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공방

    · 찌만들기에 대한 전반적인 문답과 자작찌의 소개를 위한 공간입니다.
    · 영업을 목적으로 게시물을 올리는게 확인되거나, 판매가 확인되는 경우 경고 없이 아이디차단 됩니다.

    [질문/답변] 찌다리에 편납감아 쓰면?

    삘리리 / 2012-03-29 21:24 / Hit : 8747 본문+댓글추천 : 0

    낚시 하다보면 수심별 사용하는 찌가 있는데요 부력이 제가각입니다
    쌍둥이 x월이 이런것도 있지만 단가가 좀 나가는 관계로~~~~
    그래서 저는 6호고리봉돌 부력정도의 찌의 찌다리에 편납을 감아 4호고리봉돌로 0점 맞춤하여
    사용하는데 이렇게 사용하면 찌의 기능상 문제가 있나요?

    다운 12-03-29 22:50
    찌 오르는데 문제될것이 없지요. 다만
    우리가 밥을 먹을때 볼잘것 없는 음식으로 배부르게 먹는거하고
    맛있는 음식으로 배를 채우는걸 비교하면 맛있는 음식이 포만감과 그뒤에 행복함이 들겠지요.
    마찮가지로 낚시는 할수 있으나 과정을 즐기기에는 부족함이 있겠지요.
    자연 조건에 맞는 찌를 갖고 낚시를하시는게 더 즐거우겠죠.
    물에 뜨기만 하면 모두 모든 물체는 찌의 고유한 기능이 있답니다.
    내일은맑음 12-03-30 08:21
    문제 되지 않습니다

    장찌를 사용하시는 분들 중에 4분할 봉돌을 하시는 분들은
    찌 다리쪽에도 편납을 감고 나머지 봉돌 2개는 원줄, 1개는 목줄에 달아 줍니다
    진야아빠 12-03-30 09:20
    지금 한참 유행인 일요낚시에서 판매되는 올레체비와 방식이 똑같습니다
    문제 될건 없네요
    미니캣 12-03-30 12:02
    제가사용중이네요.70센티찌 부력은4~5호정도합니다.펀납을찌다리와편납홀더에1;1비율로감아서몸통부분까지잠기게찌맞춤을합니다.그리고좁살봉돌채비로나머지찌맞춤을하죠.장점을찌내림이나올림이부드럽씁니다.단점이라면스윙시 약간은 힘듭니다.
    참낚시 12-03-30 16:20
    그러면....찌다리를 짧게해서 찌 몸통만 길게하여 찌다리에 편납을 감고하면..전혀 문제가 없을것 같기도 한데....
    찌 만드시는 분들은 왜 찌다리를 길게 만드는 걸까요?
    장찌라도 찌 탑만 길면 장찌의 역확을 할텐데....
    궁금합니다.
    조하 12-03-30 17:34
    찌톱이 비정상적으로 길면 무게중심이 무너져

    직립입수가 되지 않읍니다.

    사선입수가되기때문이죠.

    찌다리를 길게만드는이유는 제작자의 나름이유가 있읍니다.

    몸통모양 찌톱과 다리와의 굵기 무게 등등
    머피의법칙 12-03-30 18:03
    부력이 많이나오는 찌 다리에 편납을

    감아쓰면 찌가 중후하게 올라오지 않나요???
    wkddusrms 12-03-30 19:21
    그럼 무게중심을 잡기위해 찌탑을 길게하고 찌다리는 짧게하고 편납을 감아 중심을 맞추면 되는 건가요? 개인적으로 찌는 방수만 잘되면 문제될게 없을 것 같습니다 즉 부력의 변화만 없다면 되는데 이런저런 이유로 부력이 틀려지게되므로 친수성찌(물먹는찌)가 나온 것 같습니다 사실 물을 먹어도 부력이 나가기 때문에 오히려 방수자체를 안하고 물에 담가두었다 부력을 맞추고 낚시를 해본적도 많습니다 그래도 낚시하는데 아무런 지장 없습니다
    대물포인트 12-03-30 20:42
    입질을 하였을때 문제가 될것 같네요.
    6호봉돌에서 4호봉돌로 줄이면 2호봉돌 무게많큼 찌다리에 감아서 사용하게 되는데
    입질할때 찌가 찌톱만 수면에 올라오고 찌몸통에 감은 2호봉돌 무게때문에 찌몸통은 수직으로 서있게 되으로
    몸통까지 벌렁자빠지는 시원한 입질을 볼수가 없을것 같습니다
    더중요한것은 찌톱이 올라오는 시간만 입질을 파악할수있고 그이후 몸통이 수직으로 서있을때는 입질파악이 안될것 같네요
    한놈만잡는다 12-03-31 05:52
    (((*^_^*)))

    입수가 마~이 방정맞다해야 되나!!

    어째거나 찌는 표면장력을 이용해 입수하는게

    가장 멋있고 제자리에 안착이 되던데요
    검은콩 12-03-31 22:48
    문제는 되지안치만 완지 부자연 스럽네요
    잉철 12-04-01 02:48
    무시하고 사용하셔도 되지만,
    입질시에, 일시적으로 부력이 깨지는 순간이 있습니다.
    이때 자중이 영향을 미칩니다.
    탑이 무게가 많이 나가는 등, 발란스가 잘못되 입수가 부자연스러울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용하지 않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오로지붕어만 12-04-03 11:24
    고부력의 찌에서는 그영향이 덜하고 오히려 부드러운 찌올림을 보여 주기도 하지만
    저부력의 찌에서는 밸런스를 무너뜨리는 요인이 되기 쉽습니다.
    가는 찌톱의 경우 상당부분이 올라 올때까지 순부력의 감소는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다리의 납때문에 미치는 영향은 생각보다 작습니다.
    공갈찌 12-04-18 11:46
    고수님들이라 잘아시겠지만 채비 방법중에는 자립찌와 비자립찌로 크게 분류 할수있습니다.

    일단 찌를 자립을 하게 할려면 찌다리에 편납을 감는데 그양은 지를 물에 던져 스스로 슬정도로 감되 너무 많이 감으면 찌가 잠기

    니 주의해야 합니다.

    자립찌을 쓰는 경우는 장찌의 경우가 많고 찌의 내림고 올림이 중후하다고들 합니다

    또 찌가 자립이되여 수면에 떠있다 내려가면 원줄의 사선을 비교적 완만하게 할수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하지만 노지에서 이런 자립찌의 채비를 하신다면 그날은 붕순이 얼굴보기 힘들수도 있습니다.[바람에 찌가 영향을 받을수있슴]

    그래서 하우스에서 장찌 하시는 분들이 이런 방법을 주로쓰시고 있습니다 ^^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