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원줄과 목줄의 적합한 매치?

    물안개와해장한잔 / 2008-11-29 23:28 / Hit : 6476 본문+댓글추천 : 0

    붕어도 이제 서서히 '스토브 리그"에 접어 들었습니다.

    조과와는 무관한 내용입니다.
    1년도 안된 초보지만 바닦 낚시에서
    같은 재질 일 때 원줄보다 목줄이 꼭 가늘어야 할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예를 든다면 PE일 경우 원줄 5호에 목줄 3호.
    원줄보다 한두 치수 낮은게 적합한 매치 일까요?
    적당한 굵기를 선택 하여 고기를 제압하다가
    원줄, 목줄 중 어느것이 터진 적이 많습니까?

    저는 단지 목줄은 채비(바늘) 교환을 쉽게 할 수 있다는 개념으로 생각 합니다.
    원줄 pe 2 - 2.5호에 목줄 캐블라 3호를 주로 사용 합니다.
    원줄이 터지는 것은 상처가 있거나 매듭 때문이라고 보기 때문이죠 .
    매듭에 아주 신경을 곤두 세웁니다.
    대물을 못해 보았지만 줄이 터져 놓친적은 없습니다. 어복이 있어 그런지는.....

    혹 굵은 원줄을 믿고 무리하게 "강제 진압" 혹은 "들어 뽕'하시다가
    오히려 더 큰것을 잃지는 않으셨는지요?
    채비 손실과 손맛을........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깁니다.

    옛말에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고 하엿습니다.
    그러나 이외수 선생님의 말씀은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도 갈 수 있고 고속도로로도 갈 수 있고
    세상에 갈 수 없는 곳이 없다고 하였습니다"
    시행 착오를 겪더라도 '5분만 발상 전환을 합시다".
    한 철 갓 지난 초보가 선배님들께
    할일없어 스토브 옆애 앉아 응석을 부려 보았다고 생각하시고
    너그럽게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정수라의 '아 ! 대한민국" 가사중에
    "뚜렷한 사계절이 있기에 볼 수록 정이 드는 산과들........."
    있는 사람들에게나 좋은 사계절 입니다.
    자원도 풍부하지 않은 나라에 사계절 때문에 없는 사람들 에게는
    여름에는 냉방비 겨울에는 난방비 걱정이 태산입니다.
    우리들에게 겨울은 대도 못 담그고 좀 쑤시게 할 뿐입니다.
    일년 내내 28도 정도였으면.........

    청돌 08-11-30 00:13
    터질꺼 예상하고 만든게 아니라 만일을 대비한 개념이
    아닐까 싶네요..
    그에 따른 채비의 손실을 최소화 하자는 이유라 생각합니다..
    대물은 아무래도 수초를 옆에 두지 않으면 안되고 수초에
    제대로 감기면 채비손실 감수해야되지 않나 싶네요..
    이상 허접조사의 생각입니다..
    쿠마 08-11-30 12:09
    원줄을4호로사용하신다면 목줄은3호로사용하시는것이 낚시대 찌 채비를보호하지 읺을까합니다 언제나 안출하세요
    예지인 08-11-30 12:49
    PE 2~2.5호 원줄은 케브라 3호 목줄 보다 강하지요.
    목줄을 원줄보다 약하게 쓰는 것은 채비를 보호하기 위한 것도 있지만~
    붕어로 하여금 이물감을 덜 느끼게 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금란지교 08-11-30 21:03
    낚시줄로 사용되는 것들 중....

    나이론줄 : 상처와 순간적인 챔질, 충격에는 강하나 인장 강도가 약하고 내구성이 떨어지며 신축성이 카본에 비해 큼.

    카본줄 : 상처와 순간적인 챔질이 약하나 인장 강도가 나이론줄에 비해 강하고 내구성이 좋으며 신축이 적다.

    합사줄 :

    -케브라 : 보편적으로 사용되며 나이론, 카본줄에 비해 부드럽고 인장강도가 강해 원줄보다 얇아도 동일한 강도를 갖고 있어 목줄로 사용.

    -PE : 케브라 합사줄보다 연성, 강도가 우수하여 최근 목줄로 선호.

    대물에는 원줄로 사용되는 나이론,카본줄을 목줄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알고 있습니다. 합사줄의 부드러움 때문에 생미끼가 목줄을 휘감기 때문이라고 알고 있으며...

    일반적인 원줄 : 목줄 = 2 : 1(합사) 으로 알고 있습니다. 즉..원줄 3호 사용시 합사 목줄은 1.5호이하로 사용해야 원줄 터짐을 막을 수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만약, 목줄을 원줄과 동일한 재질의 줄을 사용하면 동일한 호수를 사용하여도 매듭이 목줄쪽에 있기 때문에 동일한 호수 또는 바로 밑에 호수를 사용하여도 원줄 무리는 없다고 생각됩니다.(단, 원줄쪽은 무매듭으로 구성)

    두서없이 적었습니다. 개인적인 소견입니다.
    나무닭 08-12-01 00:50
    대물과 한번 만나보십시요....
    진짜붕어 08-12-03 01:08
    원줄이 강하고 목줄이 약해야
    수초에 걸렸을때 될 수 있으면 목줄이 터질수 있도록 하는게 좋은 방법일것 같네요.
    그렇지 않으면 초릿대나 2,3번대가 나가겠죠? ㅎㅎ
    춤추는부들 08-12-08 03:49
    매듭부위 터짐에는 면사로 해결이 됩니다...
    8자매듭이든 일반 매듭이든 면사를 같이 매듭을 하면 왼만해선 않터지죠..
    목줄과 원줄의 차이를 두는 이유는 찌의 유실을 막기 위함과 채비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 하자는데 있을겝니다..
    목줄이 터지면 바늘만 교체하면 되지요..
    커피중독 08-12-14 13:09
    원줄보다2단계낯추는게최고죠 ㅋ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