여년 전에 떡밥 봉지 하나 가지고 칸델라 불빛과 대나무 낚시대로 과학이 없는 낚시를 할 때가
    그리워지는 하루입니다.

    지나가는 길에 질문과 상관없는 댓글 올려봅니다.
    욕심많은달빛 24-05-30 10:03
    @S모그
    아..무슨 말씀이신지 이해했습니다. 어차피 중력때문에 가라앉으면서 찌를 당긴다는 말씀이시죠?
    제가 궁금한 것은 팽팽한 힘과 가라앉으려는 힘이 동시에 작용하는 것 보다 가라앉으려는 중력만 작용하면 각도가 덜 생기지 않겠나?이런 생각을 해봤습니다.
    별은내가슴에 24-05-30 10:08
    낚시 참 어렵군요
    지붕지기 24-05-30 10:23
    S모그님 계산과 설명은 복잡하나 2번째 그림
    이해, 참조하시면 도움될 듯 합니다.

    첨언하면 안착각도가 수직이 아니더라도
    붕어 흡입후 찌올림에는 별 영향이 없다고
    봅니다.

    위 설명에도 있듯이 개인적으로
    저는 40대 이하는 카본 4호, 그 이상대는
    카본 3호줄로 호수 낮추어 저수심층에 조금이라도
    덜 가라앉게 합니다. 또한 케스팅 유리 및
    잉어대물 랜딩에도 원줄터짐이 덜할거라 생각합니다.
    S모그 24-05-30 10:32
    @욕심많은달빛

    제가 그려서 올린 그림대로,
    [2]찌부력 = [1] (찌위에 있는 원줄무게의 1/2) + [3] (찌아래에 있는 모든 채비부속의 무게 합)

    [1], [2], [3]의 대표적인 3가지 힘이 서로 다른 작용점(서로 다른 위치)축에서 원줄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저 힘 3가지가 항상 줄다리기 하듯 작용하고 있고 있는 셈이죠.

    [1] (찌위에 있는 원줄무게의 1/2)은 봉돌이 내려앉는 수심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약간의 가변이적이긴 합니다만.
    (찌위에 있는 원줄무게의 1/2)은 길이만 같다면 항상 같은 무게값으로 채비의 복합적인 '합력의 조합'에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캐스팅 후에 낚시대를 낚시꾼 쪽으로 살짝 당긴 다음에 놓으면,
    채비가 완벽한 90도로 서 있을 것 같은 생각도 할 수 있습니다만.
    당긴만큼 봉돌의 안착 위치 수심의 변화에 따라 (찌위에 있는 원줄의 길이)는 조금 변할 수 있습니다만.
    저 원줄의 무게는 그래도 계속 작용 중이기 때문에 완벽한 90도는 만들 수 없습니다.
    (보통의 밸런싱된 채비들은 90도(85~99.999999도)에 가깝게 서 있긴 합니다만.
    그걸 사선이라 부르기도 뭐하고, 수직(완벽한 90도)라고 말하기에도 어정쩡 하죠.)

    모든 채비가 완전히 부양되어 있는 스타일의 '중층 낚시'를 할 때
    가벼운 타입의 나일론을 원줄로 쓰는 경우에는 현상이 덜하지만,
    무거운 카본줄을 원줄로 쓰면, 최초 캐스팅 된 찌 위치가 시간이 갈수록
    점점 더 낚시인 쪽으로 다가오는 현상을 체감할 수 있죠.
    (수심이 무한대라면 결국은, 미끼가 없는 빈 낚시대 일지라도 원줄 무게로 인해 낚시대 초릿대 끝까지 찌가 끌려오겠죠.)
    (수심이 얕다면, 원줄 중간이 활처럼 휘어져서 아래로 점점 가라앉아 내려가다가, 원줄의 일부가 물속 바닥에 닿게 되면 더 이상 다가오지 않게 되는 경우도 생길 것이구요.)
    S모그 24-05-30 10:40
    @욕심많은달빛

    바로 윗 댓글 중
    (보통의 밸런싱된 채비들은 90도(85~99.999999도)에 가깝게 서 있긴 합니다만.
    그걸 사선이라 부르기도 뭐하고, 수직(완벽한 90도)라고 말하기에도 어정쩡 하죠.)

    '90도(85~99.999999도)'이 내용이 오타가 있네요.
    90도(85~89.999999도)로 수정합니다. ^^
    욕심많은달빛 24-05-30 11:13
    @S모그

    정성스런 댓글 감사합니다.

    저런 것들이 낚시하는데 그렇게 중요하거나 붕어를 잡는데 큰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S모그님의 지식에 입각한 글이나 댓글들을 재미로 잘 보고 있고 제 생각의 댓글도 한 번 달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S모그 24-05-30 12:26
    @욕심많은달빛

    네..
    낚시하면서 잘 못 생각하거나
    남의 이야기만 듣고 고스란히 복사해서,
    엉뚱한 낚시에만 빠지지 않는다면야
    조과에 큰 영향을 끼칠 일을 없죠.

    하지만,
    잘 알고 있다면 낚시하면서
    엉뚱한 함정에 빠질 수 있는 상황을 미리 알 수는 있고.

    엉뚱한 채비를 구상해서,
    괜한 헛수고나 돈낭비를 한다거나,
    자신이 함정에 빠져 있는 줄도 모르고,
    기가 막힌 채비나 방법이라며 수많은 사람들에게 전파해서
    수많은 사람들이 엉뚱한 낚시의 길로 접어들게 하는 역효과는 방지할 수는 있을 겁니다.

    세상만사 대부분이
    아는 만큼 '흑과 백', '좋고 나쁨'이 명확히 보이니까 말이죠.

    원시시대의 사람들이 하늘에 떠 있는 별을 바라보는 관점이랑
    무려 130억 광년이나 떨어진 별을 관측하고 분석할 수 있는 현대랑은 별들을 바라보는 관점이 많이 달라졌죠.
    그렇지만, 원시시대나 현대의 사람들이나 살아가는 방식은 비슷하죠.
    일하거나 사냥해야 먹고 살 수 있는 원천적인 것은 변한 게 없죠.
    내일은맑음 24-05-30 17:01
    조금 곁 가지로 빠지는 이야기가 될 수 있을 듯 합니다만
    2번 그림 "카본사를 쓸 때 무거운 찌맞춤이 필요한 이유".....

    성제현님 께서 스위벨 채비 설명하는 동영상에서 원줄이 카본이면 더 무거운 찌 맞춤이 필요하다 하시더군요
    근데 원봉돌이면 그나마 그럴 수 있다 싶지만
    스위벨에서 카본사에 찌를 더 무겁게 맞춘다는 것을 저는 지금도 동의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부다주 24-06-02 11:55
    잘 배우고갑니다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