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찌에 대해 알아 봅시다.

    꾼들의낙원 / 2022-11-03 02:17 / Hit : 6720 본문+댓글추천 : 8



    민물낚시를 하면서 가장 많이 듣는 용어가 찌오름과 찌불 그리고 찌의 선택, 챔질 그리고 수제찌 일겁니다.

    많은 분들이 자신의 낚시체험의 시작(유년시절)과 함께 아버지나 친구나 기타 지인과 함께 만든 찌 혹은 낚시방에서 처음 산 찌로 낚시에 멋모르고 심취하고 빠져들었을 겁니다.
     

    낚시엔 언제나 이렇듯 추억이 깃들어 있거든요.
    이 취미란게 포지션이 엄청 넓고 또 한 사람의 인생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역할도 합니다.
    옆길로 살짝 삐긋하는데 제가 한참 낚시에 빠졌던 시기에 나온 찌가 관통찌였습니다.
    뭐 호랑이 담배피는 시절부터 있었지만 자중부력, 자중부력이 회자될때 던져 넣으면 수면에 팍팍 꽂이고 수초 언저리에 정확한 캐스팅이 되니까 몇 해 잘 애용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런데 치명적인 단점도 있었으니 이중 입수나 사선 입수의 불명예가 따라 다니기도 했죠.
    무식하게 무겁기만 한(?) 누구누구가 만든 관통찌가 유행했었습니다.

    그리고 저의 민물낚시의 새로운 터닝포인트가 된 찌는 '옥내림' 찌였습니다.
    백초찌니, 물찌니 하면서 본격적으로 찌의 원류 싸움이 시작되고 누구나 알고 있던 찌 앞에 채비법과 함께 각자 자신의 이름을 붙인 찌가 본격적으로 판매되기 시작합니다.

    저는 경산지역의 유명한 대물낚시 찌 (팔공찌)를 주로 애용했고 (현재는 나노찌를 사용하지만 조과는 늘 꽝 ㅎㅎㅎ) 그리고 옥내림의 세계로 전환하게 되었습니다.
    옥내림찌도 무식하게 5.5g의 소위 대물 옥내림(?)에 빠져든 것이죠.

    긴 목줄과 작은 바늘, 씨알선별력은 떨어져도 언제나 많은 조과, 어떤 저수지에서라도 빈손 철수는 없는 매력, 수초로 찌들은 지역에서 구멍치기(슬로프 낚시)와 외래종 서식지에서, 겨울 얼음 얼기전 동절기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옥내림의 마법에 빠진 것이죠.
    제가 사용해 본 옥내림찌는 막대형만이 아니라 오뚝이형도 실험을 많이 했고 심지어 고추형의 대물찌에도 실험을 해 보았습니다.
    효과는 옥내림 전용 막대찌가 가장 우수했지만 오뚝이형의 저부력찌 또한 효과 만땅이었습니다.

    찌 2~3g, 원줄 새미플로팅 1.5~3호까지 바늘 붕어바늘 5호에서~8호까지 목줄길이는 평균 25~35 단차는 5~10cm로 유동채비로 주로 편납을 감아 사용했더랬죠.

    그리고 흡입하는 입질 패턴이 싫어서 캐미달고 바늘 달고 미끼까지 달아 옥올림채비로 변형하여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두바늘이 아닌 외바늘로 바꿔도 보고요.^^;;

    아마도 그때  여타 찌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연구했던 시절이 아니었나 생각됩니다.
    내림낚시의 맛보기는 좋았지만 토종터에서 잔씨알과 피곤한 낚시는 묵직한 손맛의 외봉돌, 바닥채비를 그리워하게 만드는 주요 원인이었죠.
    역시 낚시는 '기다림의 미학' 인듯 합니다.
    그렇게 저는 튜닝끝 순정으로 돌아왔습니다.^^
    채비법 또한 맛뵈기를 통해서 이것저것 주섬주섬 들여다 본 시기였기도 하고요.

     

    낚시에 붕어바늘 놓고도 낚자도 여전히 모르지만 암튼 그랬습니다.
    상업적인 채비법의 범람과 함께 낚시인들은 조과가 없으면 내 채비가 잘못되었나 하면서 갈등하게 됩니다. 붕어가 물어주지 않아서 그런 것을 어찌 합니까!!!

    채비의 변화는 결국 돈질입니다.(네 돈x랄 이라고요^^)
    나만의 낚시 기법을 믿고 꾸준하고 담대하게 그 길을 걸어 가십시오.
    세파에 흔들릴 필요가 없습니다.

    길게 이야기를 펼치는 스타일, 이 야심한 밤에 참 피곤한 스타일이죠 ㅋㅋㅋ
    아무튼 찌 이야기로 급마무리 할까 합니다.
    어쨌거나 선택은 휜님들의 몫이니까요.




    ■찌의  형태는 막대형, 오뚝이형, 고추형이 있고요

    ■찌탑재질은

    카본, 솔리드, 글라스솔리드, 광섬유, 튜브탑으로 구분할수가 있습니다.


    ■찌몸통의 재질로는 흔히 많이들 들어본 발사찌, 부들찌, 공작찌, 갈대찌, 수수깡찌, 오동나무찌, 삼나무찌, 요즘 유행하는 나노찌, 합성찌, 전자찌가 있죠


    ●막대형의 장단점

    부력이 전체적으로 골고루 분산

    고부력은 앞치기와 투척에 용이하며 입질표현도 명확합니다.

    저부력찌의 경우는 물과 바람의 저항을 많이 받게 되죠.
    고부력은 주로 바닥채비 저부력은 내림채비에 많이 사용합니다.


    ●오뚝이형의 장단점

    부력이 몸통 중앙에 집중
    찌의 안정성은 매우 높으나 앞치기등의 투척은 불리

    채비 안착이 천천히 되고(미끼이탈확률) 예민한 채비로 입질형태는 까다로운 편입니다.
    주로 양어장 낚시에서 많이 쓰이는 편 입니다.


    ●고추형의 장단점

    막대형과 오뚝이형의 중간형태로 투척 역시 용이하고 중후한 입질, 안정된 입질을 보이나 사선입수의 경향이 있어 잘 잡아줘야 합니다.

    이밖에도 이중부력찌, 자중부력, 관통찌, 고리찌(바다) 등등이 있으므로 출조장소와 사용하는 채비법

    올림낚시인지 혹은 내림낚시인지에 따라 선택하시면 될겁니다.

     

     

     

    ae15b29e-f10c-4c96-963c-ad5a670043c7.jpg
     
    7c570016-7a36-4ed6-9c58-570d86efea7d.jpg

     

     

    e3c80eba-e626-4766-94f0-bb03a2336457.jpg

     

     

    077a15b4-b188-4844-8a0e-61fe3b62cedb.jpg

     

     

    e82a432f-aa8b-41ec-92d0-94828d7f2a54.jpg
    (사진은 윗 내용과 별개이니 그냥 감상용으로 넣은 것입니다)
     

     


    두바늘채비 22-11-03 03:13
    찌 이야기에 오래전 자작 찌 만들어 보겠다고
    이리저리 돌아니던 때와, 찌선반 만들어보겠다고
    무식하게 만들었다가 고물창고로 직행한 일.
    찌 도료를 자동으로 고르게 빠르게 건조하겠다고
    지인이 부탁해서 만들어 주었던 uv도료 건조기계.
    인건비도 안받고 진심으로 생각해서 만들어 주었는데
    얼마 가지않아 판매하여 씁쓸한 마음을 가졌던때가 생각납니다.
    꾼들의낙원 22-11-03 03:22
    월척의 기술자(?) 두바늘 채비님

    뭐든 잘 만드시잖아요 ㅎㅎ
    그렇죠 나는 정성이 깃든 물품인데 받는 사람은 별것 아니라 취급하면 참 속상하죠.
    아마 낚시에 입문한 선후배 조사님들 모두가 광적으로다가 낚시에 집착한 적이 다들 있을 겁니다.
    그러다가 시들시들해지고 다시 또 빠져들고요 ^^;;



    새벽이 가깝네요. 늘 건강하십시오
    오지랖퍼 22-11-03 06:14
    그런 열정이 있던때가 있었지요. 지금도 마음은 그렇지만
    예전같지가 않네요. 모든분들 오늘도 화이팅 입니다
    뭉실뭉실 22-11-03 06:17
    찌하면
    저는 비염밖에 생각안납니다.
    우레탄에 코점막 상해서
    안만든지 수년이 지났어도
    요시기만되면 코가 막히고
    재채기가납니다.
    콩나물해장 22-11-03 06:35
    고추형 부력 4.5g 재질 오동
    20개 주문함미…

    느즈막히 가출하신거 아니었어요?
    부처핸섬 22-11-03 07:14
    머..
    붕어가 입질이라도 해줘야
    입질을 볼껀데..
    아..
    2미터 장찌 입질 그립네여ㅜㅜ
    노지사랑™ 22-11-03 07:18
    찌나 낚시대, 채비에 대해 언구도 안하고, 공부도 안하고, 욕심도 없고 그럽니다.
    낚시는 뽀인뜨다고 생각하고 남들 고실고실한 땅에서 낚시할때 혼자 발 푹푹 빠지는 뻘밭에서도 낚시 했더랬죠.
    조과야 늘 조우들보다 겁나 많이 낚았더랬죠.

    그러던 어느날부터 옥내림인가? 머시긴가? 채비가 유행하더니, 꼬기도 못잡던 조우들이 혀리급 뽕오는 발로 툭툭 차고 다닌다더군요.

    그래서 6~7gr대 삼나무 막대찌(*사랑 소*지)에서 3.5gr대 저부력 삼나무 막대찌로 바꾸었죠.
    남들 하는것처럼 바늘까지 다 달고 수조에서 두목 맞춤으로 하고 현장 맞춤 그런거는 안삽니다.
    그러고 베스터에도 가보고, 4짜란것도 몇개 낚아보고, 더 큰놈 낚아보고자 난생 처음 2박 낚시도 한번 해보고(여름에 2박 낚시 하는데 옷 다섯벌 갈아입고 땀띠나고....ㅡ.,ㅡ), 그러다 낚시가서 입질 한번 못 받는 경우도 겪었쥬...

    지금은 삼나무 저부력찌와 나노찌와, 띠사랑님의 선물 파키라찌와 두지원님의 선물 나비찌를 혼용으로 사용중입니다.

    파키라찌로 두번째 낚시에서 얼척이도 두개 잡아봤습니다.

    다만 채비를 가볍게 쓰다보니 찌오름이 조금 경박스럽게 나오네요.
    그린피그 22-11-03 07:47
    GG전자찌 같이 주야간 겸용 화려하게 불빛이 변하는 찌가 더 잼있는것 같습니다
    꾼들의낙원 22-11-03 07:48
    뭉실뭉실님

    예전에 손맛터(?) 하실 때부터 비범한 분이신줄은 알았습니다.
    저는 찌를 만들지도 모르고 다만 잘 만든 찌 사용은 할 줄 압니다. 제 낚시의 조과와 함께 했던 찌는 거의 오동나무 수제찌였죠.


    콩나물 해장님

    저는 8호찌까지 썼거든요. 지금도 봉돌 8~9호짜리 찌를 쓰느라 괴기 못잡거든요.
    시대는 3g을 쓰거라 하고 있죠.
    가출요 맨날하는 걸요.
    무서워서 이제 장박못하겠더라구요 ㅋㅋ

    부처핸섬님

    제가 예전에 양어장 다닐 때 2m장찌가 떠오르는 모습은
    밤에 4m는 되어 보였습니다.
    아주 그냥 입질에도 환장할 높이 만큼 치솟더군요.^^


    노지사랑님

    역시 뭐든 고수시라 다르셔요.^^
    저도 2목에서 3목 따고 4목 내놓고 낚시를 해본적이~^^
    왜 빨찌겠습니까!!!
    빨고 들어가면 챔질이니까 그냥 밤낚시엔 눈 안아프게 수평맞춤으로 낚시하곤 했죠.
    제가 옥내림을 결정적으로 멀리한 것은 입술에 바늘이 걸리는게 아니라 목덜미에 바늘이 걸리는 것이 같은 상처를 주는데도 왠지 싫더라고요.

    그래서 입니다.
    낚시를 몬하니 핑계만 한가득이죠 전 늘 ㅋㅋㅋ
    꾼들의낙원 22-11-03 07:52
    오지랖퍼님

    이젠 마음도 몸도 안따라 주네요.
    산속 소류지 야밤에 도착해서 장짐지고 거의 500미터를 기본으로 올라가던 시절이 있었는데

    이젠 차 대고 1m아니면 낚시를 안하네요.
    차대고 1m라도 너무 외진 곳이면 돌아나옵니다.
    겁이 엄청나게 많아졌더군요 ㅎㅎ
    꾼들의낙원 22-11-03 07:54
    그린피그님

    전 전자찌를 안써봐서 잘 모르겠네요 ㅎㅎ
    대꼬쟁이 22-11-03 08:28
    하수들께서 연장탓 하십니다.
    저는 고수라서~~~
    .
    .
    .
    .
    .
    .
    빈바늘에 낚수합니더.ㅡ.,ㅡ
    꾼들의낙원 22-11-03 08:45
    대꼬쟁이님!!!

    맞습니다. 맞고요.

    하수라서 연장탓이죠 ㅋㅋ

    몸 나으시면 깊은 산속 옹달샘 누가와서 먹나요
    시전해 주시나요?
    대물도사™ 22-11-03 09:13
    찌의 부력이 얼마인지
    봉돌은 몇호이고
    이게 무슨찌인지
    낚시대는 몇칸대인지
    경질인지 연질인지

    찌만서면 껄께이달아 던지고
    비오면 우산들고
    쬐끔만한 간이의자에 쪼그리고 앉아...
    있던 시절이 그립네요

    아마 조과는
    화려한장비를 자랑하는 지금보다
    그때가 더 조과가 좋았던거
    같기도하고...

    좋은글 추천드립니다^^
    수우우 22-11-03 09:38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막대찌 고부력 사용해보고 싶은데, 찾기가 쉽지 않더라구요.
    한마리만물어봐라 22-11-03 09:39
    배울점이 많은 글입니다
    저와 교집합도 많구요~^^
    요즘은 생각합니다
    아무리 옥내림이고 얼레고 정교한? 채비라도 붕어가 먹이활동을 안하면 말짱꽝~!! ㅜㅜ
    옥내림으로, 또는 얼레채비로 대박조황을 만났고 이게 진리라며 굳건한? 믿음으로 채비를 설파하고....
    원봉돌 풍덩채비를 구사하시는 분들을 아래로 보던 시절....

    그런 분들의 포인트를 보는 안목....
    낚시할 시기를 선택하는 안목....
    바지장화를 입고 여귀나 갈대, 수초를 작업하는 열정....
    토종터 출조 족족, 외래어종터가 아니면 큰놈 승부자체가 안되는 예민한 내림채비에 회의도 많았네요~~^^;;

    낚시조과에서 제일 중요한게 붕어맘입니다
    그리고 그다음이 고정관념 탈피라고 생각합니다
    이채비 저채비 절대적인건 없습니다
    시기,포인트에 대한 이해와 거기에 맞는 채비운영....
    그리고 오랜시간의 경험이 축적되는게 붕어낚시의 정도라고 생각되네요
    키큰붕어 22-11-03 09:47
    20여년전 바다낚시할땐 구멍찌, 막대찌 만들어쓰다가 민물로 전환할때 내림부터 배우며 내림찌를 만들어쓰고 지금은 올림에 빠져 어제도 건조시킨 올림찌 방수처리도료 바르곤 엊저녁 테스트했읍니다. 보상이 햅쌀 10kg이 떠억하니 부상으로다가...요오양 저모양 만드는 솔솔한 재미는 이루 말할수 없죠
    꾼들의낙원 22-11-03 12:16
    대물도사님!!!

    맞아요 장비가 부족할 때
    낚시 인구가 적을 때
    포인트 자리다툼이 없을 때가 낚시 천국이었죠 ^^

    수우우님

    잘 찾으셔서 대물상면 하세요.


    한마리만 물어봐라님

    그렇죠!!!
    낚시의 정답은 당일 도착한 물가에서 찾아야죠
    과신도, 맹신도 경험도 때론 내려놓아야 하는 곳이 자연지니까요.
    어제 아무리 잘되더라도 오늘은 또 달라지니까요.

    키큰붕어님

    바다 장르와 민물 장르는 또 다른 재미가 있을테지요.
    찌를 자체 제작하시면 더욱 멋진 일이십니다.^^
    산노을 22-11-03 12:28
    찌 이야기를 하시니까
    저도 지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지금부터 55년전에 이야기 입니다. 그때에 대구시에 검당동에 현 성광중고등학교 정도에 배자못이란 큰 저수지가 있었습니다.
    지금 생각 해보니까 그때에 벌서 내림낚시를 하였습니다.
    찌는 수수깡 빗자루에서 (2mm)굵기 가는대를 뽑아서 윗부분은 불로 검게 찌지고 아래에는 대나무 깍아넣어서 실로 감아서 1그람 정도의 부력으로
    찌를 만들었습니다.
    떡밥은 요즘으로 이야기 하면 크루텐 성분으로 밀가루에다 삶은 고구마를 넣어 반반 비율로 반죽하여 사용하였습니다.
    그리고 찌톱을 수평으로 검은 부분만 보이도록 맞추고 낚시줄은 아주가는 나이롱줄로 (호수모름)하고 외바늘 채비로 짧은 낚시대 1대로 연신 붕어를
    잡았습니다 주로 5치~8치급 입니다.
    지금은 수많은 찌 오동목 발사목 나노찌를 가지고 있지만 그때 그 수수강 찌보다 예민한 찌는 보지못하였습니다.
    그리고 밀가루에 삶은 고구마 배합은 환상의 떡밥입니다.
    비오는날 비닐우산 쓰고 작고하신 아버님과 비 맞으면서 붕어잡던 그시절이 아직도 눈에 선선합니다.
    꾼들의낙원 22-11-03 12:35
    산노을님

    아마 그 채비가 어리버리 그러니까 현 얼레채비일 것 같네요.
    원래 오래 전부터 경상도에서 이름없이 어르신들이 사용하던 채비죠.

    50년이 훨씬 지나도 잊혀지지 않는 추억 한페이지
    수수깡찌

    진정 낚시가 만든 추억입니다.
    소중한 이야기 감사드립니다.^^
    붕어와춤을 22-11-03 13:45
    찌 보다는 찌찌에 관심이 더~~~~~~~~~~~~~~~아~아임다

    진풍 스프링찌 요거 나올때 질러 아직 사용중입니다.

    이후 부레찌 (30대 이상) 나와서 바꾸고 아직 쭈욱 갑니다.
    커져라 22-11-03 23:13
    제가 찌에 대해선 아는게 거의 무지한지라 ㅜㅜ
    많이 배웟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
    율량붕어 22-11-09 12:13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