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자유게시판] 유동 스위벨 봉돌 간격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훈상이자주가는곳 / 2016-07-21 14:25 / Hit : 7824 본문+댓글추천 : 0

    날씨가 많이 덥습니다.
    유동 스위벨 채비를 사용하고 있는데
    1.어떤 입질이 발생할때 본봉돌하고 스위벨 간격을 넓히거나 짧께 주는지요
    2.본봉돌하고 스위벨 간격을 넓을때와 짧을때 낙하 속도는 어떤지요
    관해 문의드립니다.

    야전CLUB 16-07-21 15:44
    양어장에서 사용중이신지? 노지에서 사용중이신지 모르겠네요.

    일단 저도 붕어 많이 잡기 위해 군계일학의 스위벨 체비를 합니다.(양어장만)

    노지도 매월이찌로 채비 해서 해봤는데...... 열통 터져서 노지 사용은 포기 했습니다.

    노지에서 찌마춤에 연연하고, 이것저것 해보다 보면 결국 원봉돌 채비로 돌아오게 되더라구요. 재경우에는....

    양어장 같은 경우 저도 낚시 도중 테스트를 좀 해봤습니다. 궁금 하면 직접 해보는 스타일이여서....

    군계일학의 특장 물방개찌 중 사용으로 동일 원줄 모노 1.5 목줄 당줄2호 사용, 바늘 감생이 1호 사용으로 동일했구요

    한쪽은 일학스위벨채비 스위벨 당줄길이 25Cm로 하였고, 한쪽은 본봉돌 채비로 하여

    똑같은 방법으로 찌탑 반마디에 쇠링 소짜 달아서 딸깍 마춤 했습니다.(군계일학 동영상 참고)

    결과는 스위벨 채비가 더 예민한 채비여서 찌올림도 더 좋아야 하고, 좀더 예민한 입질을 어신으로 전달해 줄거라 생각 했는데....

    둘다 똑같더라구요.... 테스트 장소는 봉재낚시터 좌대에서 진행하였고... 시기는 산란기와 배수기 사이였습니다.

    지금은 양어장갈때 걍 본봉돌 채비로 합니다. 스트레스가 훨 줄어듭니다.

    양어장에서 입질 약할땐 찌톱 1마디 딸깍시키고, 입질이 괜찬다 싶음 반마디 딸깍 합니다.

    조과 차이도 별로 없더군요.

    이상 재가 테스트 해본 결과이고 스위벨 채비의 심오함을 재가 파악못해 이런 결과가 나왔는지는 몰라도

    길이에 너무 연연하지 마시라고 글올립니다. 서론이 너무 길었네요.
    바다와램프 16-07-21 17:04
    저는 스위벨 채비쓰다가 지근은 원봉돌만씁니다 스위벨채비 헛챔질많고 당줄과 목줄엉킴많서 이제는 원봉돌만 씁니다
    중후한헛챔질 16-07-21 17:46
    유동봉돌을 쓰신다면 제대로 이해했는지 모르겟지만 본봉돌 유동으루 주는 해결사채비로 인식되네요. 입질상황에따라 본봉돌유동을 주는 방식을 쓰신다

    굉장히 피곤한 스타일로 변질될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고기활성도에따라 아니면 고기 습성에따라 찌올림이 다 틀린데 그때마다 간격의 유동을 주시는건

    득보다 실이 많으실겁니다. 정확한 기준을 잡으시고 평상시 즐겨쓰는 간격에서 위아래 5~10센치 미만의 유동폭을 권장드리며 초기 권장 간격은 하단

    하단 스위벨의 무개로 잡으시길 바랍니다 분할봉돌은 이론상 10센치만 간격을 줘도 제기능을 쓰시는데는 문제가 없지만 대류.수심.원줄굵기.장소에 따라

    변경을 해보시고 노지같은경우 8~15센치 이하 양어장 15~25센치 정도면 문안하더군요 단 예민하게 찌맞춤을 하실수록 간격을 넓히시는데 찌맞춤보단

    장소에따라 간격의 기준을 잡으시는게 좀더 유리하실겁니다 (노지냐 / 양어장이에따라)

    또한 하강속도는 손맛터나 하우스 같이 고기가 상층부에 떠있을때 간격을 넓혀주면 하강속도가 저하되어 떠잇는 고기가 같이 따라내려가 입질을 유도

    하는 의견도 있습니다. 반대로 회유를 차단하여 잡는 노지경우 간격을 줄여줘서 포인트 투척의 정확도를 높여줘 입질확률이 높더군요

    정답은 아니지만 스위벨채비를 쓰면서 느끼고 주워들이 얘기니 ㅎㅎ 참고만하세요
    바늘없이낚시 16-07-21 20:53
    어떠한채비던정확한답은없습니다.
    과학적으로논리적으로따졌을때가장근접한방법,
    혹은채비를얼마나믿느냐에따라기법이달라집니다.
    본봉돌ㅡ스위밸봉돌
    윗목줄길이에따른변화는, 이물감차이부터아셔야됩니다.
    윗목줄이짧다면, 스위밸채비를할이유가없겠지요?
    실질적으로물속에서본다면, 작은스위밸봉돌을들었을시
    찌가스물스물올라오게됩니다.이물감이적다는소리죠.
    그게스위밸쓰는이유중하나니까요.
    개인적인기준(8cm~15cm)
    짧게쓰는경우는입질활성도가띄어날때,
    길게쓰는경우는입질빈도가약할때,
    그런데굳이스위밸봉돌유동을줄필요는없다고봐요.
    낚시줄이라는건최대한장착?하는게적어야되고,밑걸림최소화
    매듭또한적어야합니다.(손상방지,매듭많을수록인장강도떨어짐)
    가장중요한것은, 본봉돌과 스위밸봉돌의 밸런스입니다.
    이것또한정확한답은없습니다.하지만최소한알아줘야할것은있슴돠
    저번에누가찌가1목만올라오고,동동떠내려간다고전화가왔는데,
    밸런스를무시하고 본봉돌9g 스위밸봉돌0.5g이라고하더군요.
    절대찌못올립니다.윗목줄다올릴때까지는,
    본봉1g당 적어도 스위밸봉돌 0.2g은 하셔야찌가올라옵니다.
    얘기가길어졌네요.
    입질이좋은유료터는 짧게
    입질빈도가적은노지는 적당히길게
    개인적으로유동스위밸은안하셨으면하는바램입니다.
    윗목줄멈춤고무왔다갔다하면
    상할테니까요
    jisoobong 16-07-22 21:02
    다 소용 없어요. 원봉돌로 하세요. ^^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