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애기똥풀 이야기!

    산야초 / 2012-08-18 22:02 / Hit : 6286 본문+댓글추천 : 0

    애기똥풀

    학명 :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Hara) Ohwi
    분류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양귀비과
    꽃특징 : 야생화
    꽃말 : 엄마의 사랑과 정성

    애기똥풀은 전국의 산지와 동네 근처의 길가나 풀밭주변에서 자라는 2년생 초본으로 까치다리라고도 하며,
    생육환경은 양지바른 곳 어디에서나 잘 자란다.
    뿌리는 곧고 땅 속 깊이 들어가며 귤색이다.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속이 비어 있으며 높이가 30∼80cm이고 분처럼 흰색을 띠며
    상처를 내면 귤색의 젖 같은 액즙이 나온다.

    잎은 마주나고 1∼2회 깃꼴로 갈라지고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와 함께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이 있다.
    잎 뒷면은 흰색이고 표면은 녹색이다.
    꽃은 5∼8월에 황색으로 피고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가지 끝에 산형꽃차례를 이루며 몇 개가 달리며,
    꽃받침조각은 2개이며 타원 모양이고 일찍 떨어진다.
    꽃잎은 4개이고 긴 달걀 모양이며, 수술은 많고, 암술은 1개이며 암술머리는 약간 굵고 끝이 2개로 얕게 갈라지며,
    꽃봉오리 상태에서는 많은 털이 나 있다.
    열매는 삭과이고 9월경에 좁은 원주형으로 달리며, 꽃줄기를 자르면 노란 액체가 뭉쳐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모양이 마치 아기의 똥과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애기똥풀의 유래

    - 애기똥풀은 “엄마의 사랑과 정성”이 꽃말인 야생화로 애기똥풀이라는 이름에 얽힌 전설을 거슬러 올라가면 그 이유가 흥미롭습니다.
    서양의 경우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눈에 이물질이 많아 눈을 뜨지 못한 채 태어난 아기제비가 있었는데,
    이때 어미 제비가 애기똥풀의 줄기를 입으로 꺾어 거기서 나오는 유액으로 어린 아기 제비의 눈을 씻어 주었답니다.
    그래서 그리스어로 제비를 뜻하는 Chelidon에서 학명 첼리도니움(Chelidonium) 이 유래되었습니다.
    - 아기제비의 약초(애기똥풀)를 구하기 위해 뱀과 싸우다 희생된 어미제비의 이야기에서 유래된 몰래주는 사랑이기도 합니다.

    애기똥풀의 효능
    - 어린잎은 식용하며, 줄기에서 나오는 즙은 독성이 있지만, 민간에서는 벌레에 물려 가려운 데나 부은 데에 바르기도 하지만,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전문지식 없이 함부로 먹으면 크게 탈이 날 수도 있다.

    - 한방에서는 꽃을 포함한 잎과 줄기등 식물체 전체를 백굴채(白屈菜)라고 하며, 위장염과 위궤양 등으로 인한 복부 통증에 진통제로 쓰고,
    이질, 황달,형간염, 피부궤양, 결핵, 옴, 버짐 등에 사용한다.

    - 사마귀,티눈등에도 노란즙을바르면 쉽게낫는다.



    freebd_10005889.jpg

    freebd_10010311.jpg

    freebd_10010775.jpg

    freebd_10011035.jpg

    freebd_10011450.jpg

    소박사 12-08-18 22:39
    저게 애기똥풀이군요 ㅎ

    또 한가지 배우고갑니다

    좋은 휴일 보내십시요 ^^
    에이플러스 12-08-18 23:46
    산야초님...
    한번 뵐수 있을까요?
    안졸리나졸리 12-08-19 00:22
    어붕님 지내시길......
    송애 12-08-19 07:48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제시켜알바 12-08-19 16:06
    또 하나 배우고갑니다.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