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용품

    · 낚싯대에 관한 내용은 낚싯대포럼을 이용해 주십시오.
    · 구체적인 제품명과 업체명의 언급을 권장합니다.

    [질문/답변] 붕어 바늘 추천해주세요

    클린 / 2008-11-24 19:35 / Hit : 13804 본문+댓글추천 : 0

    원줄 3호에 목줄은 케브라 합사 1.5~2호 사용하려 합니다. 찌 보호용으로 케브라를 얇은 것 사용하면 되겠다 싶었는데 케브라 1호가 보통 카본3호원줄하고 인장력이 14파운드(6.5kg)랑 맞먹어서 원줄이 먼저 끝어지는 현상을 여러번 경험하게 된지라 결국, 바늘이 펴지는 방법으로 대책을 세우고자 합니다. 낚시를 하면 약간 아슬아슬한 것을 좋아 한지라 원줄 4호 이상의 든든한 채비는 별로 선호하지 않습니다. 이세형 바늘이랑 기타 대물 바늘을 사용해보면 튼튼하지만 나무나 어디에 걸리게 되면 결국 잡아 다닐 수 밖에 없는데 그러다 보면 원줄이 대부분 끊어져 찌를 잃어 버리든가,, 힘들게 건져내곤 했는데 결국 바늘을 약한 것으로 사용해야 겠습니다.

    튼튼한 바늘 말구요 저와 같이 채비가 걸렸을 때, 잡아 다니면 펴지거나 부러지거나 하는 바늘 추천좀 해주세요.

    떡밥낚시를 주로 할 것이라 그리 큰 바늘은 사용 안 할 거구요 대락 6~8호 정도의 붕어 바늘을 사용하고 싶은데
    뭘 선택해야 할 지 모르겠어요. 여러분들의 부탁드립니다. (답변에 대해 미리 감사인사 드립니다.)

    menbal 08-11-24 20:02
    일반 붕어 바늘 사용하세요
    다나고 바늘이나 메지나 바늘 이두 메지나는 아니구요
    그냥 메지나 바늘
    바닥찍고 08-11-24 20:08
    금호조침 붕어6~7호 가격 착하고 예리하고 한표

    다*찌 후*쿠 등 다국산 & 중국산 바늘입니다 일제라고 사봐야 다 확실한 일제 표기 없읍니다

    확실하게 국산 사용하세요
    바닥찍고 08-11-24 20:11
    메지나 .이두메지나 같은뜻 아닌가요? 다 향어바늘로 알고 있는데요
    자바바쓰 08-11-24 20:13
    님의 채비는 떡밥낚시 채비 중에서도 매우 강한 채비를 하시는 것 같습니다
    보통은 원줄은 2호,목줄1.5호 정도를 쓰고요

    고탄성(고가의 낚시대)에 노지가 아닌 관리형저수지 유료터등의 예민한 물고기를 낚으실 것 같으면
    원줄 1~1.5호에 목줄은 0.5~1호 정도를 사용 합니다.

    강한 채비 시 바닥에 걸렸을 때 억지로 당기면
    대부분 원줄의 매듭 부분이나 파머난 부분, 줄이 핀곳 등이 터져 버립나다

    바닥이나 수초등에 걸렸을 때
    땡겨서 펴질 정도의 바늘이라면 붕어 월척급이나 잉어 발갱이급 걸리면 여지없이 펴집니다
    잔챙이만 낚으실게 아니라면 펴지는 바늘은 삼가 하시구요
    차라리 목줄의 호수를 더 낮춰서(원줄도 따라서 낮추시면 좋습니다) 사용해 보십시요.

    잘 펴지는 바늘은 불량바늘 이랍니다^^
    한국인 08-11-24 23:28
    저도 금호조침에 한표 .. 국산좋습니다..
    면도날 08-11-25 10:24
    떡밥 낚시에 원줄 3호이면 너무 둔한것 같습니다.

    2.5호 도 둔하다고 생각 하는데...,

    제 경우엔 원줄 "시가포스" 카본 2.5호 에 바늘은 "백경 조침 테크론 6호" 나 " 금호조침 참 바늘 6호" 묶음 바늘만 씁니다.

    아직까지 붕어 걸어서 부러지거나 펴진적 없이 잘쓰고 있지요.

    보통 바늘은 "H" 라는 강도로 표기 합니다.

    그 "H" 수가 많으면 강해서 부러지기 쉽고 적으면 물러서 펴지기 쉽다는 뜻인데 그렇다고 어지간한 붕어 걸어서

    부러지거나 펴지지는 않습니다.

    재작년 봄에 좌대낚시를 하다 "백경" 바늘 채비가 버드나무에 바늘 두개가 걸렸는데 낚싯대를 접어 지긋이 당겼더니

    바늘 두개 모두 펴지면서 이상없이 채비를 회수 하였는데 귀찮은 마음에 대충 원래대로 구부려서 사용 했는데 떡붕어

    39Cm 를 잡아내도 다시 펴지지 않아 이상이 없었고 다음날 아침까지 그냥 사용해도 괞찮았습니다.

    이 바늘은 밑걸리면 펴지는 성질의 바늘이며 펴지면 다시 롱로우즈 로 적당히 원상태로 구부려 사용하면 되고

    워낙 펴진상태가 심하여 영 미덥지 못하면 플라이어로 바늘을 잘게 잘라서 버리고 새 바늘을 간단히 달면 되지요.

    반면 "금호조침 묶음 참바늘" 은 밑 걸림시 당기면 모두 바늘이 부러져서 나옵니다.

    위에서 말한 바늘이 강성이냐 연성이냐에 따른 결과 이겠지요.

    저는 위 채비에 회전 도래16호를 원줄에 연결하여 봄에는 떡밥 대물낚시도 가끔 하는데 아직까지

    월척이상 붕어 걸어서(떡밥 낚시 특성상 적당한 맹탕 에서) 바늘이 펴지거나 부러진적 없고 채비도 터져 본적 없습니다.

    25년 낚시에 아직 임자를 못만나서 인지는 모르지만...,

    아무튼 위 "백경" "금호" 묶음바늘 6호(7호) 정도 추천 할만 합니다.

    특히 " 테크론 " 합사가 " 케블라 " 합사보다 깔끔하니 좋습니다.

    밑 걸림시 제일먼저 바늘이 터지거나 펴져서 채비가 회수되는것이 최고의 채비법 이라고 생각 합니다.
    무늬만낚시꾼 08-11-25 17:00
    바늘, 낚시줄의 싸움은 끝이 없답니다.

    먼저 낚시줄...

    옛날에는 모노 3~4호줄은 보편적이게 사용했습니다.

    요즘은 카본줄 영향인지 2호줄이 일반적인 것 같습니다.

    낚시줄의 선택은 현장과 예상되는 어종에 대한 선택에 따라 바뀝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낚시를 한다면, 모노 2, 2.5, 3호 정도에서 선택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카본줄은 무거워서 줄이 물속에서 처져 있어서 깜박이는 반마디 이하의 입질에 날카로운 챔질시

    조금 불리하다고 하더군요.(눈이 나빠져서인지, 아니면 행동이 느려서 인지 그렇게 낚시는 안합니다.^^)

    저의 경우 일반 낚시줄(?)이 아닌 루어용 낚시줄을 사용합니다. (모노 2~2.5호)

    600~ 1000 미터에 5,000 ~ 10,000원이면 평생사용합니다.

    아울러 퍼머넨트 현상(줄이 늘어나 꼬인 현상)이 있지만, 줄값이 워낚 해피해서

    출조때 마다 갈아치워도 경제적 부담이 없답니다.

    예로 들면, 같은 루어줄을 평행권사로 50m를 감아 놓은 것이 5000원이면,

    같은 제품을 600m(평행권사 아님)은 7000원 정도 합니다.

    다만 구입시 영하의 날씨에 꾾어지는 낚시줄이 있으니 낚시가게 주인과 상의하세요.

    아마 낚시가게 주인은 루어줄 사용에 반대하시겠지요. ^^

    바늘 또한 그렇습니다.

    펴집이 심하다고, 펴집이 강한 것을 선택하면, 잘 부러집니다.

    물론, 낚시인의 낚시대를 얼마나 잘 운용하는지에 따라 다르겠지요.

    환경에 따라 다를 것이고요.

    일반적이라면, 붕어바늘(다나고) 5, 6, 7, 8호 정도는 준비하셨다가

    그날 붕어의 미끼, 입질, 후킹등을 고려하여 바꾸심이 좋을 것 같습니다.

    대체적으로 은바늘(금바늘)은 잘 펴집니다.

    탄소 강화 처리된 검은 바늘은 잘 부러집니다.
    shimanoman 08-11-25 23:42
    바늘이 잘 펴지고, 부러지는건.. 바늘마다의 장점을 살린,, 고유의 특성입니다!!
    바늘이 때에따라선,, 부러질땐 부러져야하며..
    펴질땐 펴져야합니다..!!
    무조건,, 강한 바늘이란.. 생각없이 만든 바늘이랄까여~~??
    오래 쓰고, 영구적인 바늘이란 없으며..
    낚시에서 바늘의 중요성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육안으로 볼때,, 아무이상이 없는 바늘일지라도..
    바늘끝의 예리함이 죽었다면.. 미련없이 교체를 하여 사용해야하며,,
    바늘은.. 소모성을띈,, 단지 소모품에 불과합니다!!

    쉽게,, 채비의 소중함을 경험해보신 꾼님이라면..(줄터짐, 찌손실, 대의파손등등~)
    이해하시기 쉽겠으나.. 그러한 경험이 거의 없는 꾼님들이라면,,
    대부분 바늘은 무조건 강한것이 좋다고 생각들을 하시지요.. (지극히 잘못된 생각이고요~ ^^;)

    예를들면..
    거론하신,, 금호** 바늘의 대표적인 장점및 특징이라면..
    바늘이 손쉽게 잘 펴지죠.. (절대, 단점이아님!!)
    걘적으로 추천해본다면,,
    다이찌바늘을 추천해 드리고싶군요!!
    다이찌바늘의 특성이라면..
    거의 모든제품이 녹발생이 덜하며, 카본 함유된바늘이란 점 입니다!!
    장점및 특성은,, 밑걸림시 순간적인 당김으로인해.. 바늘목 부분이 똑~ 하고 잘부러집니다..
    지긋이 당기면.. 때론,, 바늘목이 펴져서 채비손상및 회수가 쉽다는 특성이있지요!! ^^

    바늘이란 넘은,, 뿌러질땐 부러져야하며..
    펴질땐 펴지는 바늘이~~ 성능이나 사용하기 좋은 바늘이란 점을 울 꾼님들은,, 절대 잊어선 않된다는 사실입니다!!
    그럼,, 계속~ 즐낚하시길~~~~꾸벅 ^^
    낚道 08-11-26 02:17
    이거면 됩니다. 다른거 필요없습니다. 일제 세이고 바늘 쓰세요. 굵기가 국산바늘의 반 정도 밖에 안되지만
    이런 걸로 어찌 붕어낚시 하나 할 정도로 의심이 들지만 강도 아주 좋습니다. 6호바늘로 35센티 짜장 걸었는데
    아슬아슬하면서도 화끈하게 올려주더라구요...물론 걸림시 세계 잡아당기면 주-욱 펴집니다...ㅋㅋ
    그런데 요즘 잘 안보이는 것 같더라구요...찾아 보세요....초강추 합니다.
    심보인 08-11-26 15:25
    다나고 바늘이나 일반 붕어 바늘 사용하세요
    무늬만낚시꾼 08-11-26 16:36
    세이고(깔다구)바늘 7호면 좋습니다만,

    단점이자 장점이 있습니다.

    박히면 안빠집니다.

    심각한 문제는 님들의 살에 박히면, 수술을 해야 됩니다.(귀 부분 자르고 관통하여 빼야됨)

    이유인즉 보시면 아시겠지만, 구조상 역으로 빠질 수가 없답니다.

    그리고, 7호 사이즈가 일반 붕어 바늘의 5호 정도 됩니다.
    찌의매력 08-11-26 17:10
    이세형 바늘은 생미끼 바늘입니다
    일명 돌돔 바늘이고요
    이두 메지나 바늘은 (옥니) 벵어돔 바늘
    지누(감성돔) 바늘이지요

    떡밥낚시에서는 이두메지나 바늘을 많이 씁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후지쿠사것 이두 메지나 11호를 씁니다. 떡밥도 수초속에 집어 넣습니다 (반 관통찌)로
    수초가 없는 노지 같은 경우에는 6호-7호가 무난할것 같습니다.
    클린 08-11-26 18:58
    모두 답변 감사드립니다. 너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김심술 08-11-27 21:21
    저는 못마다 조금틀리더라구요.
    시골대물붕어 08-11-27 21:54
    아 저두 잘보구 감니다 ㅎ
    카리스마SB 08-12-02 13:18
    저두 많은 도움이 된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