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비위 약하신분들은 절대 클릭금지.

    류군아 / 2014-04-02 12:40 / Hit : 12607 본문+댓글추천 : 0

    freebd_12391925.jpg

    freebd_12392954.jpg

    붕어를 잡아 . 아가미쪽에 반점.이 생길건보고 . 오징어 다리 같은게 잇어서 본결과.
    유충이 였습니다.

    붕어를 낚으신 선배님들 이 반점을 보신다면.
    꼭 핀셋이나 집게로 제거 해주세요.
    이 유충들은 아가미 쪽에 붙어. 붕어의 피를 빨아먹고삽니다..

    정말 떨어지지도않아요........ㅠㅠ...
    선배님들의 조행기를보다.
    반점 붕어가보여 ..이렇게 정보를 공유합니다.

    검단꽁지 14-04-02 12:45
    아 우. 밥막었는데
    날으는밤나무 14-04-02 12:50
    아가미 흡충이네요
    많이 퍼져 있더라구요
    더구나 메기에도
    retaxi 14-04-02 12:52
    물 오염이 심한곳 일수록 많이 보이는듯!
    깨긋한 물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
    이박사™ 14-04-02 12:53
    짱개붕어에서 옮겨온 녀석들...
    큰일입니다.
    대구남아 14-04-02 12:56
    우악!뭐야 이거 ㅡ.ㅜ

    징그럽네요..
    縱橫無盡 14-04-02 13:06
    뭘 잡아봣어야 확인을 해볼테데....

    안타깝습니다.
    첫월척배딴놈 14-04-02 13:09
    야싸님 말씀에 공감입니다ㅋ
    매화골붕어 14-04-02 13:21
    그냥 약내려 드시며 저 해충즙도 먹는거네유ᆢㅜ

    비늘선배님 마니드셧쥬ᆢㅋㅋ
    피터™ 14-04-02 14:56
    유충은 커녕 붕어도 구경 못했슈~. ㅜ.ㅠ"
    생각하는붕어 14-04-02 15:00
    매화골 붕어님 !

    그거이
    해충이 약 이라예.......

    개복숭아
    이뻐진다고 불끄고 먹는거 처럼........
    류군아 14-04-02 15:20
    저 위 사진은 같이 낚시하는 선배가 잡은 붕어이고 저도 몇번 저런 붕어를 잡은적이있고.
    핀셋이없으면 수건으로 유층을 잡아 뽑아버렸습니다.

    아이구 ㅠ 우리 이쁜붕어안테 뭔일이 일어나는건지 ㅠㅠ.
    낚시후주변정리 14-04-02 15:46
    몇일전에 월척사진 올리신분중에 붕어 한넘이 볼따구에 저렇게 키스마크새겨져 있길래 이상하다 생각했는데 속에 유충있겠네요 으..징그러라..붕어가 고생이 많네요
    아자개 14-04-02 17:16
    유료터 붕어가 중국산이고 중국에서옮겨왔다는 소문이 ㅇ이제 블루길 배스처럼 퍼질일만 남았네요.
    이제우리나라에 강이없으니 더빨리퍼지겠죠
    날씬붕어가아니라 떡대붕어가보입니다
    생각하는붕어 14-04-02 19:30
    아참 .......

    저도 몇일전 낙동강에서 월척급붕어를 여러마리 잡았는데
    붕어 몇마리 아가미에 양쪽으로 반점이 있었읍니다.

    전 누가 잡았서 살림망에 보관중 생긴 상처인줄 알았는데
    그게 기생충이였군요.

    이제 무서워 낙동강고긴 잡지 말아야 겠네요.
    진작 알았음 기생충 제거하고 보내주는데 , 살림망을 안가지고 다니니 자세히 보질 못했네요.

    구미 낙동강고기 많이 잡아가시던데 ......
    큰일납니다 , 절대 가져가심 안되요.
    낚시후주변정리 14-04-02 20:21
    낙동강, 영산강, 북한강, 진주 남강, 순천 상사호 등 국내 5개 강의 퇴적물이나 하천수보다 이들 강에 사는 붕어의 체내에 화학물질이 더 많이 축적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해 낙동강 등 5개 강에 사는 붕어와 하천수·퇴적물의 '과불화합물' 10종의 잔류 실태를 조사한 결과, 붕어에서 가장 많은 축적물이 검출됐다고 밝혔습니다.

    과불화합물은 코팅제, 반도체 세정제, 식품 포장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분해가 잘 안 되기 때문에 단백질과 결합하면 생체 내에 쌓입니다.

    붕어의 체내에서 단백질량이 많은 간에서는 과불화합물이 5개 강 평균 0.16∼11.11ppb가, 혈액에서는 1.72∼48.23ppb 농도로 검출됐습니다.

    이에 비해 퇴적물에서는 과불화합물이 5개 강 평균 0.02∼0.57ppb, 하천수에서는 퇴적물에서보다 더 낮은 0.0023∼0.03545 ppb 농도로 축적됐습니다.

    붕어의 간에서는 5개 강 평균 0.16∼11.11ppb(ppb·ng/g)의 과불화합물이, 붕어의 혈액에서는 1.72∼48.23ppb(ppb·ng/㎖)가 검출됐다. 붕어 간에서 검출된 과불화합물 수치는 5개 강 퇴적물의 평균 수치 0.02∼0.57ppb(ppb·ng/g)의 최대 550배에 달한다.

    환경과학원은 과불화합물은 생물체에 한번 들어가면 잔류성이 높아 계속 축적되지만 규제 기준이 없고 과불화합물이 단백질과 쉽게 결합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앞으로 붕어 외에도 조사 대상 생물종을 확대하고 생태 영향에 대해서도 조사 연구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깔치 14-04-04 12:48
    충남 논산입니다

    에제 30에서39 카지

    20여수를 하여습니다

    그중에 7마리 정도가 흡충이

    있었읍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물오염은 더해질거고

    흡충은 더많아지겠죠.....

    우리월님들은 다들 실천하고 게시겠지만

    우리가 해야할일 쓰래기꼭 챙겨옵시다,..
    뭐레유 14-04-04 14:23
    제거합시다
    월척의길 14-04-04 16:53
    수술 해 주셔야죠.
    강짱군 14-04-05 19:47
    구미수로 붕어에서도 많이보여 정말 징그럽던데....
    인천향기 14-04-07 18:23
    우리나라 수질이 점점 악화 되는것 같아 안타까운 마음입니다 근본적인 해결 참 어려운 문제 입니다
    다같이 수질정화에 노력을 아끼지 맙시다 ^^
    정우회총무 14-04-08 19:34
    구미근처의 낙동강일대및 수로권에서 심심찮게 확인되는 실정입니다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