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낚시 금지 관련 아이디어

    언제나푸름 / 2021-05-19 23:51 / Hit : 6341 본문+댓글추천 : 17

    엄청난 논쟁이 있었네요..

    13척 님이 올린 글에..

    쭈욱 보고는 든 생각이 있습니다 

    낚시 면허제.. 

    모든 낚시를 하는 사람은 1년에 10만원씩 내야만 낚시를 할 수 있게 하는 겁니다.. 민물이든 바다든..

    그리고 거기서 걷힌 돈을 낚시터 인근 거주 주민들에게 배분해주는 거죠. 

    일정한 기준을 정해서요. 

    강이나 저수지, 바닷가 인근 낚시객 방문이 일정 수 이상인 곳을 모니터링하여 그 근방 거주 주민에게만 배분하는 겁니다..

    그렇다면 그 동네 주민들도 불만을 조금이나마 누그러뜨릴 수 있을 것이고 

    낚시꾼들도 조금이나마 덜 미안하지 않을까요?

    그리고 나머지 금액으로 국가가 중간에서 관리를 하는 것이죠..

    낚시객 방문자 수 모니터링이라든지 

    일부 방치된 쓰레기 수거라든지에 돈을 쓰는 겁니다..

     

    대신 상수원 보호라든지 수질이 중요한 곳 빼고는 전부 낚금은 풀고요..

     

    1년에 10만원 많다면 많고 적다면 적은 돈 이지만 

    이 돈 내고 편히 어디든 낚시할 수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그냥 답답해서 아이디어 낸 것이니 지적은 살살 부탁드리겠습니다 상처 받습니다 ㅠㅠ

     

    그럼 모두 편안한 밤 되십시요..

     

     


    초율 21-05-20 00:26
    갈때마다 돈내도 댕기는데요..^^
    하드락 21-05-20 00:33
    아이디어를

    내셨으니

    저도 간단하게

    정리하여 제 생각을 써 봅니다.

    비슷한 글들이 올라 올 때마다

    썼던 내용인데요

    조금더 현실적이고 구체적으로 써보겠습니다.

    1. 기존의 유료터

    2. 기존의 낚시방

    3. 낚시꾼.

    등장인물은 위와 같습니다.


    지자체는 (정부) 낚시구역을

    데이터화 합니다.

    사이트(어플)을 통해

    지역과 출조일자 개인정보를 입력합니다 ( 요금부과와 가입시 정보)

    이제 다 되었습니다.

    구역별로 관리하면 됩니다.


    1. 기존의 유료터 역시 데이터화 하여

    낚시꾼들의 출입을 등록(정부에서 제공하는 어플. 사이트) 합니다. ( 이용요금까지 등록 = 세금)

    2. 기존의 낚시방에서는 어플이나 사이트 이용이 불편하신 분들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대리 등록)하고 그 수수료를 (지자체. 정부) 받습니다. (로또 판매점 생각하시면 됩니다.)

    3. 낚시꾼들은 출조전 또는 당일 등록하고 (출조장소와 이용기간) 요금을 납부합니다.


    위와 비슷한 정책이 현실화 될 경우

    1. 정부에서 저수지 또는 수로의 관리로 휴식년을 정하여

    자정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 낚시금지와 허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2. 관리인원을 투입하여야 하므로 일자리가 창출 됩니다. ( QR 코드 또는 낚시점에서 발행한 영수증으로 확인가능)

    ----- 이 부분은 공무원들이 편한 쪽으로 잘 하겠지요? 어떻게 확인 할 것인가는 데이터를 들여다 보면 됩니다.

    낚시 가능 구역의 데이터를 디테일하게 나눌수록 관리는 쉬워집니다. ( 기술적인 부분은 구현가능합니다 )

    3. 유료터 등을 관리하여 세수를 늘릴 수 있습니다.


    짧게 정리하다보니

    이해하거나 동의하기 힘들수 있습니다.
    바부붕어4533 21-05-20 00:43
    누군가가 감시 감독하는 낚시는

    낚시의 즐거움을 감소시킬수

    있습니다
    오룡붕어 21-05-20 06:11
    청소비 받던 저수지 청소는 안하고 장박꾼이랑 같이 술 마시고 떠들고 ...
    언제나푸름 21-05-20 06:25
    역시 잠결에 대충 쓴 거라 깨고 나서 보니 좀 엉터리군요 ㅎㅎ 그냥 재미로만 읽어주세요 ^^;;
    오늘도 월님들 좋은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언제나푸름 21-05-20 06:28
    하드락님 아이디어 역시 멋지십니다. 좋은 해결책이 나왔으면 합니다..
    광주붕신 21-05-20 06:39
    세금이 더들겠는데요
    좋은방법이 아닌듯
    ♡별똥망치 21-05-20 09:08
    담배값에 붙은 세금 담배피는 사람들에게 썼으면 흡연자 환경 엄청 좋겠져?
    낚시 세금 걷어서 낚시 환경에 쓰면 엄청 좋아지겠지만 다른데로 샌다에.. 한표입니다.
    무늬만낚시꾼 21-05-20 10:39
    동네 저수지에 그 동네 아이들, 노인네들이 가서 낚시를 해도 10만원 내야 됩니다.
    그래야, 법이 면을 세우게 됩니다,.
    무늬만낚시꾼 21-05-20 10:40
    그냥 집에서 낚시하고 말란다.
    Hope 21-05-20 11:47
    오히려 돈냈으니 쓰레기를 버려도 된다는 인식으로 더욱더 쓰레기가 많아질것같네요
    전면 금지하고 유료터로 몰리는게 차라리 낫습니다
    하드락 21-05-20 12:11
    낚시를

    하는데 감독 감시하지 않아요.

    어떤 낚시를 하시길래

    불편하신지 모르겠네요.

    당당하게

    - 내가 여기서 낚시를 한다.

    하시면 됩니다.


    쓰레기는 지정된 장소에

    버리는 것입니다.

    가장 기초적인

    사회규범이기에

    모두 잘 지킬겁니다.


    담배는 선택입니다.

    낚시도 선택입니다.

    담배를 공공장소에서

    피우는 사람 없지요?

    낚시도 법규가 생기면

    모두들 잘 지킬겁니다.

    예외의 인간도 있으니

    부분을 전체로 호도하지는 맙시다.


    특정 집단이 이익을 취할 것이다.

    이 문제는

    구더기 무서워서... 속담으로 대신합니다.


    국가는

    국민을 위하여

    돈을 쓰는 겁니다.

    낚시만 특별하게

    장사이윤을 남겨야 합니까?


    낚시인들이 원하는 방향은

    눈치보지않고

    마녀사냥 당하지않으며

    당당하게 낚시를 할 수 있는 방향입니다.

    첫째로

    낚시인들의 의식의 변화와 자정.

    둘째로

    변화된 낚시문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체계적인 법규.

    아닐까요?
    부처핸섬 21-05-20 12:23
    본질을 보셔야지요
    쓰레기만 처리돼도
    좋아질건데요?
    쓰레기 파파라치가
    더 현실적일겁니다
    포상금 500만원쯤 주고
    벌금1000만원 때림
    될겁니다
    쓰레기봉투 21-05-20 12:24
    낚시용품 보조금도 주면 좋겠네요
    그러면 낚시대도 싸게 사지 않응까요
    l대물꾼l 21-05-20 12:43
    유료화가 정답입니다.
    육짜방생 21-05-20 13:09
    낚시터 영업주의 아이디어일 뿐!!!!
    붕남붕여 21-05-20 13:10
    비리가 또 생기겠군요 돈 내는 면허제 시행하면 비리 생긴다에 제 손목아지겁니다 표현이 과격했다면 죄송합니다
    여울지대 21-05-20 14:49
    갈수록 열악해지고 더러워지는 낚시문화를 위해 뭐라도 해야만 한다는
    생각은 안드나요?
    조금만 돌아서서 생각해 보면 훌륭한 생각임에도 불구하고 부정적이고
    단순한 사고만 팽배해져서 충분한 생각도 해보기 전에 논리적이지도
    합리적이지도 않은 말들만 툭툭 던지시는 분들..
    안타깝습니다 우리 낚시인들 마저도 앉아서 논쟁만 하다 뒤통수나 까이면
    되겠습니까?
    무늬만낚시꾼 21-05-20 14:59
    유료화??? 닭장 느낌은 안나게 최하 낚시꾼과 낚시꾼의 거리는 10M 이상으로 하면 그나마....
    뚠뚠 21-05-20 15:10
    면허제가 좋긴 한데 실행하긴 많이 힘들죠
    인식의 변화가 필요 합니다
    눈만달린붕애 21-05-20 15:56
    일년에 10 만원 걷어서 동네 주민에게
    나누어 준다라ᆢ
    과연 얼마씩 돌아갈까요ᆢ
    인건비나 화장실등 유지비용ᆢ
    턱없이 모자라기 때문에 시행이 안되는
    겁니다ᆢ 면허제든 유료화든 실행가능성이 있다면 했겠죠ᆢ
    면허비 500만원 낚시비 노지2-3만원
    낚시 하겠습니까ᆢ
    그러니 시행될수가 있나요ᆢ
    장사를 하는데 이윤은 커녕 마이너스될께 뻔한데 장사 하겠습니까ᆢ
    동내주민이 관리비 받으면 안되나ᆢ
    이질문 많은데 주민어떤분이 월급받고
    한다치면 그분만 일자리생기고 돈받는것
    이지 주민 모두에게 이윤이 돌아갈까요ᆢ 의문입니다
    방법이 없죠ᆢ 아니 방법을 다 아는데
    안되는겁니다ᆢ 직접적으로 느끼지
    못하기에ᆢ 요즘 쓰레기 정리 하시는분
    많이 보입니다 저또한 담배재 꽁초하나
    안버리려 노력합니다 그치만 달라지는것
    은 미미하더군요ᆢ
    법적으로 낙파라치라든가 해서 돈들게
    만든다면 좋아질텐데 왜 안하는지ᆢ
    이러다 낚시인끼리 신고하고 싸우는날이
    오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ᆢ
    전투 21-05-20 17:35
    몇 안되는 기본을 안지키는 그런 꾼들을 신고해서 개정을하는것이.........서민들은 장비도 비싸지는데이돈 저돈 많이내면 낚시는 못하는데...
    까칠한천사 21-05-20 21:07
    1년에 5~10만원 면허세 내는 건 별로 부담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 한달에 1만원도 안되니..
    장비 아니라도 한번 출조하면 1박2일만 해도 교통비에 식비, 미끼 등 10만원 가까이 드는 것 같던데..
    면허를 받기 위해서 교육도 받아야 할거고, 진정한 매니아만 낚시를 할 수 있는 거죠.
    좋아질 것 같습니다.
    면허가 있다면 쓰레기를 버리거나 하는 사람을 계도하는데도 더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을 것 같구요..
    무늬만낚시꾼 21-05-21 00:31
    면허는 면허일 뿐이고
    운전 면허 대부분 가지고 계시죠.
    낚시 갈 때 속도 위반 안하시는 분 몇이나 될런지...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