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우리는 닭이 될 것인가 꿀벌이 될 것인가?

    담여수 / 2024-06-07 10:44 / Hit : 6174 본문+댓글추천 : 10

    새벽이 되면 닭들이 웁니다.

    그런데, 그날은 아직 새벽이 되기 전인데 닭들이 웁니다.

    그것도 비명을 질러가며 울고 있었습니다.

    화들짝 놀란 주인은 닭장으로 뛰어 갑니다.

    가서보니 무려 600마리가 죽어 있었습니다.

     

    원인은 금방 밝혀집니다.

    닭장 저쪽 구석에서 닭들의 천적(天敵)인 수리 부엉이 한 마리가

    닭 한 마리를 낚아채 여유롭게 먹고 있었습니다. 

    수리 부엉이 한 마리가 무려 600마리를 죽인 것 입니다.

    아니, 엄밀히 말하면 수리 부엉이가 죽인 것이 아니라

    닭들이 서로 먼저 살겠다고 출구 쪽으로 달려가다 압사(壓死)한 것입니다.
     


    수리 부엉이는 한 마리만 죽이고
    나머지 닭들은 동료 닭들이 죽인 것입니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입니다.
    희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길은 없었을까요?


    꿀벌은 꿀을 절대 혼자 먹지 않습니다.

    밖에 나갔다가 꿀을 발견하면 벌집에 돌아와 동료들 앞에서 춤부터 춥니다.
    그런데 이 춤은 사실 소통(疏通)의 수단입니다. 

    그 벌은 동료 벌들에게 꿀이 얼마나 멀리 있는지 얼마나 많이 있는지와
    어느 방향으로 가야 하는지를 날갯짓으로 알리는 것입니다.
     
    그러면 그것을 본 다른 꿀벌들이 
    어떤 방향으로 몇 마리를 파견해야 할지 결정합니다.

    그렇게 꿀벌들은 협력해 같이 꿀을 모아갑니다.
    함께 저장(貯藏)하고 함께 꿀을 먹습니다.
     

    그런데, 이 꿀벌의 집에 천적인 말벌이 침입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
     
    말벌 한 마리는 꿀벌보다 대개 5~6배 큽니다. 

    일단, 꿀벌들이 말벌 주위를 뺑 둘러가며 에워 쌉니다.
    그러고는 열심히 날갯짓을 합니다.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죠.
    말벌이 (고온)高溫에 약(弱)하다는사실을 꿀벌들은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45도까지 온도가 상승하면 말벌은 죽고 맙니다.

    이 과정에서 꿀벌 중 몇 마리는 말벌의 공격을 
    이기지 못하고 죽기도 합니다.

    그러나 자신이 죽는 한(限)이 있더라도 포위망을 풀지는 않습니다. 

    말벌이 죽고 나면 다시 꿀벌들은 날갯짓을 열심히 해 온도를 낮춥니다.

    48도가 되면 자신들도 죽는다는 사실을 알기 때문이죠.

    닭들과 확연히 다른 DNA를 꿀벌들은 가진 것 같습니다.

    닭들은 천적인 수리부엉이의 공격에서 자신만 살아남기 위해 발버둥 치다가 동료 닭도 죽이고 자기도 죽습니다.
    그야말로 ‘너 죽고 나 죽자’ 式(식)으로 공멸(共滅)합니다.

    꿀벌들은 자기 한 몸 희생을 각오한 결과 천적인 말벌을 죽이는 데 성공합니다.

    그렇게 ‘나 죽고 우리 살자’ 式(식)으로 생존해 갑니다.
     
    닭들은 모든 것을 제로섬 게임으로 사고 합니다.
    그래서 ‘닭대가리’ 라고 하지요 ! 

    꿀벌들은 자신의 행동을 ‘윈윈’하는 관점에서 조율 합니다.
     
    닭들은 개죽음 당하지만 벌들에게는 명분있는 희생이 있을 뿐 입니다.

     

    인간이 지구를 지배하게 된 것은

    상호 협력할 줄 아는 논 제로섬 게임의 사고를 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지구상에서 가장 먼 거리를 달릴 수 있는 동물이 바로 인간 입니다.

    한 번 사냥감을 정하면 가장 빠르게는 아니지만 끝까지 추적해 잡습니다.

    그것도 혼자가 아니라 같이 협동해 잡습니다.
     

    인간의 언어도 사냥터 에서 사냥하기 위한 소통의 목적으로 
    나온 것 이라고 하지 않는가요?  

    닭 대가리가 되는 것이 나은가요 ? 
    아니면, 용 꼬리가 나은가요 ?

    왜, 우수한 집단에 가장 낮은 자세로 조직을 운영하는 서번트 지도력이 
    최고이기 때문 입니다.

    강한 조직과 약한 조직의 차이는 
    개개인 한 명 한 명이 자기 희생적 자세로 일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꿀벌은 절대 꿀을 혼자 먹지 않기 때문에
    그리고 자기의 몸을 던지기 때문에 천적을 이길 수 있는 것 입니다.

    < 옮긴 글 >


    하드락 24-06-07 10:55
    닭을

    600마리 넘게

    한 곳에 가두어 키우니

    그렇겠지요?

    사람도 그정도면 그렇게 됩니다.

    주어진 상황이 다르기에

    단순비교해석은 곤란합니다.
    어인魚人 24-06-07 11:08
    多를 위한 少의 희생.....
    진천나무 24-06-07 11:25
    닭장에서 무엇을 기대할까요?
    지붕지기 24-06-07 11:47
    닭 비유는 몰라도 꿀벌의 사회성은
    인간도 본 받을만 하다고 봅니다.
    425 24-06-07 12:29
    그런데 인간은 너죽고 나살자가 팽배해져 있음이 안타까운 일이죠.
    樂山樂水 24-06-07 12:30
    어찌됐든 희생은 하지 맙시다.
    붕어얼굴못보고 24-06-07 15:35
    잘 읽고 갑니다.
    청풍붕어 24-06-08 00:02
    요즘 꿀벌보기가 쉽지는 않네요.
    꿀벌을 찾기가 어렵지는 않지만 쉽게 보이던것이 찾아야 보이면 엄청난 차이 라고 생각해
    봅니다,~~^^;
    허세 24-06-08 00:23
    잘 보고 갑니다.
    체로122552905 24-06-08 02:30
    글 속에 뼈가 있네요~~좋은글 감사합니다
    실바람 24-06-10 10:18
    항상 좋은글. 감사 합니다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