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림·중층낚시

    · 중층, 내림 등 전층낚시에 대한 전반적인 문답과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낚싯대에 대한 문의는 낚싯대포럼(중층 내림대)코너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포럼바로가기]

    [질문/답변] 원인이 뭔지요?

    잔챙이전문 / 2009-03-25 17:24 / Hit : 3352 본문+댓글추천 : 0

    약 5.5푼찌에 원줄 육각사2호 목줄 1호 바늘 6호채비에 며칠전 긴목줄 30센티 짧은목줄 25센티로 단차 5센티주고 낚시를 했는데 10마리중 8,9마리는 아래바늘에 걸림이되어나왔는데 어제 목줄이 터져서 여분줄이없어서
    묶어놓았던줄 긴목줄 30에 짧은목줄 20센티(단차10센티)했더니 계속 윗바늘에 걸림이 나오서 이상하네했는데
    오늘 같은자리에 다시어제 그채비그대로했는데 윗바늘에만 후킹이되네요.
    바닥은 연밭인데 찌꺼기만있지 특별한 걸림이 없는상태였는데 단차에따라 걸림이 바뀌는경우가있나요?
    참고로 11목찌에 5목 빈바늘 맞춤후 8목을주고 했읍니다

    잔챙이전문 09-03-25 20:58
    제갈건님 답변감사합니다. 처음 5목맞춤에 정목 즉 5목주고하니깐 목줄 긴장도가 넘팽팽해서인지 입질은 오는데 자꾸 헛챔질이 나타나서 3목 슬로프를 더주었던건데 그러니깐 입질이오면 챔질은 정확히 되는데 자꾸윗바늘에 걸려서 질문을 올린겁니다.
    겨울하우스낚시때는 바닥이 고른상황이라서 7목맞춤에 7목주면 떡밥달면 약 2-3목줄어 4-5목이나타나고 떡밥풀리면 7목이 나오는데 노지라서 바닥이 고르지않을것을 감안하고 헛챔질이자꾸나올시 슬로프를 약 2-3목 슬로프를 더주라는 얘기를 들은것같아 그렇게 한건데 제 채비가 잘못된부분이 있나요?
    그리고 5목맞춤에 8목주면 떡밥달면 약 5목이 수면에 나오는데 윗바늘이 뜨는것이 아니고 윗바늘에 슬로프가 더 주어져서 바닥에 더 안착이 되는게 아닌가요?
    하면 할수록 넘 어렵네요 고수분들 한수지도 부탁드립니다.
    떡뿡어 09-03-25 21:08
    떡밥운용은 어떻게 하셧나요?? 목줄교체후 다시 수심체크를 해보셧겠지용 ...

    정흡만 잘 된다면 큰문제는 없습니다 세트낚시시 그런경우라면 입질용 미끼보다 집어제를 더 잘먹어서 그럴수도 있구요...

    양당고 라면 정상이구요 ....어렵게 생각하실거 없네요^^

    목줄은 짧게 쓰시는데 단차10cm 에 윗바늘 수심체크 해서 평지형 바닥권에서 하시면 아랫바늘 목줄이 많이 눕게 돼네요...

    슬로프는 목줄길이랑 연관되어있습니다..... 아랫바늘이 많이 눕거나 접혀서 입질표출이 제대로 않될수도 있네요....

    아니면 아랫바늘로 수심체크를 하셧다면 윗바늘이 뜨게되서 제갈건님 말씀처럼 좀더 먹기쉬워서 윗바늘을 잘 먹을수 있는 경우도 생기겟네요...

    이론은 이론일뿐 정답은 없는것 같네요 다만 얕은 경험으로 유추해 보는거겠지요

    고기마음을 어찌 알겠습니까? ㅎㅎ
    whoon07 09-03-25 21:32
    제갈건님이 내림낚시 찌 맞춤과 낚시 방법에 착오가 있으신 것 같습니다. 보통 내림낚시 찌 맞춤은 사람마다 찌의 특성에 따라 달리 합니다. 반드시 몇 목에 몇 목을 내놓고 낚시를 하여야 한다는 닊시의 정석은 없습니다. 찌 맞춤은 5목이든7목이든 자신이 좋아하는 목수를 맞추고 실제 수심을 측정하여 낚시 할때는 두바늘 모아서 맞춤목에서 부터 낚시를 시작합니다. 활성도가 좋으면 맞춤목보다 적은 목수를 내놓고 하시고 활성도가 떨어지면 맞춤목 보다 많은 목수를 내 놓으며 낚시를 합니다. 또한 찌움직임이 있어 챔질을 하는데 후킹이 안되면 한 목수씩 더 내놓으면서 타점을 찾으시면 됩니다. 그리고 만약 7목에 찌 맞춤을 바늘달고 하였다면 실제 수심을 맞추고 낚시할때 떡밥이 풀리면서 목내림을 하면 7목 보다 한두목수 더 올라오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는 바늘 무게를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즉 7목 찌맞춤 하였다고 하여 7목이상 올리면 슬러프낚시가 되는 것이 아니라는 뜻입니다. 바늘무게가 3묵이라면 10목 이상을 올릴때 부터 슬러프가 됩니다(정확한 찌맞춤이 되었다면) 그리고 잔챙이님은 빈바늘 5목에 8목 낚시를 하셨다면 단차와 상관없이 두바늘 슬러프낚시를 한것입니다. 따라서 바닥에 슬러프된 상태에서 긴바늘 짧은 바늘에 고기가 후킹되어 나오는 것은 큰 의미가 없을 듯 합니다. 문제는 전날과 같은 찌 맞춤이라도 지형에 따른 오차가 있었거나 찌맞춤이 달라질 수 있었을것 같습니다. 그리고 바늘이 뜨는 경우는 7목 찌맞춤에 적은목수를 놓을 수록 단차바늘 (윗바늘)이 뜨고 맞춤목보다 더 목수를 올리면 두바늘이 바닥에 눕게 됩니다.
    햇빛같은기쁨 09-03-25 22:06
    whoon07 님에게 추천 한방 누릅니다. 5목 마춤에 8목이 나왔다면 당연히 두 바늘 다 바닥에 닿은 상태고 더 나아가 윗바늘 마져 슬로프 상태, 그러니 아랫바늘은 10센치 이상의 슬로프 그렇다면 아랫바늘의 미끼는 다 먹어도 예민한 입질이라면 찌에는 반응이 없을 수도 있겠지요....
    잔챙이전문 09-03-26 20:13
    여러분들의 답변 감사드리며 훈07님이나 햇빛님 말씀대로 제채비가 헛챔질이 자꾸 발생하여 두바늘 다 슬로프를 주고한것인데
    햇빛님 말씀대로 아랫바늘에는 예민한 입질이 표현안될수도있고 07님 말씀대로 두바늘 모두 슬로프된상태라면 윗,아래바늘의 특별한 의미가 없을수도 있는데 아마 제가 관습적으로 윗바늘에 집어제 아래바늘에 미끼를 쓰는 습관때문에 보통 아래바늘에 후킹된다는 선입관이 있었던것같읍니다. 제가 미끼를 두바늘 다 글루텐을 사용했네요.
    답변주신 모든분들 감사드리며 추천 한방씩 드립니다.
    제갈킬 09-03-27 20:07
    훈 07님 말씀에 추천날립니다. 제가 착각을 했네요 ㅜ.ㅜ 너그러운 마음으로 이해 바라고요

    맞습니다. 찌를 내리면 부상하는 힘때문에 목줄이 팽팽이 되고 찌를 올리면 슬로프가 많이 진다는걸 잠시 거꾸로 말씀을

    드렸네요 실수한거 같아 댓글 삭제 했습니다..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