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풍요로운 한가위맞이하세요

    떡붕어 / 2002-09-17 23:13 / Hit : 4679 본문+댓글추천 : 0


    drum_korea.gif---즐거운 한가위! 편히 다녀오세요---changgu01.gif



    chusokpoll2002_01_0831.gif

    flo37.gif추석의 유래


    1.gif

    추석은 음력 8월 15일로 다른 말로 한가위라고도 부르는데 "한"이라는 말은 "크다"라는 뜻이고 "가위"라는 말은 "가운데"라는 뜻을 가진 옛말로 즉 8월 15일인 한가위는 8월의 한가운데라느에 있는 큰 날이라는 뜻이지요. "가위"라는 말은 신라때 길쌈 놀이인 "가배"에서유래한 것으로 "길쌈"이란 실을 짜는 일을 말하지요. 신라 유리왕때 한가위 한달 전에 베 짜는 여자들이 궁궐에 모여 두 편으로 나누어 한 달 동안 베를 짜서 한달뒤인 한가윗날 그동안 베를 짠 양을 가지고 진 편이 이긴 편에게 잔치와 춤으로 갚은 것에서 "가배" 라는 말이 나왔는데 후에 "가위"라는 말로 변했다. 또 한문으로는 '가배'라고 한다. 이날은 설과 단오와 함께 우리나라의 3대 명절의 하나로 쳤다. 추석이 되면 한더위도 물러가고 서늘한 가을철로 접어든 때이다. 추석 무렵에는 넓은 들판에 오곡이 무르익어 황금 빛으로 물들며 온갖 과일이 풍성하다

    flo37.gif강강수월래


    ganggang.jpg

    강강수월래가 어느 때 어떻게 하여 시작되었는지 그 유래에 대해서는 이렇다 하게 밝혀볼 수 없고 다만, 이 놀이가 꽤 오래 전에 발생한 것으로 추측될 뿐이다. 고대 부족사회의 공동축제 등과 같은 모임 때 서로 손과 손을 맞잡고 뛰어 놀던 단순한 형태의 춤이 오늘날에 보이는 강강술래의 시원(始原)이 아닌가 생각된다.

    flo37.gif올벼심미


    .jpg

    '올벼심미'라 하여 추석 무렵 감사하는 마음으로 잘 익은 곡식을 한줌 베어다가 안방이나 중방, 기둥에 걸어 놓고 다음해의 풍년을 기원한다. 호남지방에서는 그 해 난 올벼를 조상에게 천신(薦新)하는 제를 지내는데, 이를 '올벼심미'라 한다. 영남 지방에서도 '풋바심'이라 하여 채 익지 않은 곡식을 천신할 목적으로 벤다. 일부 가정에서는 새로 거둔 햅쌀을 성주(城主)단지에 새로 채워 넣으며 풍작을 감사하는 제를 지낸다

    .gif

    flo50.gif송편


    1.gifchusuk1.jpg

    송편을 먹으면 소나무처럼 건강해지는 끈기가 생기며, 절개와 정조가 강해진다고 여겨왔던 우리다. 송편은 흰떡에 솔의 정기를 침투시킨 것으로, 정월초하루 유두, 추석날 제 나이수 만큼 송편을 먹어 솔의 정기를 체질화 시켰다.
    특히 솔잎으로 빚은 송주와 솔잎차도 소나무에서 얻는 효과가 적지 않은 것들이다. 송편은 지방마다 빚는 법과 소가 다르다

    flo50.gif차례상 차리기


    200209110221_01.jpg


    flo50.gif차례음식 만들 때 주의할 점


    5.gif

    1. 고춧가루, 마늘 양념은 하지 않는다.
    2. 국물있는 음식(탕, 면, 식혜)는 건지만 쓴다.
    3. '치' 자가 들어간 생선(꽁치, 갈치, 삼치), 비늘있는 생선(잉어)는 쓰지 않는다.
    4. 붉은 팥은 안쓰고 흰고물로 쓴다.
    5. 복숭아는 쓰지 않는다.

    %20멋.gif

    girl59.gif한복입을 때 주의할 점


    3.gif-자태.gif

    1.속옷은 반드시 갖춰 입는다.
    한복의 맵시는 속옷을 제대로 갖춰입었을 때 살아난다. 저고리 안에 입는 속저고리인 속적삼은 옷의 맵시를 살려주는 한편, 땀의 흡수도 돕는다. 치마는 과거 다리속곳, 속속곳, 단속곳 등 예닐곱가지의 속옷을 입어야 했으나 요즘은 속바지와 속치마 만으로도 족하다.

    2.치마는 겉자락이 왼쪽으로 오도록 입는다.
    치마는 입어서 뒤의 겉자락이 왼쪽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치마끈은 됫쪽에서 엇갈려 앞으로 오게한후, 중앙에서 묶어주면 저고리가 들뜨기 쉬우므로 약간 왼쪽으로 치우쳐 매듭을 잡아준다.

    3.저고리는 약간 앞으로 숙여 입는다.
    저고리는 입었을 때 깃고대와 어깨 솔기가 뒤로 넘어가지 않도록 앞으로 약간 잡아당기는 느낌이 들게 입어주고 이때 속적삼과 치마의 허리선이 저고리 밑으로 나오지 않도록 한다.

    4.외출시에는 반드시 두루마기를 입는다.
    특히 남자의 경우에는 반드시 두루마기를 착용해야 한다. 두루마기는 삼국시대부터 의레용으로 착용하던 포가 조선 말기 외출용 정장으로 완성된 것으로 마고자 차림으로 외출하는 것은 예절에 어긋난다.

    5.화장은 은은하게, 머리는 단정하게 빗는다.
    한복을 입을 때의 메이크업은 피부톤을 약간 밝게 하면서 전체적으로 은은한 느낌이 들도록 하는 것이 좋다. 눈썹은 둥글고 자연스럽게 그리며 입술은 우아한 핑크톤으로 연출하여 우아함을 강조한다 머리는 가리마를 타고 곱게 빗어넘긴 쪽머리가 한복의 고운선 및 정적인 분위기와 가장 잘 어울린다. 짧은 머리일 경우에도 차분하고 단아한 스타일이 어울린다.

    6.버선을 신어야 진정한 한복의 태가 난다.
    긴치마 밑으로 살짝 보이는 하얀 버선코의 아름다움은 우리옷만이 가지는 멋이다.

    7.때와 장소에 따라 제대로 갖춰 입는다.
    한복은 그 어떤 화려한 옷보다도 신부를 더욱 돋보이게 한다. 한복의 전통적인 배색은 음양오행설을 바탕으로 예의와 남녀의 구별, 귀하고 천함을 표시한다. 예를들어 처녀들은 주로 다홍치마에 노랑저고리를 입었고 신부는 다홍치마에 연두저고리, 결혼을 하여 아들을 둔 부인은 자주색 고름과 남색끝동을 달아 남편과 아들이 있음을 나타냈다.

    8.계절에 어울리는 소재를 선택한다.
    한복의 맵시는 4계절 옷감을 달리해서 지어입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을 만큼 그 소재가 다양하다. 봄, 가을에는 국사, 갑사, 은조사, 항라 등으로 가을에는 자미사, 명주, 숙고사, 국사가 어울린다. 여름에는 모시, 삼베의 시원하고 절박한 멋을 즐겼으며 생명주로 짠, 노방, 항라 등으로 상큼한 아름다움도 즐길 수 있다. 겨울에는 양단, 공단 등의 화려하고 우아한 옷감을 사용하였으며 겉옷으로 수직실크 등의 두루마기나 털을 댄 갓저고리 또는 솜을 두어 곱게 누빈 누비옷을 입어 추위를 막았다.

    household03.gif각종정보

    교통정보
    고속도로 정보(한국도로공사 홈페이지), 열차정보(철도청 홈페이지)

    TV편성프로그램 정보
    MBC-TV 편성 프로그램, KBS1-TV 편성 프로그램, KBS2-TV 편성 프로그램, SBS-TV 편성 프로그램

    A4100001.gif

    仲秋佳節

    bow21.gif
    ==떡붕어 드림==


    ~wink

    물사랑 02-09-18 02:57
    추석은 음력과 양력으로 나눈 설을 앞질러 민족최대의 명절이 된것 같습니다. 2천5백만이 고향을 찾아 움직이는 행렬은 장엄하기까지 하더군요. 푸짐한 한가위 선물 감사히 받습니다. 특히 나훈아는 저의 어머니께서 제일 좋아 하시는 가수입니다.
    떡붕어 02-09-18 14:25
    월척가족님들 그리고 물사랑님 넉넉한 한가위 맞이하시고 하시는일 잘되시길 .....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