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류

    · 천류산업http://www.chunryu.com/ 낚싯대 사용자 정보광장 입니다.

    [질문/답변] 천년학 질문좀 들겠 습니다

    경산돌붕어 / 2015-11-24 23:46 / Hit : 4562 본문+댓글추천 : 0

    안녕하십니까 이번에 천류 식구가될려고 준비중인 경산돌붕어라 합니다 이번에 제가 천년학 으로 갈려고 준비중인데 천년학의 경질성과 질김 어떻한가요 제가 신수향과 수보 일요 영웅 록시 는 사용해 보았 습니다 이중 천년학과 비슷한 경질성과 질김을 가진 낚시대가 있는지요 천년학 사용하시는 형님 아우님들 많은 댓글 부탁 드립니다 그리고 천년학과 설골중 추천 부탁 드립니다

    절묘한타이밍 15-11-25 01:21
    부드러운 123번대에 탄탄한 허리힘 입니다
    중경질대이지만 부드럽다보니 느껴지는게 연질대
    처럼 느껴집니다 연질대라는얘기가 아니구요
    원줄조금강한채비에 작정하고 당기면 당겨나올정도로
    힘은잇어요 고기걸엇을시 수보가 타당타당한다면
    천년학은 부들부들 이런표현이 맞나모르겟네요^^
    옥내림 떡밥 낚시 비중이 더 크시면 천년학이 설골보다
    쪼매 더 전용?로드라 감히 생각합니다
    좋은 낚시대 선택하세요^^
    경산돌붕어 15-11-25 01:49
    절묘한타이밍님 감사 합니다 24부터 52까지 사용할거라서 고민이 많습니다 48까지만 쓴다면 설골을 사용할것 같습니다만 52 또는 56까지 생각 하기에 고민이 됩니다
    미련이 15-11-25 05:34
    절묘한타이밍님이 말씀에 공감합니다
    천년학 56까지 사용해보니 연질대같은 느낌이 이랄까? 투척시는 앞쪽이 낭창하고 챔질시는
    연질대라는 느낌이 없이 붕어가 쑥 뽑혀 올라오고요~ 신수향이나 록시대보다는 연질대라는 느낌이 듭니다
    저는 장대위주로 사용하다보니 천년학의 장점은 가격대비 가볍고 60대까지 구입할수있는반면 단점은 잔 기스가 잘발생함으로
    낚시대,관리를 잘해야하고 48대이상은 앞치기가 힘듭니다
    개인적으로 같은 52대 투척시 설골은 앞치기가 잘되고 포인트에 정확하게 안착되는 대신 무게감이 좀나가고 천년학은
    가벼운대신 앞치기가 힘들어 포인트 공략에 애로점이 있습니다( 순수 개인적인 생각 입니다^^;)
    조사님마다 생각이 다르시겠지만 저는 설골을 추천합니다
    풍경소리™ 15-11-25 08:21
    옥내림 로드로 천년학을 바닥채비 로드로 설골 사용중입니다 천년학은 56칸 설골은 52칸까지 운용합니다
    본문에 적으신 낚시대 중에서 경질성은신수향이 비슷할듯 하나 신수향보단 약간 경질인듯 합니다
    천년학은 밸런스 및 무게에서 설골은 허리힘에서 장점을 나타냅니다
    천년학으로 대상어의 순간적인 제압은 힘듭니다
    대편성시 넓게 하는편이구요
    뽑아내는것이 아니라 손맛을 느끼면서 허리힘으로 제압하기에 좋습니다 또한 대성질이 부드러워 조금 강한챔질이 가능합니다 약한원줄을 쓰는 옥내림에 적합한듯 합니다
    저도 쓰는이유중 하나입니다
    천년학은 48이 최적화되어 있는것 같습니다
    44보다 52보다 앞치기 및 밸런스가 좋습니다 앞치기는 48까지 52 56은 스윙해야합니다
    천년학은 장대에서 장점이 많은것 같습니다
    설골은 이미 많은 낚시인으로써 인정받은 낚시대입니다
    바닥채비 로드로 사용중이나 옥내림으로 써도 될 것 같습니다 48부터는 좀 무겁습니다
    장대보단 28 ~44까지 장점이 많은듯 합니다
    확실히 대상어에 제압력은 천년학보다 우위입니다
    기존 대물대 처럼 경질성이 별로 없는데도 허리힘과 제압력에 낚시인들이 좋은평가를 내리는게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든든함을 느끼시려면 설골입니다
    비교하신 낚시대와 경질성에서 비슷한게 없는것 같습니다
    저같은 경우 원봉돌이나 분납채비에 부력도 조금 있는 찌를 쓰기때문에 52까지 앞치기는 가능합니다 저부력옥내림이라면 48부턴 스윙해야할것 같습니다
    설골은 36칸과 40칸이 제일 느낌이 좋습니다

    천년학도 설골도 고탄성대는 아닌듯 했습니다
    둘다 질김이 괜찮습니다 아직 파손해본적 없습니다

    단점을 적어 보겠습니다
    천년학
    기스 잘 납니다 바트대에 그려진 흰색 학부분이 변색됩니다
    올해 물낚종료후 변색부분 As보낼작정입니다
    될지 안될지 모르겠습니다
    설골
    기포 장난아닙니다
    44대같은경우 바트대 초릿대 2번절번 빼구 전절번 기포입니다 기포는 As해준다하니 이또한 보내야할 듯 합니다

    낚시다 관리를 잘못한 제 잘못도 있겠지만
    이런부분은 아쉽습니다

    개인적으로 느낀점을 적어 보았고
    다른사용자들과 느낀점이 다를수도 있습니다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소팔아낚시해 15-11-25 08:21
    밤낚시 하실때, 비 오거나 이슬비 기타 안개등등등
    절번 사이로 물이 들어가는 낚시대 나올 확률이 아주 높습니다.
    잘돼던 앞치기가 어느순간 낚시대가 무거워져서 안돼요
    비 많이 오는 날 낚시하구 철수할때 마른수건으로 닦고
    집에 와서 뒷마개 열어보면,물이 주루룩...하더군요.
    열대 사용중인데요 두대가 그러네요..귀찮아서 에이에스 안보내구있네요
    살림망두고왔네 15-11-25 09:04
    천년학은 장대 장점이 많은 낚시대이나 경질성 및 든든함은 설골에 뒤집니다.

    초기 불량이 일부 있는 것으로 많은 분들이 지적하싶니다. 시즌 말에 구매해서 채비만 해 놓고 3~4개월 기다리지 마시고,

    봄에 구매해서 최대한 빨리 던져 보시길... 그리고 접을 때 톡톡쳐서 접다가 바트대 뒷마게 나사선과 함께 뒷마게가 날아가는 일이 드물게 있습니다.
    밤을세우다 15-11-25 18:06
    부담없이 장비욕심 버리고 막쓰기에는 설골에 한표 던짐니다.기스 기포 a/s천류 무상처리 해줍니다.
    현제 설골 천년학 둘다 쓰고 있습니다.왠지 대편성시 자꾸설골로만 손이감니다.^^
    경산돌붕어 15-11-25 18:10
    댓글 주신 분들 정말감사 합니다 참그리고 설골48 52 랑 록시 48 52 랑 비교시 앞치기 무게감 비교 좀 부탁 드립니다 꾸벅 ..^^
    하드보일드 15-11-25 19:21
    천년학 물차는현상 거의 해결했습니다 절번뺄때
    공기가 차있는 느낌이 들면 100퍼 물빨아 땡깁니다 그럴때는 뒷마개 열었다 닫아 주시고
    천류에서 그냥 as해주는거 같은데 대문제가
    아닌거 같습니다 대필때 보면 공기가 차있다는 느낌들때는
    대피 접으면 물이 줄줄 흘려요 ㅋㅋ
    근육만두 15-12-02 19:48
    보일드님 글읽고 뒷통수 에서 전기가 팍!! 완전 일리있는 말씀 이십니다..^^ 절번갈이 다섯번이나 했는데 와~~~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