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궁금합니다, 전문가께서 좀. . .

    라이징썬 / 2014-06-17 10:45 / Hit : 3838 본문+댓글추천 : 0

    일반적으로 원봉돌낚시의 경우, 목줄 길이를 딱히 정해진 법(?)은 없지만 통상 8~15센티정도로 한다고 하지요(물론, 그이상 길게 쓰는 경우도 있지만) 저의 경우도 통상 10센티정도로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목줄이 충분히 길면 찌올림 또한 좋지요.
    그런데 스위벨 채비시 목줄은 5센티 정도가 적당 하다고 하는데, 이것역시 원봉돌 낚시의 목줄처럼 10센티 혹은 그이상(10~15센티)주면 입질시 찌올림이 더 좋지 않을까요?
    왜, 5센티정도가 좋다고 하는지 이해가 가지 않네요. . .
    이론적으로는 어떨지 모르겠지만 또 이론도 중요 하겠지만, 혹 실전에 강한 그리고 경험이 풍부한 전문 고수님께선 어떠신지요?
    한수 지도 부탁 드립니다.

    dlwkdnjs 14-06-17 13:34
    스위벨도 단일봉돌과 동일하게 사용해도 됩니다.
    분납효과로 이물감이 줄어들어서 목줄길이를 짧게 해도 괜찮다...라는 이론인데,
    제자리서 훅 빨고 우물거리다 가버리는 잉붕어급 아닌 이상은 목줄길이가 길어서 붕어를 감지하지 못하는 일은
    거의 희박하다고 생각 합니다.
    실제로도 스위벨채비 쓰시는 많은 분들께서 10센티 이상 목줄을 사용하시기도 합니다.
    중부대물팀록시 14-06-17 14:44
    짤은 지식으로 말씀드립니다
    원봉돌보다 사각지역이 쉽게 생긴다고 생각합니다
    스위벨 채비에 긴목줄은 원봉돌 채비보다 사각지역생기기가 쉽다는 제 생각입니다
    원봉돌과 스위벨로 분할했기땜시롱 먹이흡입시 스위벨만 움직이면서 사각지역이 더 쉽게 생긴다 사료됩니다(목줄을 길게 쓸때)
    제 생각이었읍니다
    조선펜더 14-06-17 18:50
    목줄길이는 쓰고 싶은데로 쓰시는게 답이죠 허나 너무 길거나 짧으면 되려 독이 될수도있습니다
    예민한손놀림 14-06-17 18:52
    스위벨채비,,도 다 같은 바닥낚시채비 입니다.
    목줄 길이를 다르게 해야 한다~가 아니라 짧게 할수 있어서 입질 전달이 빠르다...

    그런 측면의 해석입니다...

    님께선 목줄이 길면 찌올림이 좋다고 생각 하시지만
    또 다른 측면에선 찌올림을 손해본다~라는 해석이 더 많습니다.

    누구나 사용하는 목줄길이는 취향껏~ 하시는 것 아니겠습니까...
    저의 경우는 8cm 이상의 목줄은 애초부터 절대 쓰지 않습니다... 경험상 불리했기에...

    스위벨채비도 그렇게 사람마다 다양하게 쓰면 되는것이지요...
    좁쌀봉돌채비를 10년이상 써보니 활성도 따라 득실의 차이가 많았구요...

    얻은 결론은 6~7cm 정도면 활용폭 넓게 쓸수 있었습니다.
    요즘 제가 주로 쓰는 변형,,원봉돌채비는 목줄 7~8cm 씁니다.

    대호지를 주로 다니는데 목줄이 길면 찌를 조금밖에 못 올릴때가 많더군요.
    취향은 그렇게 개인차가 있는 것이고 그것에,,해야한다~라는 법칙은 무의미 합니다.
    미니캣 14-06-17 19:59
    저도 10센티정도 사용합니다.입질중후하며 후킹잘됩니다.
    피싱마니아 14-06-17 21:35
    5센티라는건 아마도 평균치 일겁니다.
    여러가지 해보니 이정도가 제일 괜찮터라..정도죠.
    분납은 이물감을 줄여 민감하게 반응하게 하는게 목적일테니...
    목줄이 길다면 긴많큼 손실이 생길 수 있고 짧다면 짧은 많큼 찌반응은 좋을 수 있으나 찌올림이 요란할 수도 있고...
    결국 목줄과 찌형태가 중요하고 ...
    찌에 따라 목줄길이도 일정부분 달라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뚜기형은 반응이 느린편일 테고...일자형은 반응이 빠를테니까요.
    무제한 14-06-17 22:11
    원봉돌채비와 스위벨채비의 차이점을 먼저이해하시는게 먼저인것 같습니다

    간단하게말씀드리면 시각적이물감 차이라생각합니다

    붕어가 입질을할때 시각적으로 느끼는 이물감을 줄이고자 봉돌을 분할했다고 생각하시면 이해가되실겁니다
    입질을했을때 붕어시야에 큰봉돌이 움직이는것과
    작은봉돌이 움직이는것과 시각적으로 이물감차이가 날겁니다
    하여 원봉돌채비는 최소 8cm이상을 써줌으로써 시각적이물감을 줄이는것이며
    스위벨채비는 3~5cm를 써도 아랫봉돌의 크기가 작으므로 시각적으로 이물감을 줄여주기때문입니다

    그리고 스위벨채비는 빠른입질과 찌올림의 폭을 키우기위해 목줄길이를 짧게쓰는것입니다

    단 떡밥의주로 하실경우엔 짧게써도되나
    생미끼를 사용하실경우엔 원봉돌채비처럼 8~10cm로 써주는것이 유리하다 생각합니다
    이유는 떡밥같이 말랑말랑한 미끼는 단숨에 흡입하여 먹이에대한 이물감이 없이 먹이를 먹지만 생미끼는 흡입과 뱉음을 몇차례한뒤 먹이에대한 거부감(이물감)이 없음을 확인한뒤 먹습니다
    그러하기에 생미끼를 쓸경우 이물감과 거부감을 줄여주기위해 목줄에 여유를주어 붕어가 맘편히 먹도록 유도하는차원입니다

    그리고 목줄길이는 원봉돌채비나 스위벨채비나 개인취향에 맞게 혹은 현장상황에 맞게 길이를 조정하시어 쓰시는게 답인듯합니다

    조금이나마 도움되셨길바랍니다
    어복충만하시옵소서^^
    라이징썬 14-06-19 15:43
    여러 고수님들의 조언 감사드립니다.
    여유롭게™ 14-06-22 18:26
    유익한 정보 잘배우고갑니다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