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림·중층낚시

    · 중층, 내림 등 전층낚시에 대한 전반적인 문답과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낚싯대에 대한 문의는 낚싯대포럼(중층 내림대)코너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포럼바로가기]

    [질문/답변] 한수가르쳐주세요

    marko / 2007-08-20 17:07 / Hit : 7860 본문+댓글추천 : 0

    고푼수의 전자찌를사용할때는 편납홀더를 한개사용할수록 좋은가요 아님두개를
    사용할수록 좋은가요 한개를사용하니 편납을 많이감아 넘 빨리입수가 되는것같네요
    어떻게 좋은가요 그리구 차이점도 좀 가르쳐 주심 초짜에게 도움이많이 될것같아요
    경험많은 고수님들 한수가르쳐주세요^^

    바닥매니아 07-08-21 09:28
    답글이 없어 부족하지만 제가 글을 남깁니다

    고푼수의 찌를 사용하신다면 편납홀더를 두개를 사용하시는게 더 좋다고 알고 있습니다

    한개의 홀더를 사용시 말씀처럼 편납이 너무 많이 감게 되죠

    그럼 챔질시에도 편납이 물과의 마찰로 인해 편납이 풀리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구요 목줄과 편납의 엄킹현상도 발생합니다

    두개의 홀더를 사용하시면 편납의 무게를 분할하는 효과가 있어 투척후 채비의 안정성도 더 좋은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긴총 07-08-21 13:29
    우선 편납 홀더를 사용하실때는 감겨진 납의 외경이 홀더아래위의 외경보다 많이 벗어나면 좋지 않읍니다.
    이유는 앞선분이 말씀 드렸듯이 납의 저항으로 인한 트러블과 입질표현 둔화가 큰 원인 입니다.

    전자찌든지 일반 주간용찌이든지 고부력을 사용 하실때는 납의 량에 따라 홀더를 추가 하셔서 사용 하시는게 좋읍니다.

    그러나, 상기의 이유를 제외하고서는 특별히 분할된 홀더가 가지는 장점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즉, 고부력이 아닌 경우에까지 굳이 홀더를 분할 하실 필요가 없다는 것을 참고적으로 말씀드립니다.

    다만 저수온기에는 미끼의 하강속도를 길게 하거나, 미끼의 입수 각도를 줄이기 위하여 홀더를 분할한뒤 하나를 위로
    올려서 사용 하는 경우는 있읍니다. 그렇다고 이방법이 더나은 것이라고 장담 드릴수는 없읍니다.
    실제 노지에서는 채비의 차이보다는 환경적인 요인이 더크게 작용 하기 때문 입니다.
    굿타임 07-08-21 14:18
    홀더를 두개 사용하실때는 반드시 위에 홀더의 편납양이 아래홀더 보다 많아야합니다^^

    분납은 내림낚시의 경우 숨은입질 표현이 안될수 있습니다(저는 2.5푼내외를 씁니다)
    전자찌의 경우 반발력이 현저히 떨어져 슬러프낚시의 경우 더욱 힘든낚시가 될수 있습니다. 어느제품이든 주간낚시에서의 테스트결과 똑같더군요. 타이트한 정점낚시를 추천합니다
    올인 07-08-27 10:13
    활성기때 부력이 많이 나가는찌에 분납이 필요 할수도 있겠지만 저수온기때는 고부력을 잘 안쓰겠지만 분납안하는게 좋습니다.
    윗편납이 무거워야 자연스럽게 입수되고 입질시 이물감도 덜하고요. 분납시 노지 대류현상에도 조금 도움됩니다.
    하지만 채비는 복잡한것보다 최대한 단순하게 하는것이 모든면에서 좋은것같습니다.
    쏘갈딱지 07-09-04 17:15
    첫째. 왜 저부력찌가 고부력찌에 비해서 입수가 더 느린가?

    저부력찌는 고부력찌보다 봉돌 무게가 가볍거든요.
    그러니까 상식적으로 생각해봐도 입수가 더 느리죠.


    둘째. 왜 입질이 늘어지는가?

    저부력찌가 고부력찌에 비해서 더 예민하기 때문이죠.
    상식적으로 봐도 동일한 입질상황에서 고부력찌가 한 마디 빨려 들어갈 때, 저부력찌가 2~3마디 이상 빨려 들어 간다는 사실은 아시죠?
    또한 동일한 입질 조건에서 예를 들어서 아주 극도로 입질이 미약할 때 고부력찌가 찌 마디 부분이 "흔들"하고 살짝 흔들리고 마는 입질을 보일 때, 저부력찌는 반마디나 한마디 정도가 슬그러니 물속으로 잠기는 듯한 입질을 보이죠.
    또한 동일한 입질 조건에서 고부력찌가 반마디나 한마디 정도가 슬그러니 잠기는 듯한 입질이 나온다면, 저부력찌의 경우에는 2~3마디 정도가 슬그머니 잠기는 듯한 입질을 보이죠.
    특히 요즘같은 저수온기에는 딱딱 끊어지거나 쏙쏙 빨리는 입질 보다는 찌톱이 조금 미끄러지는 듯한 입질, 즉 슬그머니 잠기는 듯한 입질이 자주 나오죠.
    이렇게 슬그머니 잠기는 듯한 입질이 나타날 때 만약 고부력찌라면 찌마디 부분이 흔들하고 흔들리고 말겠지만, 저부력찌라면 반마디, 한마디 정도는 슬그머니 잠기는 듯한 표현이 나오겠죠.

    이런 현상은 찌톱의 도색이나 재질에서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수면의 표면장력의 영향 때문인데......
    무크톱이나 매끄럽게 도색된 찌톱인 경우에는 딱딱 끊어지는 입질보다는 미끄러지는 입질표현이 많고....
    카본 솔리드, 셀룰로이드 튜브, 유리섬유 솔리드 등인 경우에는 위와 동일한 조건에서 미끄러지는 입질보다는 딱딱 끊어지거나 흔들하는 짧은 입질 표현이 많죠.
    솔리드와 튜브 형태의 찌톱인 경우에도 솔리드인 경우보다 튜브가 더 입질이 끊어지거나 흔들리는 형태로 형태로 짧게 나타나죠.

    이런 식으로 저부력이 고부력에 비해서 저수온기의 예민한 입질을 잡아 내기에 더 좋다는 것이 일반론이기는 하지만 절대적인 결론은 아니죠. 고부력과 저부력은 나름대로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거든요.



    도움 이 되었음 합니다..............
    일단은 찌에 대해서 이해가 부족함이듯 싶읍니다......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