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림·중층낚시

    · 중층, 내림 등 전층낚시에 대한 전반적인 문답과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낚싯대에 대한 문의는 낚싯대포럼(중층 내림대)코너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포럼바로가기]

    [질문/답변] 회원분들은 양어장에서..?

    거창원숭 / 2009-12-08 19:10 / Hit : 4444 본문+댓글추천 : 0

    반갑습니다 19살 학생 원숭입니다^^

    다름이아니라 제가 가는 양어장(손맛터)에서 사장님께서떡밥을 개어주셨는데

    아쿠아x2 아쿠아x3 두개의 장단점 하며..

    직접 비벼주셨는데요 저는 그런광경 처음봤씁니다.

    3 로 계속비비니 먹이용 덜비비니 집어제 물의 양은똑같은데 어떻게 저렇게 달라질수가있나!!!!!!

    놀랬습니다.

    2 로는 바닥낚시용으로해주셨는데 그것도딱바닥에 알맞게 해주시는데 ^6^ ㄷㄷ

    역시 내공이 대단하신분같았습니다.

    그래서 낚시대결을 잠깐 이나마 했는데요..

    사장님께선 바닥 쌍포 피시고 저는 내림으로했습니다...

    결과는 졌습니다..ㅠㅠ

    사장님께서 수고했다고 떡밥 한봉 주셧네요^^ㅋㅋㅋ

    회원분들은 양어장에서 집어제와 먹이용을 어떻게 배합하시나요^^?

    limsyk 09-12-09 21:14
    너무 환상이나 경외심을 가질필요는없습니다.
    그러나 그곳을잘아는 사장님이나 자주낚시를 하는분의 말이라면 신뢰해야겠죠.
    가끔은 낚시를잘모르는 사장이있을수있고요 자주오시더라도 그만했으면 하는분들도있죠.

    전 처음가는곳이라면 어분과보리보리 지티에스 로 집어제쓰고요 미끼는 알파21반 와다글루반 이렇게 씁니다.
    안되면 이것저것변화를주면서 해야겠지만요.

    시간날때만 낚시하고다녀서요 참고만하시고 아니다싶으면 무시하세요.

    .
    .
    모구 09-12-11 08:26
    마니쳐대면 공기가 다빠져나가 완전이 찰떡이 됨니다
    이건 먹이용으로 쓰고여
    좀적게쳐데서 이건 요령이 필요 함니다
    공기를 마니먹게 슬슬 젖기만 하시고 뭉쳐서 물에 던지고 풀림을 살펴보고 쳐대는것을 해야 함다
    연습을 하시길......
    제갈킬 09-12-13 13:03
    현지 낚시터에 매점가시면 이곳은 어떤게 잘먹는지 물어보시면 대부분 가르쳐 주십니다.

    아님 현지조사님께 여쭤보시면 가르쳐 주시죠 떡밥이야 물의양과 치대는 획수로 먹이용이냐 미끼용이나가

    가려집니다. 보통 떡밥봉지 뒷면에 보면 자세하게 설명이 되있는텐데요 먹이용으로 쓸때와 집어용으로 쓸때를

    구분해 놨습니다. 열심히 배우시고 즐낚하시길...
    경산조사 09-12-13 23:24
    저수온기 집어제로서 어분단품에서 극소량의 보리종류집어제 또는 비중이 아주 무거운 바라케류 만 사용하는것이 장시간 조과면

    에서 더 낫습니다.

    보리종류 집어제는 처음에는 고기가 좀 달리다가 나중에는 밥이 떨어지는 쪽이나 수중의 잔분을 먹을려고 고기들이

    뜨는 경향이 많습니다.

    아시는 고수분중에도 집어제,미끼로 어분단품하나로 충분히 가능하다는걸 보여주시더군요.

    전 아직 고수가 아니라 거기까지는 안되지만

    집어제는 어분+보리극소량,비중이 아주 무거운 바라케류정도(1:1:0.4물)

    요거 안되면 비중이 조금 가벼운 집어제로 고운어분+비중이 무거운 바라케(0.5:4:1.2물)

    처음 가는곳에서 미끼로는 어분당고>글루텐3합(이모+알파+와다)>우동순으로 씁니다.

    제가 적은 배합은 고활성기>저활성기 기준으로 보시면 됩니다.

    활성도가 좋은데 굳이 우동이나 단차집어제를 쓸 필요는 없겠지요.
    카리없수마 09-12-15 16:11
    그래도 요즘엔 하우스 돌아 다녀 보면

    집어제 많이 안쓰시는 것 같더라구요..

    하지만 분명 조과 면에서는 차이가 있다는 것//

    얼마나 주룰러 주어서 찰기를 주느냐에 따라 같은 종류로 낼 수 있는 것이죠..

    말랑말랑 맛있게 만들면 됩니다..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