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요런 채비는 어찌하나요????

    비단잉어 / 2009-03-12 09:10 / Hit : 6747 본문+댓글추천 : 0

    바닥채빈데요 봉돌밑에 긴목줄은 6cm 짧은목줄은 3cm입니다 긴목줄3cm중간에 요주리좁쌀봉돌2호 물 물립니다 근데 문제는 여기서 부터 입니다 맞춤을 빈바늘에 2단 입수가 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찌를 채비 쪽으로 40~50cm 내려서 2단입수 비슷 하게 해봤읍니다 저는 헤라 모노줄 1.5줄을 썼구요 입질을 몇번 받았는데 찌올림은 잘올리더라구요 하우스 여건상 낮이 되고 수온이 오르니 입질이 지저분 해지고요~ 그려면 이채비는 정확히 어찌 맟추어야 할까요~조력있으신 조사님께서 답변좀 부탁 드립니다 그리고 물속 상황은 좁쌀이 바닥에 다은 상테 일까요? 아니면 군계일학 좁쌀봉돌맟춤식으로 하면 어떨까요~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환절기에 감기 조심하시고요~

    자연자연 09-03-12 09:49
    님의 채비가 군계일학 "좁쌀봉돌" 채비입니다.

    "맞춤을 빈바늘에 2단 입수가 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는

    뜻이 어떤 으미인지는 모르겠으나, 2단 입수는 찌 마춤 시 나타나는 현상이라기 보다는

    낚시 중에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봅니다.

    님의, 채비에 대해서는 잘 설명하셨으나 찌 맞춤에 대해서는 설명이 없군요.

    40~50cm 내려서 물에 던진 후, 수심에 따라서 케미 1/2 또는 수면일치 등으로 맞추시면 됩니다.

    저는 현장 찌맞춤 시 이렇게 합니다.

    수심 2.5m: 6호 바늘(좁쌀2호) 낮 케미 2/3노출 맞춤
    5호 바늘(좁쌀2호) 낮 케미 전부노출 맞춤
    10호 바늘(좁쌀2호) 낮 케미 수면일치 맞춤

    수심 3m: 6호 바늘(좁쌀2호) 낮 케미 3/1노출 맞춤

    수심 4m이상: 6호 바늘(좁쌀2호) 낮 케미 수면일치 맞춤


    낚시는 원칙이 없으므로 본인의 경험과 취향대로 하시면 되겠지요.

    비단잉어님, 제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언제나 안출하시고 498하십시오.^^*
    하늘소99 09-03-12 10:29
    아마도 김태우씨가 하던 방랑자채비(그것도 일종의 가지바늘이죠..)를 말씀하시는 듯 합니다.

    이론상 이단 입수는, 바늘이 바닥에 닿을때 잠시 멈칫하고, 잠시 후 봉돌이 바닥에 닿는 형태인데요..
    그만큼 예민하다는 말입니다.
    실제 노지에서는 구현하기 어렵습니다.

    통상 말하는 이단 입수는, 일차 입수후에 원줄등의 무게에 의해 이차입수가 발생하는 겁니다.
    정확하게는 찌가 자기앞으로 아주 약간 당겨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잉탱이 09-03-12 10:43
    제가볼때는 군계일학 좁쌀봉돌 채비와는 약간 상이 한듯 하고요
    수조통에서 맞추실때 케미꽃이 하단에 맞추시고 낚시하실 때에는 약 2마디 정도
    내놓고 하시면 좁쌀 봉돌만 바닥에 안착이 될듯 싶습니다. 만약 윗바늘이 2단입수가
    된다면 원봉돌이 바닥까지 내려간다는 애긴데 이렇게 되면 좁쌀물린 바늘쪽은 약간
    무거울듯 싶습니다.
    비단잉어 09-03-12 20:05
    방랑자 채비란 하늘소 님 말슴이 맞네요~저두 인제 생각이 납니다
    자연님 하늘소님 잉탱님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
    저두 도저히 실력이 없어서 이채비로 좁쌀만 바닥에 안착시키기가 힘드네요` 걍 늘 하던데로 이봉 채비루 갈까 합니다~ㅋ
    모두 건강하십시요
    피싱홀릭 09-03-12 22:44
    본봉돌과 좁쌀 봉돌 비율을 7:3 정도 하면 찌 맞춤 편하고 찌올림 지저븐 하지 않고
    깨끗합니다. 너무 깍았을 경우 중층용 오링으로 조절하면 수월 합니다.
    붕순아놀자 09-03-13 05:27
    방랑자 채비 입니다
    바늘이 보통 붕어 바늘 4~7호 사이이면 채비 다 달고 수심 체크후 찌를 30~40cm 내려 캐미 꽃이 하단에 마추시면
    거이 정교한 마춤이 됩니다. 낚시할때는 한목 내 놓코

    이단 입수는 우선 긴목줄 바늘이 바닥에 닿고 좁살과 짧은 목줄 바늘이 바닥에 닿는거이지요
    좁살 채비라면 바늘을 띠고 마춤을 해서 현장에서도 정교한 이단입수를 구현할수 있지만 방랑자 채비는 좀 과정이 까다롭기
    때문에 물살이나 바람이 없는곳이라면 카터칼로 봉돌을 가감하며 찌의 모습을 보고 이단입수를 선정하는게 제일 무난할뜻
    합니다.

    입질 표현은 빨림이 6~7할 올림이 3~4할 정도 나옵니다
    짧은 바늘에 미끼 긴바늘에 집어제~
    바꾸어서 해보셔도 됩니다~

    입질 표현이 깔금하지 않아 별로 추천하고 싶지 않습니다~
    shimanoman 09-03-14 23:21
    거론하신,, 2단 입수란.. ^^
    찌가 입수를할때,, 입수속도가 쬠 속도감있게 입수를하며..
    점점~~ 입수속도가 느긋해집니다..(요걸 쉽사리 1차입수)
    여기서.. 1차입수까진,, 바늘끝이 바닥에 닿을때까지의 입수이며..

    목줄에 좁쌀을 달았을터이니,, 2차 입수는 여기부터 입니다~~
    바늘이 누우면서 목줄에단 좁쌀이 바닥에 닿을때의 입수를.. 비로소 2차 입수라합니다 ^^

    잘 살펴보면,, 목줄의 바늘끝부터 좁쌀의 거리(CM) 까지의 길이만큼..
    2차입수할적에 찌 입수시,, 속도감이 한결느긋한 찌의 입수가 시야에 들어오게 됩니다!!

    군계좁쌀채비의 이해성은..
    먼저,, 제대로된 영점찌맞춤을 능통하게 하실줄아는 꾼님들은 이해가 훨~ 쉬우시며..
    영점찌맞춤의 찌맞춤경험후,, 군계찌맞춤또한 쉽사리 이해할것이라 봅니다!
    목줄에 달랑 좁쌀만을 추가하는것이니~~ㅋ

    원줄과 목줄의 종류는,, 암꺼나 사용하여도 되지만..
    원줄만큼은,, 카본라인보단 가벼운 모노라인을 사용하는것이 바람직합니다!!
    쬠 이라도 도움이 되셨음하며.. 그럼 이만~~ ^^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