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배스가 있는곳에 붕어이식은 좀 그렇네요(좀 징그러런 사진이 있습니다.)

    과연육자 / 2013-05-18 10:52 / Hit : 5302 본문+댓글추천 : 0

    예전에 올린 사진을 다시 올려봅니다.
    freebd_10392026.jpg

    요건 아마 해창만에서 그물질로 잡힌 배스를 찍은 좀 오래된 사진입니다.

    배스가 최고조로 증식하면서 붕어를 잡아 먹은 사진입니다.


    freebd_10402357.jpg

    배스는 자기몸 크기의 70%이상을 삼키며 천천히 소화 시킨다고 합니다.


    freebd_10410389.jpg

    배스배속에 있는 소화가 덜된 붕어의 사진입니다.

    배스가 이식된곳에 처음 현상으로는

    새우 참붕어 그리고 기타 쉽게 잡아먹을수 있는 수서곤충 물고기가 점차 사라지고 붕어 잉어 심지어 가물치 새끼도 포식합니다.

    전주 만경강 추천대교에서 배스낚던중 제가 4자 후만 배스를 잡아 보니 반쯤 삼킨 뭔가 있길래 잡아 빼보니 가물치 새끼였습니다.

    증거 사진은 없습니다. 다만 증인은 여러명 있죠

    붕어와 잉어 그리고 지 먹이가 될만한 개체수가 사라지면 이러한 현상이 발생됩니다.

    해부를 시작해봅니다.
    freebd_10443982.jpg


    freebd_1045373.jpg

    뭐가 들어가 있을까요...붕어와 같이 먹을 수 있는 실지렁이 머 기타등

    잘보시면 식물도 먹이로 먹고 있다는 사진을 잘 보시면 볼 수 있습니다.

    몆장의 사진이더 있는데 더이상 올리지 말라네요....

    암튼 배스는 이제 붕어와 같이 공존하기는 더욱힘든 증거 사진을 보여드립니다.

    배스가 있는곳에 붕어를 이식하는 것은 먹이만 주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먹이가 없어서 자연적을 도퇴되거나 지들끼리 공식현상 및 기타 같은 부모의 자손끼리 붙어먹어서 이상한 병이 걸려

    자연적으로 없어지거나 하지 않을까 기대 해봅니다.

    배스는 이제 식물 곤충 지렁이 및 큰 어류까지 쳐먹다가 먹이가 없어져 도퇴나 다른 생존방법을 터득한 것이 아닐지

    생각해봅니다.

    원래 있던 붕어는 체고를 높이거나 어느정도 적응기간을 거친 반면에 배스가 살지 않은 곳에서 붕어 이식은 좀 고려해봐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파트린느 13-05-18 16:24
    조금 충격적이지만,
    큰입베스라는 어종의 실체를 아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그래도 붕어와 함께 공생이 되어야 할텐데 하는 생각도 들고요.

    첨엔 더운쪽 나라 어종이라 혹한에 개체감소 야기도 있더니 이젠 저 어종도 토종화 되나 봅니다.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