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잉어,향어 채비나 찌맞춤이 다른가요?꼭좀 많은 답글 부탁드립니다..

    디비넷 / 2006-08-28 15:20 / Hit : 22756 본문+댓글추천 : 0

    제가 관리형 유료터를 주로 찾아가는데 전에는 수입붕어가 주종이었으나 최근에는 잉어와 향어를 방류하여 잉,향어가 더 많습니다..

    두가지만 질문드리겠습니다.

    1. 잉어,향어 낚시에서는 붕어낚시와 찌 맞춤이 달라야 하는지요..전에 붕어를 상대로 할때는 그래도 10여수이상의 손맛은 본것 같은 잉,향어 이후로는 밤낚시를 하고 오후까지의 조과가 3마리를 넘기지 못합니다.
    도대체가 입질파악도 안되고 챔질을 할수 없을 정도의 짧은 입질입니다.
    혹시 다른 찌맞춤 기법이 있는것인지???

    2.잉,향어 낚시에서도 좁쌀봉돌 채비가 유리한지요..
    좁쌀채비를 사용하여 잉어와 향어를 한마리도 못걸어 보았습니다.
    군계일학채비에 6호 바늘이었는데 입질을 한번도 못받았습니다..


    많은 답글 기다리겠습니다..
    참고로 저의 조과가 2,3마리지 다른 조사들중 많이 잡는 사람은 20여수 이상 하시는 분들도 있었습니다...

    놀자 붕어야 06-08-29 10:52
    채비에 문제는 크게 없다고 생각이 듭니다.
    바늘은 조금더 큰 9호정도의 바늘을 사용하는게 좋은것 같고요.
    노지에서는 12호 바늘까지 쓰는데 양어장의 경우 노지의 잉어보다 힘도 떨어지고
    크기도 그리 크지않기 때문에 9호정도의 바늘에 7센치정도의 목줄길이에 2호합사줄
    이면 충분하리라 봅니다.
    많이 잡은 조사가 20여수 했다고 하는데 잉어의 특징이
    몰려 다닌다는것 때문에 그 분이 많이 잡을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됩니다.
    물론 실력도 있었겠지만
    내 채비가 잘못돼서 못잡은것이 아님니다.
    잉어들의 특징이 약간 경사진 곳으로 붙어 다니는 경우가 많지요.
    그래서 긴대로 먼곳에서 부터 가까운데로 바닦을 찍어가면서 지형을 파악하여
    경사진곳을 찾아 경사진곳의 시작부분의 낚시대 칸수를 맞추어서
    하시면 대박날 확률이 그만큼 높습니다.

    또한 입질형태도 붕어입질같이 쭉 올려주는것이 아니라
    한마디 정도 (나도모르게)올렸다가 내렸다가 하다가 어느순간 찌가 사라지는 입질형태가
    많이 나타납니다.
    이건 잉어의 입이 머리를 숙이고 먹는 형태가 가니라 자바라 같은 입으로만 흡입을 하고 몸을 돌려서
    찌에 나타나는 현상이 한마디정도 올라왔다가 찌가 옆으로 끌려가던지 아님 찌가 물속으로
    들어가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때가 챔질 타이밍입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챔질방법에 있어서 대를 붕어잼질하는식으로
    앞으로 당겼가가 들어올리는 방식은 피하시고
    두손으로 그대로 대를 세우는 챔질을 하시는것이 좋습니다.
    두손의 간격도 낚시대의 손잡이 끝부분을 잡고 두손의 간격을 벌리지
    마시고 챔질을 하셔야 합니다.
    대물의 경우 두손의 간격이 벌어지면 대가 부려질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향어는 미끼를 오믈거리면서 흡입하면서 찌를 약간 밀어 올립니다.
    한마디 두마디,,,일단 챔질을 해야 합니다.
    챔질은 일단 찌가 움찔 움찔 하다가 한마디 정도 솟아오른다면 챔질을 해야 합니다.
    잉어입질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이상으로 허접한 답변이였습니다.
    손맛 징하게 보시고 오시길 바랍니다.
    jmkjjh01 06-08-29 22:32
    1. 잉어,향어 낚시에서는 붕어낚시와 찌 맞춤이 달라야 하는지요..

    2.잉,향어 낚시에서도 좁쌀봉돌 채비가 유리한지요..
    좁쌀채비를 사용하여 잉어와 향어를 한마리도 못걸어 보았습니다.
    군계일학채비에 6호 바늘이었는데 입질을 한번도 못받았습니다..


    답변)
    잉어 .향어 낚시 찌맞춤은 달라야하는지요.
    우선 대상어종이 붕어냐 잉어냐 하는 대상어종에 찌맞춤보다
    어종에 따라 바늘선택이틀려지겠죠.
    잉어. 향어바늘은 6호 바늘을 기준으로 한다면 7호내지 8호 바늘을주로씁니다.
    바늘이 크므로 찌 맞춤도 다소 무겁게 (수면 수평맞춤으로 하셔야합니다)해야합니다.
    수조통에 7호 이상바늘을 군계일학찌로 캐미 반정도~3분의2를 내놓고 찌맞춤하고 난뒤
    군계일학찌 특성상 찌를 캐미꽃이밑 1~2cm내놓았을때 좁쌀봉돌이 바닥에 안착하지 않습니다.
    군계일학찌 맞춤 보통은 캐미을 꽃고 캐미 반에서 3분의2내놓는고 찌맞춤하시고
    현장에서는 찌를 한마디이상내놓고 낚시를 하셔야만 찌의 시원한 올림을 볼수있습니다.
    단 잉어나 향어는 찌를 시원하게 올리는것보다는 찌가 깜박하면서 입질을 보입니다.
    제 경험상 찌맞춤을 달리하시느냐가 우선이 아니고 바늘이 몇호 사용하느냐에따라
    찌 맞춤이 틀려진다는 이야기입니다.

    두번째 질문)잉어 .향어낚시에 좁쌀봉돌채비가 유리하냐는질문
    제 답변은 어느채비가 잉어 향어 채비에 어울리느냐가 아니고
    좁쌀봉돌채비는 옛날부터 사용한 전통 바닥채비의 장.단점을 한단계 업그레이드 시켰다봅니다.
    전통 붕어.잉어류는 바닥권에 있는 먹이를 약45도 형태에서 먹이를 흡입하고 흡입후물위쪽으로 머리를들고
    올라온다면 찌가 올라올것이며 다시 아래로 내려온다면 찌가 내려지겠죠.
    요즘 양식장에 붕어.잉어는 거의가 어분에 길들여져있는 어종입니다.
    거기다 많은 고기를 한 가두리에 모아놓고 기르다보니 먹이를 주고 난후 배 고픈 고기는 바닥에
    안착하기전 물에서 내려오는 먹이를 받아먹을수있죠
    어느 채비가 중요한게 아니고 제 개인적으로는 디비넷님께서는 바닥낚시(올림낚시)를 하시는것같은데
    시간이 되신다면 내림 낚시나 중층낚시도 배워보시면서 자신에게 맞는 낚시를 선택하세요.
    잉어 어종을 잡고싶은 마음이 크시다면 떡밥 종류를 바꾸어보세요
    제 경험상 잉어류는 고운 떡밥종류보다는 약간 꺼진 입자를 가진 떡밥을 더 좋아하는것같네요!
    특히 노지 낚시때에는 더 더욱 그렇습니다.
    이상 제 경험상 두서 없이 글을 남깁니다.
    군계일학 찌 맞춤 상세히 말고 싶다면
    jmkjjh01@yahoo.co.kr
    메일 주소 남겨주시면 찌 맞춤 동영상( 봉돌찌맞춤)보네드릴게요!
    디비넷 06-08-30 22:49
    답변주신 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jmkjjh01 06-09-01 23:23
    디비넷님
    메일주소 받았는데 동영상 메일 용량이 큰관계로
    보내기 어렵네요
    주소창에 일학레져 치면 찌 맞춤동영상있습니다.
    다운받아보시길 바랍니다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