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조구회사보다. 온라인 매장이 싼이유?

    사신TM / 2021-11-02 08:17 / Hit : 7900 본문+댓글추천 : 16

    안녕하세요.

    조구회사에 전화해서 현금할인 되냐고 물어보니.

    정가로만 판매를 한답니다.

    그래서 온라인 매장을 알아보니 할인을 많이 해주네요.

     

    판매처를 생각하면 조구회사에서 정가로 판매하는게 맞다고 봅니다만.. 

    조구용품  유통구조가 어떻게 되나요?


    하드락 21-11-02 09:22
    판매점에 물건 팔고

    제조사가 더 싸게 팔면

    양아치죠.


    유통구조의 문제가 아니라

    상도덕의 문제 같습니다.
    노지사랑™ 21-11-02 09:22
    제조사가 고객에게 할인판매를 하게되면,
    판매업체에서는 판매가 부진하고 적정 마진을 볼수가 없게되죠.
    그렇게 되면 판매업체는 그 제품을 취급할 이유가 없어지게 되겠죠.
    그래서 제조사에서는 자체 홈페이지에 판매가격을 정가로 올려놓고 할인 판매를 하지 않게 됩니다.
    한마리만물어봐라 21-11-02 10:37
    조구사입장에서 낚시대를 만드려면 재료가 필요합니다.
    재료가의 경우, 양이 많을수록 가격은 낮아지고요.
    그리고 기본적으로 일정량 (ton base)이상이어야 수지타산이 맞습니다.

    하지만 조구사의 입장에선 일반소비자를 대상으로 할 경우, 판매여부가 불확실합니다.
    하여 대단위로 구매가능한 유통상을 끼고 선판매형식으로 진행을 합니다.
    낚시대 개발단계부터 함께 하기도 합니다.
    그래야 공장운영비, 전기세, 직원들 월급 등 기본적인 비용이 해결이 됩니다.

    소비자가 10만원짜리 낚시대에서 재료비 및 각종 운영비를 빼고....
    순이익을 10%정도 뺀 비용이 6만원이라고 책정했을때...
    유통상(나까마)은 6만원에 구입하여 자신의 마진을 붙여서 낚시점에 판매합니다.
    그럼 낚시점은 거기에 자신의 마진을 붙여서 소비자에게 판매합니다.
    낚시점 입장에선 유통상에게 많이 구매하면 가격을 낮출 수 있고 자신의 마진을 높일 수 있습니다.
    자신의 마진율 폭이 크기 때문에 얼마든지 타업체 대비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고요.
    이게 바로 쩐의 전쟁이지요.^^
    이게 전통적인 판매방식이었지만....

    요즘처럼 인터넷 매매가 활발한 시대에선....
    온라인판매점은 유통상을 끼지 않고 조구사와 다이렉트로 계약해서 판매하기도 합니다.
    즉, 결제는 온라인매장에서 하고 물건은 조구사에서 직접 소비자에게 보내주는 형식이죠.
    창고사용료 및 택배포장 및 비용 등을 부담하는 조건입니다.

    결론은 조구사에선 A/S만 가능하고 판매는 하지 않습니다.
    조구사의 입장에선 판매를 하려면 영업직 직원도 뽑아야 하고 고객응대 직원, 택배포장 직원 등 배보다 배꼽이 크니까요.
    또한 하드락님이 언급한 기존 전통적인 방식의 상도덕에도 어긋나고요.

    그리고 번외이지만...
    낚시점의 경우 미끼?상품이 있습니다.
    특정 브랜드의 낚시대를 보편적인 가격보다 많이 저렴하게 판매를 하곤 하지요.
    특히 현금거래로요....
    이게 낚시대 판매로 이윤을 얻기보단 타업체보다 저렴하다고 소비자에게 인식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낚시대를 구매하면서 다른제품을 이것저것 구매합니다.
    그래서 소비자 입장에서 현명한 소비를 하려면 여기저기 검색도 필요하고 발품도 필요합니다.
    삼배지붕신 21-11-02 15:33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저는 무조건 인터넷 최저가만 구매해왔지만 위의 이유까지는 생각해 보지 않았네요.
    아무튼 이곳에는 정말 많은 분들이 계시다는 걸 느낍니다.
    붕어와춤을 21-11-02 15:54
    제조사가 싸게 팔면 유통에서 그회사 물품 취급 안하려 합니다.
    아금 21-11-02 18:05
    그렇죠
    자본주의에 원리죠.
    잡아보이머하노 21-11-02 18:49
    자본주의의 모순이쥬 머.

    과거 10원 짜리 물건 가져다가 100원에 팔면 도둑놈이었지만 지금은 능력이쥬.
    혈뢰 21-11-02 19:23
    제조사에선 그래도 판매금액의 마지노선을 지켜줘야죠 ^^ 소매만 하는거같으면 상관없는데 도소매 같이 하는거면 제조사에서 소매 판매 금액을 어느정돈 지켜줘야하는게 맞아요 ^^
    경로이탈 21-11-02 19:25
    가장 기본적인 판매유통구조 입니다.
    낼도태양은뜬다 21-11-03 08:22
    우리나라 조구사들 반성들 하셔야합니다
    품질은 중국산 보다 나쁘고 A/S 또한 나쁘면서 ,가격만 비싸게 올리고. 현제 가지고 있는
    국산 낚시대 점차 쳐분 할 계획이구
    DK 독조대로 바꿀려고 합니다. 평생 무상
    수리 또한 DK사장님 마인드 좋더라구요
    사신TM 21-11-03 09:01
    댓글 감사합시다.
    많이 배우고 갑니다요.
    강마을 21-11-03 09:06
    윗글 읽고 많이 느낍니다.
    바람아불지마라 21-11-03 16:21
    마진이 얼마나 좋다는건지...모회사 받침틀은
    선배두분이 따로 전화 했는데 견적이 달랐답니다..
    대성산호랑이 21-11-04 09:55
    제조사는
    제조사가 정한 소비자가를 준수 합니다.
    도매납품 받는 업체들의 마진을 보장해줘야 하니까요. 싸게팔다 걸리면 도매가 납품받은 업체들이 다 반품할거에요 ^^
    일학붕어 21-11-04 16:28
    물건이나 제대로 된 물건 만들고 팔아야 할 것 같은데.....

    정말로,
    AS만 문제 없다면 중국대로 몽땅 갈아타고 싶은 생각이 불끈불끈 들때가 많습니다.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