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수수내림낚시

    · 옥수수 미끼를 이용한 내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유동추 ?이물감?

    먹수낚시20년 / 2012-02-23 15:38 / Hit : 4276 본문+댓글추천 : 0

    회원님들 안녕하십니까 날이많이풀렸습니다 항상 즐거운 낚시하시구요 ㅎ
    유동추에대해 질문이생겨서 글을올립니다
    유동추(편납홀더+편납)...
    전층 ,옥내림에 1~2센치 움직일수있게 여유를주어 이물감을 덜어주는용도,또는 추의위치를손쉽게 이동할수있어 상황에적절하게많이쓰이는걸로알고있습니다
    본인역시도 예전 전층낚시할때 유동추를 사용했습니다 지금도 옥내림에사용하고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수조찌맞춤을하다 과연 유동추가 이물감을 덜어줄수있을까(1~2센치 움직일수있게여유를 주었을때) 라는 의문이들었습니다
    가령 물속에 채비를 투척하여 안착이되었을때 찌는 뜰려고합니다 그역방향으로 힘이작용하여 힘의크기에따라 개개인만의 찌맞춤이됩니다 그역활을 추가하고 있구요 한마디로 일반적인채비에한하면 찌에서추까지 목줄전까지 찌와 추는 줄다리기하는셈이됩니다 물론 추를도와서 뒤에서 바늘과 목줄 미끼도 한몫하고있구요
    이때 괴기들이 먹이를 먹으려는 힘은 괴기쪽으로작용을하는데요 (흡입이라고표현하겠습니다) 여기서 추의 여유를줌으로써 괴기가 흡입을할때 찌의 전체부력 즉, 추가잡고있던 찌의 뜨려고하는 모든 부력을 흡입하는순간 모두 받게되는거 아닌가요? 그래서 더 이물감을 느끼는거아닌가요? ..오히려 역효과아닌가요?
    무심코 5년가까이 사용했습니다. 붕애잡히는거 이거한다고 붕할미 나오는거아닙니다 .조과에차이없습니다 .경찰도출동안합니다 그래도 궁금하기에 질문합니다
    질문을 요약하자면 유동추를 움직일수있게 1~2센치치(대략)여유를 주었을때 과연 이물감을줄여주는 역활을할수있나 그냥고정추가 더 유리하지않을까 입니다
    월님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계십니까

    짜증나고 힘든 하루를 보내고 계시더라도 출조의 행복한 물가를 생각하며 회원님들모두 힘내십시요ㅎ

    1718수색대 12-02-23 17:15
    조과에차이가 있고없고는 확실히모르겟는데
    저는 고정추를사용하여도 조과에차이를 느끼지못하여
    편납홀드 고정추병행해서 사용하고있읍니다
    가을풍경 12-02-23 18:26
    고정이 유리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파리 12-02-23 18:55
    별 차이가 없습니다.
    움찔 12-02-23 20:18
    빈바늘.무바늘찌맞춤이냐에 따라서 차이가 있겠지요 하절기에는 모르겠지만 동절기에 가까워질수록 차이가 큽니다
    Aramis 12-02-23 20:57
    오늘 이래저래 답글을 많이 다는것 같습니다...^^

    유동이냐 고정이냐..
    지금까지 말들도 많았고, 저 또한 그 중심에도 있어봤습니다...ㅎ

    조금 예민할수 있는 부분이지만..궂이 말씀드리자면..
    조과나 이런부분에 직접적인 효과는 의문입니다만, 이론적으로만 보면 어느정도 유동이 이물감이 적다는게 맞습니다.

    이물감이란게..바늘의 느낌, 줄의 굵기가 가장 먼져고, 그다음이 부력이나 무게감입니다.

    여기에서는 찌의 부력이냐, 봉돌의 무게감이냐의 문제로 국한이 되어지겠지요?

    일반적인 내림낚시에서는 붕어가 흡입을 하게되면 순간적으로 바늘과 미끼가 붕어 입속으로 들어가면서 찌톱몇마디가
    깜빡이는 입질이 오게되는데,이때는 유동에 의해서 봉돌(즉 홀더..)이 찌를 잡을수가 없기 때문에 찌의 부력이 붕어에게는
    다소 큰 이물감을 주게 된다고 생각됩니다.

    이런 이유에서인지는 모르지만 내림낚시 쪽에서는 고정홀더가 이물감에 유리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이와는 틀리게, 일반 내림보다 많이 둔한 옥수수내림에서는 붕어가 찌를 완전히 가져가게되는게 통상적인 입질형태인데..
    이럴때 고정홀더를 쓰게되면 찌의 부력은 홀더가 잡아줄지 몰라도, 봉돌자체의 무게감을 붕어가 느낀다고 봅니다.
    뭔가 묵직한 것을 달고 다닌다는 그런 느낌을 붕어가 느끼지 않을까요?

    반면 유동홀더를 쓰게되면 찌의 부력도 어느정도 잡아주면서 봉돌자체의 무게감을 조금 덜 느끼게 된다고 생각이 됩니다.
    고정된 홀더를 붕어가 끌고가는것보다 고정되지않은 홀더를 끌고가면 붕어입장에서 좀 더 이물감을 덜 느끼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또 한가지는,편납이 감긴 홀더는 부력을 일으키는 찌보다 붕어입장에서는 훨씬 더 가깝게 있는 이물감입니다.
    먼데 있는 찌가 부력을 일으키려면 긴 원줄을 타고와야되는데, 가깝게 있는 홀더는 불과 2~30센티의 거리로 이물감을 줍니다.

    좀더 직접적이고 가깝다는 뜻이 됩니다.

    앞서말씀드린것 처럼,예전에도 유동이냐 고정이냐로 제법 논란도 있었는데요.
    그때역시 딱히 결정지어진 부분도 없거니와..오늘 말씀드린 부분도 그저 제 생각일 뿐임을 다시한번 밝힙니다...^^
    난봉꾼 12-02-24 09:24
    처음 옥내림 공부할때 유동을 10cm 주라고해서 지금까지 유동을 주고 낚시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모르지만 처음 옥내림 접한 사람이 실험을하고 느꼈으니깐 유동을 줬을꺼라 생각됩니다~

    양어장(잉어,향어)에서 유동추를 이용하여 빨채비로 낚시하면 조과는 일반 고정(바닥)으로 하는것 보다 조과는 훨씬 좋더라구요~

    바닥낚시는 꼼짝도 안하는데, 빨채비(유동)로 하니깐 입질 폭발적으로 들어오는걸 느꼈습니다~

    항상에 맞게 유동을 많이주고 적게주니깐 그날 활성도에 따라 달라지더라구요~

    전 아무래도 유동을 주면 이물감이 적을꺼라 생각됩니다...^^

    지금도 그렇게 믿고있고 앞으로도 유동을주고 낚시할 생각입니다~
    전북김제꾼 12-02-24 09:25
    별차이없어 보이던데요^^ ㅎ
    가을풍경 12-02-24 10:16
    제가 생각할때 붕어가 흡입후 액션을 취할때 편납은 가만히 있고 원줄만 빨려온다고 생각하시는가 보네요 한번 해보세요
    과연 유동으로 편납홀더를 했을때
    바늘만 당기면 편납홀더는 그대로 있고
    원줄만 당겨지는지요 유동으로 하셔도
    바늘 움직이면 편납홀더도 같이 움직일껍다 물속에서 붕어가 찌가져가는 속도가
    빠를까요 바닦에서 20에서30정도 떠있는
    편납홀더가 바닦에 떨어지는 속도가 빠를까요 유동으로 인해 이물감을 줄인다는
    것은 단순한 우리들 생각입니다
    막상 물속에서는 우리가 생각한대로
    움직여 주지 않습니다
    빨채비하곤 전혀 다른 원리입니다
    즉 유동을 주시나 고정을 쓰시나
    물속에서 붕어가 바늘을 가지고 갈때는
    봉돌은 고정이라 생각하시면 될듯합니다
    Aramis 12-02-24 11:05
    물론 붕어가 찌를가져가는 속도가 그리
    빠르지는않습니다.
    홀더역시 유동되지는않겠지요.
    하지만 모든 힘이라는게 가속도를가지게
    되는데 붕어가 미끼를 가져갈때도 마찬가지가됩니다.
    이 가속도때문에 고정된 홀더보다는 유동홀더가 좀더 이물감이 덜할수입니다.
    엘리베이터를타게되면 몸은 엘리베이터바닥에붙어있지만 오르내릴때 몸무게가좀더무겁거나(올라올때) 가볍게(내려올
    때)느껴지는것과같은 이치입니다.
    오해가조금있는것같아서 급하게 스마트
    폰으로적어봤습니다.
    힘드네요...^^
    꿈은언제쯤 12-02-24 13:16
    고정이 유리하다고 믿는 한 사람입니다...
    가을풍경님 말씀대로라면 굳이 유동을 줄 이유가 없을 것 이고...
    아라미스님 말씀처럼 가속으로 인 하여 순간이나마 홀더는 그냥 떠 있고
    찌 만 끌려 내려간다는 상황에서의 제 생각입니다..
    편납없이 찌 만의 부력이 5라고 가정하고 편납홀더를 달아 4만큼의 부력을
    상쇄시켜 1이 되었을 경우 붕어가 먹이를 가져 갈 때 유동일때는
    5라는 부력만큼의 이물감을 느끼지만 고정일때는 1만큼만 느끼는 것 아닐까 하는
    지극히 제 개인적인 생각을 적어 봤습니다...
    아쭈 12-02-24 20:29
    오늘 공부 무쟈게 많이 하고 갑니다....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