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떡밥초보입니다ᆞᆢ

    비맞은대나무2 / 2013-05-20 10:07 / Hit : 6019 본문+댓글추천 : 0

    다대편성과갓낚시를 즐겨하다가 이번에 수술을 하게돼어
    요양중입니다

    아직은 요양중이라 무거운 짐을 들고 다닐수도 없고 대를 많이 피기도 힘듭니다 ᆢ

    낚시가 너무 하고싶어 생각한게 짐을 최소로 줄이는 떡밥낚시로 낚시를 하는중 떡밥은 완전 초보라 궁금해 글 남김니다

    우선 자수정 32대 쌍포와 34대를
    원줄2호ᆞ목줄은 합사 2봉 ᆢ 낚시방에서 파는 작은바늘
    찌는 고리봉돌 0.8호에서 조금 깍아서 맞추었습니다

    미끼는 집어용으로 포테이토와 흰색글루텐100 그람씩
    섞어서 집어 했으며 딸기그투텐으로 콩알보다 크게
    꾹꾹눌러 잔입질이 없으면 20분 툭툭 건드리면10분후교체해 주었습니다
    혹몰라 낚시대 던진후 바로 수거해서 보면 바늘에 글루텐이 조금 뭍어 있었습니다
    조과는 3일동안 하루 4 시간 이상 짬낚에 손가락만한 떡붕어 한마리 입니다 ᆢ ㅠ

    제가 가는 저수지는 토종ᆞ떡붕어 ᆞ잉어ᆞ가물치 ᆞ그리고 향어가 조금 있습니다

    떡밥을 전혀몰라 그냥 글루텐으로으로 낚시를 하였는데
    떡밥낚시의 매력도 상당함을 알았습니다

    이번기회에 제대로 떡밥낚시를 배워보려 합니다
    채비법및 집어제 ᆞ배합기술ᆞ집어방법ᆞ미끼교환시기등
    너무 궁금 합니다

    모쪼록 좋은 정보 부탁 드립니다

    검색하여 자료검색도 하였으나 잘 모르겠어서 부탁 드립니다

    오늘도 좋은하루 보내시고 떡밥의 매력에 푹빠진 저에게
    구원의 손길을 보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가 궁금한점은

    비맞은대나무2 13-05-20 10:09
    스마트라 맨밑에글은 삭제 입니다

    오늘도 좋은하루 보내세요^^
    진산월 13-05-20 10:34
    저도 떡밥 초보낚시인이라 반가워 글남깁니다.
    초보라 조언드릴게 없네요. 재미난 낚시하세요.^^
    비맞은대나무2 13-05-20 10:36
    진산월님 감사합니다^^
    공부하는데 조금 어렵내요 ㅎㅎ
    엙웱웱 13-05-20 12:32
    저도 초보라 해박한지식은 없지만 군계일학 홈페이지에서 보고 따라하는데 손맛은 간간히봅니다.
    이번에 홈페이지 개편하면서 강좌 찾아보기가 수월하더군요~
    正道 13-05-20 13:12
    떡밥낚시좋죠 ^^ 대부분 떡밥낚시를 하시다 대물로 넘어가는경향이 많습니다
    떡밥낚시하시는 분들은 거의 스위벨을 많이들 선호하시더군요
    유료터는 가지않으시는분같습니다
    여러가지 계량컵을사용하고 물배합도 마추고하시던데...
    그래도 안나올땐 죽어도 안나오죠 ㅎㅎ 활성도 좋을때는 떡밥 대충넣어두 나오죠..
    초기 집어시는 집어제를 약갈 보슬보슬하게 물에 들어가면 약간 빨리 풀리게 사용하는편이고요
    어느정도 집어가 돼면 물을 약간 추가하여 좀 찰지게 사용하는편입니다
    집어제 +글루텐 가장많이들 사용하고 가장 보편적입니다
    저같은경우는 초기집어는 5분간격으로 교환합니다(어느정도 집어가됄때까지)
    계량컵이나 그런건전혀 안쓰기에 배합기술은 패쑤 ^^
    글고 떡밥낚시는 대물낚시와는달리 찌맟춤을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챔질타이밍은 대물생미끼보다 한탬포 빠르게 챔질하시면됩니다 ^^ 허접한답변이 도움이 돼셨음좋겠습니다 안출하시고 건강언능 쾌차하시길 기원합니다
    『마바리™』 13-05-20 13:35
    집어제는 어분과 보리계열의 떡밥을 혼합하여
    부슬부슬하게 집어하시고

    먹이용글루텐 되게 게는것보다 묽게 게는것이
    좋습니다.

    보통 글루텐100Cc에 물100cc 1:1비율로
    많이하시는데 빠른 입질을 보기위해서는
    글루텐100cc에 물120cc정도로 묽게하시면
    좋습니다.

    피래미나 잡어가 많다면 글루텐을 빼시고
    어분과 보리만으로 낚시하시면 좋습니다.

    부디 빠른쾌유를 빌어드립니다.
    비맞은대나무2 13-05-20 14:41
    엙웱웱님 홈페이 동영상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도님 스위벨 채비로 대물채비가 돼어 있는데
    바늘만 작은것으로 바꾸어서 해봐야 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마바리님 물을 약간 적게 넣었는데 조금 더 넣어서 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 감사드리며 떡밥과 글루텐사서 저수지에서
    잠깐 해보고 오겟습니다^^
    달랑무™ 13-05-20 14:46
    후후~
    비맞은대나무2 13-05-20 20:30
    무갑장님 ᆢㅋㅋ

    오늘도 꽝치고 왔습니다

    떡밥의 길은 멀고도 어렵내요
    강태공68 13-05-21 00:47
    떡밥낚시.... 쌍포낚시.... 올림낚시 중에서 노가다에 속합니다.

    꾸준한 집어와 예민한 채비로 마리 수 낚시에 적합합니다.

    그런데 자수정 32대가 쌍포 떡밥낚시로로 쓰기에는 약간 무거워 보이는군요.( 원래 자수정대가 대물대로 나왔죠)

    차라리 25대 정도가 더 좋을 수 있습니다( 양어장 회유하는 라인이 32대 길이라면 할 수 없지만..)

    떡밥낚시는 초기 집어시 5분정도에 한번씩 떡밥 투척이 이뤄 집니다. 두 대를 번갈아 던지니 2~3분에 한번씩 던지게 되겠죠.

    보통 집어제와 글루텐을 짝밥으로 바늘에 달아 던지게 됩니다.

    집어제 배합이 어렵다면 하이킥이나 마이웨이등 바닥낚시 집어제로 나온것을 쓰셔도 됩니다. (30분 정도 집어를 했는데 입질이 없다면

    어분류를 섞어 주시면 좋습니다. )

    떡밥배합이되면 뭉쳐서 물바가지에 넣어 보아 풀어짐을 봐야 합니다. 잘 풀어져야 좋습니다. 미끼교체시 바늘에 떡밥이 남아 있다면

    물성 조절을 해야 합니다.

    대물낚시와 떡밥낚시의 차이점은 제 생각은 아래와 같습니다.

    1.찌마춤 - 떡밥낚시의 찌마춤은 대물낚시에 비해 훨씬 예민하게 합니다. 노지냐 양어장이냐 입질의 예민성에따라 찌마춤도 다르지만 대물낚시에 비하면 찌마춤은 예술에 가깝지요.

    2.대편성 - 쌍포의 경우 2대를 같은 회사제품에 라인 길이도 같게 찌도 같은 걸로 해서 찌의 간격을 30센티정도로 해서 집어의 극대화를 노립니다.

    3.미끼 - 떡밥낚시는 일명 노가다낚시라 할 정도로 수시로 미끼 교체가 이뤄 집니다.보통 집어제로 보리계열에 어분류를 섞어쓰고 미끼로는 글루텐 또는 글루텐에 어분을 섞어 씁니다. 미끼의 물성은 물바가지에 뭉쳐서 넣었을때 바닥에 떨어지자 마자 풀어지기 시작 해야 합니다. 집어 후에는 약간 더 단단해도 상관없겠지만....

    참고로 포테이토는 주로 내림낚시에서 씁니다. 떡밥낚시는 주로 보리를 쓰고요. 유료터라면 어분류가 필수입니다.

    떡밥낚시는 부지런함이 생명입니다. 집어만 되면 내림낚시가 안부럽습니다. 그래서 떡밥대가 좀 가벼운걸 선호합니다. 자주 들었다 놨다해서.....

    낚시에 정도가 없으니 제가 아는 정도만 적었습니다. 또 다른 방법의 떡밥낚시를 하는 분의 의견도 들어보시길 바랍니다.
    비맞은대나무2 13-05-21 13:55
    강태공님 감사합니다

    지금껏 자수정32대가 무겁다는 생각을 안했으나
    어제 연속 투척을 하니 팔이 아팠습니다

    짤은대가 큐와 자수성 이라 30대와 28 대로
    바꾸어 해야 할듯 합니다


    밑밥 배합및 알고계신 지식을 나누어 주어서 감사합니다

    갓낚시 위주의 낚시만 하다가 떡밥을 해보니
    이게 또 묘한 매력이 있내요^^

    감사합니다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