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토론방

    · 회원이 토론의 이슈를 제안하면 그 주제에 대해 자유로운 댓글을 통해 참여하는 방식의 토론방입니다.
    · 이슈의 범위는 제한하지 않으나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자극적이거나 비매너적인 댓글은 삭제됩니다.
    · 뉴스기사 및 타 사이트의 게시글을 옮겨와 단순히 게시하는 것, 본인의 의견이 아닌 글은 삭제됩니다.
    · 균형있는 게시판 사용과 신중한 이슈 제안을 위해 게시물 횟수를 3일 1회로 제한 합니다.

    [기사 내용 퍼옴] 美월가 큰손들 "디플레온다"..대비 나서

    짧은대 / 2010-08-03 06:04 / Hit : 2956 본문+댓글추천 : 0

    미국 경제의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서 월가의 대형 투자자들이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는 등
    물가 하락의 충격에 대한 대비에 나섰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 세계 최대의 채권투자업체인 핌코의 빌 그로스 회장과
    투자매니저 제레미 그랜섬, 헤지펀드 매니저 데이비드 테퍼와 앨런 포니어 등이 디플레 대비에 나섰다고 2일 보도했다.

    디플레가 발생하면 전 세계 경제는 물론 주식시장도 걷잡을 수 없는 하락 국면을 또다시 경험하게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들이 디플레 대비에 나선 것은 각국의 경제지표가 취약한 수준을 지속하고 있는 반면
    중앙은행과 정책결정자들이 경기 부양책을 사용하기를 꺼리거나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데 공감대가 형성됐기 때문이다.

    최근 미국의 지표를 보면 6월 소비자 물가는 1년 전 보다 1.1% 오르는데 그쳤고 지난주 2.4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발표에서도 근원 물가상승률은 1.1%로 작년 1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의 제임스 불라드 총재는 지난주 미국이 일본과 같은
    디플레와 성장 둔화 국면을 맞을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미국의 이런 디플레 우려는 불과 2개월 전만 해도 인플레가 우려 대상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황이 정반대로 달라졌음을 의미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2천390억달러 규모의 뮤추얼 펀드인 `핌코 토털 리턴 펀드'를 운용하는 그로스 회장은 지난 2년간 미국의 소비자 물가가
    0.1% 하락(연율기준)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디플레이션은 지적 호기심의 주제가 아니라 실제로 발생하고 있다"면서
    "이것은 디플레 쪽으로 향해 가고 있는 불확실한 세계"라고 말했다.

    디플레 초기 징후가 나타나면서 이들은 채권이나 배당이 나오는 주식 등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는
    투자를 늘리는 반면 주식에 대해서는 상장지수펀드(ETF)를 통해 주가 하락에 대비하는 조치들을 취하고 있다.

    물가 하락기에는 제품 가격을 올리기가 어렵기 때문에 기업들의 수익이 줄고 이로 인해 주가도 하락 압력을 받게 된다.

    그로스 회장은 최근 들어 미국 국채를 공격적으로 매입해 펀드내 비중을 51%까지 높였다.
    그의 펀드에서 국채 편입비중은 지난 3월 말에만해도 33%에 불과했다.

    150억달러 규모의 헤지펀드 아팔루사 매니지먼트를 운영하는 테퍼는
    `BB'와 `BBB'등급의 회사채를 집중 매입해 펀드내 비중을 올해 초 63%에서 70%로 높였다.

    이밖에 420억달러 규모의 포트리스 인베스트먼트 그룹, 12억달러 규모의 아고너트 캐피털 매니지먼트,
    1천70억달러 규모의 보스턴 투자회사 GMO 등이 모두 고객들에게 디플레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

    헤지펀드 매니저 포니어는 "미국경제가 디플레를 피하려면 2%는 성장해야 하는데,
    우리는 지금 바로 그 부근에 있다"고 말했다.

    한강붕어 10-08-03 10:26
    미국이 경제가 어려운건 사실입니다.

    수출로 먹고 사는 대한민국이 , 미국이 경제가 어려운거지 대한민국은 별상관 없어 하는 생각들,,,

    아직도 디플레는 멀은듯 하고, 거품은 더 커져야 터질듯 합니다.

    다음 정권이 참 어려울듯 하다는 ~~~ .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