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조력...

    B접점 / 2019-01-12 10:21 / Hit : 2428 본문+댓글추천 : 0

    어제 간만에 예전 동출하던 지인들과 만나서
    과음을 했나 봅니다.

    술자리 도중 조력에 대한 얘기가 나왔었는데
    문제는 언제부터가 조력의 시작인가? 였습니다.

    제가 생각하기론...
    기본적인 낚시장비를 갖추고 주기적으로
    낚시를 다니는 때부터 조력으로 친다.

    어떤분은...
    그럼 1년간 낚시를 배웠는데 그후 10년을
    해외 이민을 가서 낚시를 못했는데 그럼
    조력이 11년이냐?
    실제 낚시한 연도를 계산해야 한다.

    또 어떤분은...
    낚시 장비를 보유하지 않아도 낚시 좋아하는
    친구를 따라 연 20회이상은 꼽사리 껴서 낚시하면
    그건 조력이 아니고 뭐냐...

    또 한분은...
    뭔 소리냐. 소싯적 당구 배울때 생각해봐라.
    무조건 큐 잡기시작하면 수지가 30또는 50인데
    마찬가지 낚시도 낚시대 잡기 시작한때부터
    조력이다.

    뭐...조력이 몇년이다하는건 중요하진 않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 기준이 있으면 좋을거 같은데
    횐님들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피터 19-01-12 11:41
    저도 한때는 대단했지요.
    변기 깨진다고 화장실 출입금지를 시킬 정도였으니.
    지... 지금은 3...
    흑 ! ㅜ.ㅠ''


    가만...
    이 얘기가 아닌가? @@''
    조...
    에이~ 이 노므 노안 ! ㅡ..ㅡ''
    비날막 19-01-12 11:45
    글쎄요...
    무슨 일이든 쉬는 기간은 경력 인정을 안 해 주잖습니까?
    낚시도 일정기간 휴식기는 조력에서 제외해야 되지 않을까요?
    초등학교 때 10살 무렵에 낚시를 접하고 자주 댕겼지만 그때부터 계산해서 40년 조력이라고는 말 못합니다.
    10여년 전부터 내가 원하는 낚시를 하면서부터 꾸준히 물가를 찾게 되고, 이제는 10년차 초보꾼이라 간혹 말하기는 합니다.
    동막골 19-01-12 12:09
    조력(釣歷)보다 구력(口歷•입낚)이 더 무섭더군요.

    조력(釣歷)이 증명된 이력(履歷)이 될 수는 없겠지만,
    구력(口歷•입낚) 또한, 이력(履歷)이 될 수는 없는 것처럼,

    본인이 우기(?)는 대로 그냥 믿어주고 넘어가면 되는 것 아닐까요~

    강력한 구력(口歷•입낚)앞에선 그 어떤 조력(釣歷)도 단숨에 무력화 되더군요.

    분위기 파악 못하고 섣불리 말 섞다가 본전도 못 찾는 분 여럿 봤습니다~ㅠㅠ

    ,,,,,,뜬금없이 구라 한 방 맞으면 정신이 몽롱하고 집중력도 떨어져서 그날은 영~~~~~~~~~
    시랑 19-01-12 12:09
    각자의 가준이니 뭐라 하겠습니까?
    그냥 그려려니 하시면......
    어짜피 의미는 없으니까요
    낚시꾼의 허풍처럼......
    붕어와춤을 19-01-12 12:11
    조력이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진정한 꾼이냐 죠

    조력의 기준은 얼마나 환경을 생각하냐로

    가늠 하렵니다
    아갈2651 19-01-12 12:12
    내년이면 50대에 접어드는 어설꾼 입니다
    아버지께서 코흘리게를 데리고 다니면서 물가를 접해주셨었죠
    정확히4살때에 저만의 장비를 마련해 주셨는데...
    6살 부터는 자연스레 알아서 낚시를 즐겼구요
    하지만 저의 기준으로는 장비,이동수단을 혼자 힘으로 해결할수 있는 시점이 조력의 시작점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군제대 이후 부터가 조력의 시작이라고 생각 되는군요
    한가지 덧붙이자면 조력도 의미 있겠지만 연간 출조횟수가 더 무게감이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행복하십시요.
    물소풍 19-01-12 12:15
    *윗글 등록 오류로 이어서 올립니다

    이경우 공백기는 없어도 구력 30으로 보듯
    낚시도 비록 공백기는 있었지만
    예) 30년동안 낚시대를 한번이던 두번이던 조력에 포함은 해야 되겠지만, 당구처럼 조력 10, 조력 20 뭐 이런걸로
    .......... 혼자 생각입니다
    물소풍 19-01-12 12:17
    아니 윗글 올린게 어디로 숨었내요
    죄송합니다
    B접점 19-01-12 12:21
    피러뉨...
    그 조력은 저도 못지 않습니다.
    어릴적 눈쌓인 곳에서 누가 많이 눈을 녹이나
    누가 땅을 깊이 파재끼나
    누가 멀리 정확히 맞추나
    제가 일등이어드랬죠.

    비날막님..
    공감합니다.
    군생활 8~9년 제외하니 20년이
    채안되네요.
    B접점 19-01-12 12:31
    동막골님.
    맞습니다.
    그 구력에 줘터져서 헤롱거리기도 했드랬죠.

    시랑님. 붕춤님.
    맞습니다.
    절대 중요하지 않습니다.
    근데 TV보다보면 자막에 붕어낚시 조력 30년...
    무슨 근거로 30년이라 했을까 궁금하기도 하고...

    아갈님.
    대명을 부르기가 쬐끔 조심스럽습니다. ^ ^
    적절하게 보시는것 같아 공감합니다.

    물소풍님.
    원글이 사라졌지만 대충 무슨 뜻인지
    알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거친사내 19-01-12 13:08
    몇년을 다녀 몇년보단 1년에 몇번을 간것이 더 경력이 낫다 보여집니다.10년20년 그냥 의미 없어 보입니다
    이박사™ 19-01-12 13:18
    조력 10년 20년 30년도 중요하고 1년에 몇 회나 출조하느냐도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조력 10년 20년 30년 40년...
    그 동안의 역사를 꿰고 계신분들 절대 무시 못하죠.

    또, 1년에 200회 출조.
    그 내공이 3~5년 정도만 쌓여도 어지간한 15년 조력 능가하는 분들도 많죠.

    뭐든 꾸준함이 중요하다 봅니다.
    2년 이상 낚시를 하지 않은 분.
    그 사이 변해버린 새로운 페턴을 따라가기 쉽지 않겠죠.
    산수부린 19-01-12 13:20
    조력...
    1.어렸을때...
    2.아버지 손잡고 따라 갔던 곳이...
    3.낚시터...저수지
    4.이때 부터...낚시 시작 (조력)이라면 이해가 않되겠지요.
    5.낚시대 구입해서...원줄.찌맞춤 채비 세팅하고 지렁이.미끼 달고 투척.찌세우고 입질보고 챔짐을해서 대상어를 낚았을때...
    6.이 모든 낚시의 과정을 혼자서 해냈을 때...
    7.낚시의 (조력)이 시작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8.낚시의 모든 내용을 본인이 할 수 있을때...
    9.(조력)은 시작됩니다.
    낚시아빠 19-01-12 14:04
    싸워서 모하겠습니까 그렇다고 인정해주고

    조력 젤 많은 사람한티

    소고기에 쏘주 사라하구 맛나게 먹는게

    남는거라 생각됩니다~~^^

    다 얻어 먹고 한마디 ~~


    ##내 조력은 150년인데 ~~메롱^.^##
    해주는 센스 ㅎㅎ
    B접점 19-01-12 14:06
    거친사내님.
    답글 감사드립니다.

    이박사님.
    충분히 일리 있는 말씀입니다.
    단기간에 많이 출조한것도 중요하지만
    오랜기간 꾸준히 한 경험 또한 중요하지요.

    산수부린님.
    제생각과 비슷하시네요.
    8번항이 함축적이면서 적절하지 않을까
    생각해 봤습니다.
    B접점 19-01-12 14:17
    낚시아빠님.
    ㅋ..싸운건 아니구요.
    술자리에서 나온 얘긴데 한번 생각해 볼 필요는
    있을것 같더군요.
    누군가 낚시 몇년하셨습니까 하고 물었는데

    국민핵교때 첨 해봤구요....
    중'고등'대핵교때는 친구들과 짬짬이 댕겼고...
    군대에서는 휴가 나와서 몇번하고...
    사회생활하면서 본격적으로 다녔는데...
    그때 한 십년이상 죽을똥 살똥 댕겼구요....
    그 이후론 일년에 고작 30회정도밖에 못가구요...

    요렇게 얘기 할순 없잖아요.^ ^
    백운산 19-01-12 15:07
    죄송한데 피러님 글쓰기 정지 시킬순 없나요?
    제가 미치긋서요
    수초사랑 19-01-12 15:08
    기준은 없죠
    본인 스스로 결정하고 정하면 끝!! ㅎ
    B접점 19-01-12 15:25
    백운산님..
    정지라뇨?
    피러님 같은분들땜에 제가 여기 들락날락캅니다.
    피러님!
    저 잘지예?

    수초사랑님.
    기준이 없다굽쇼?
    없으니깐 나름 지금 정해볼라했두마...
    걍..껌껌한데서 지렁이 한마리 누벼서
    낑굴줄 알면....으로 정해야겠네요.
    마부위침 19-01-12 15:38
    5짜 많이 잡은 사람이 최고입니다 ㅎㅎ
    5짜 마릿수로 잡으려면 전국을 얼마나 쑤시고 다녀야할가요?

    조력은 낚시에 대한 약간의 지식, 채비에 대한 이해, 포인터를 보는 눈이 생기는 정도가 되면 조력이 좀 되는구나, 이제 낚시 시작하는구나 정도랄까요
    바부붕어4533 19-01-12 15:42
    글세요..
    자기가 즐거워서 하는 취미생활에 조력을 붙이나요..?
    굿이 붙인다면 35년 조력을가진 나의 휼륭한 조력자~!!
    마눌님~~^^*
    ™피터 19-01-12 16:57
    백운산니임 ! ㅡ;:ㅡ''




    ...제가 잘못해떠요. ㅡ,.ㅡ''
    백운산 19-01-12 17:16
    피터님 존안뵈오면 제가 어찌해야할지 저도몰라요 ㅋ
    겨울나무2427 19-01-12 17:35
    백운산님을비롯 우리 월님들은
    피러님에대해 많은 이해를하셔야됩니다ㅡ
    피터님이 과연 얼척기술고문 남(님이아니라 남ㅡ)
    이신가 얼척기술고문 피러할매이신가로
    작년 자게방이 한때 후끈달아오른적이
    있었는데 아직 스스로의
    정체성을 확신 못한신걸로ㅡㅡㅡ

    짱돌날라오는게보여서
    튑니다=3=3=3=3=3=3
    튀다가 잠시생각ㅡ
    접점님 간단한걸로 뭘고민하셔유ㅡ
    조력은 낚수에관심갖고 얼척에가입한날부터로ㅡ^^
    별은내가슴에 19-01-13 17:32
    조력....?
    낚시터에서 이꼴 저꼴 안볼려고
    산꼴짝 고기 없는 못만 다닙니다.
    상식선도 안지키는 낚시하는 인간들이
    꽤나 많습니다.
    낚시의 조력.
    사람이 지킬수있는 그 선을 지킬수있고
    실천 할때부터 조력은 생기는거라 생각합니다.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