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 공통

    · 포럼 공통게시판으로서 낚싯대 추천, 비교 등의 정보가 제공되는 곳입니다.

    [질문/답변] 65톤 카본에 대한 궁금증....

    나얼 / 2020-06-09 13:41 / Hit : 6437 본문+댓글추천 : 3

    낚시 제조사 및 관계자 분들도 월척 사이트에 자주? 들리시는것

    같습니다.

    제 질문은 제조사 관련분이나 사장님께 드리고 싶은 건데요..

     

    저희가 양어장 32칸에대한 선택 조언을 올리면 자주 거론되는게

     

    청프와 보라매골드 지금은 보라매 스마트? 하도오랜만이라..ㅋ

     

     

    하여튼  보라매가 가벼우면서 빳빳한 이유가  65톤 카본 재료때문으로 아는데..

    생산량을 맟추지를못해 없어 못파는걸로 압니다...

     

    그렇다면 다른 낚시대 제조사들은 왜 65톤 카본낚시대를 생산하지 않는건가요?

    만들기가..정말 엄청나게 힘든건지  아니면 가격타산?

    이 안맞는건지... 너무 궁금해서 이렇게 질문 올립니다.


    ♣지란지교♣ 20-06-09 16:02
    제조사들이 말하는 카본 톤수는
    전제 절번 중에 가장 많이 들어간 절번의 카본 함량이지 낚시대 전체 카본 함량이 아닙니다. ^^*
    나얼 20-06-09 19:01
    아. 근데 다른재조사들도 실력이 없지는 않을텐데 왜 보라매 같은 낚싯대를 못만들까요?
    빰빰 20-06-09 20:49
    쉽게 말씀드릴게요 톤수가 높을수록 파손율이 높아요 톤수가 낮을수록 파손율은 적어요.... 이유는 설명할려면 조금길어 생략하고... 아무튼 그이유를 까져보면 약하고 가벼운대(톤수높음) 이걸 못만드는 것은 아닙니다. 그런선택을 조구사에서 하지않을뿐이죠. 대물대물 하는 요즘 대물이란 놈을 견뎌낼려면. 아니면 사용상 작은충격에도 잘견디는 대를 만들어낼려면 너무높은 톤수보단. 적당한 톤수를 찾아야하고 또한 톤수높을수록 가격도 올라가니 사람들이 많이 찾지않겠죠 ... 가격을 맞추려면 어느정도 타협이란게 있어야 하는데 그 이유로 높은톤수만 고집해서 만들수 없는 부분입니다
    붕애랑 20-06-09 20:51
    낚시대의 파손율이 높아서 잘못하면 회사의 이미지까지 망칠수 있으니 쉽게 재작하기가 우려울겁니다..
    AS발생은 회사이미지를 망치고 다른제품에 까지 영향을 미칩니다..
    빰빰 20-06-09 20:52
    톤수낮다=질기다 톤수높다=순간충격에 유리처럼 뿌러질 확률이 올라간다 .... 이정도만 서로 상반대는 관계를 이해하신다면 너무 높은 톤수만 고집해선 안된다 라는 결론이 나오네요
    나얼 20-06-10 00:06
    댓글주신 모든분들 감사드립니다.
    최만수르 20-06-10 10:46
    가격이 높아지면 구매자는 줄어들고 파손율 높으면
    골치 아파지고 장사꾼은 돈안되면 안하죠
    나얼 20-06-10 11:09
    제가 댓글 하나 하나 다 읽어보았는데 결론은..

    카본 톤수가 높으면 파손율이 높다, 가격도 비싸다 고로 이걸 찾는
    수요가 적어 생산을 안한다.. 라고 하시는거 같은데..

    지금 보라매 한대에 40~50만원하는 낚시대는 생산을 못맟춰 팔수없을만큼
    인기가 좋은이유는...

    파손율 높은 재료로 잘 만들기 때문.. 즉 그 회사가 실력이 대단히 좋다
    이렇게 해석 할수 있는건가.....싶네요
    참고로 전 그회사랑 아무런 일면 일식도 없으며.. 장비병에 걸린 환자라는점
    알려드립니다. (__)
    ♣지란지교♣ 20-06-10 11:50
    소비가 많아 생산이 원활하지 못한 것 보다는 생산 인원이 한정이 되어 있어서 그런 듯 합니다.

    저도 초기 나루예몰을 통해 보라매스마트를 구입했는 데 32칸과 29칸 구입을 하고, 다른 칸수를 구입하기 위해 두 달을 기다려도 생산이 되지 않아 처분했습니다.
    나루예에서 팔기 시작하면서 양어장에서 사용하는 짧은 칸(29, 32) 위주로 생산을 하다보니 다른 칸 수 생산이 원활하지 않았고, 생산 인원은 한정이 되어 있는 데 다른 낚시대도 OEM으로 생산을 한다고 들은 듯 합니다.

    보라매 스마트는 호불호가 갈리는 데 청프처럼 가벼우면서 샤프한 느낌보다는 둑탁하고 묵직한 느낌의 낚시대로 카본 톤수가 높은 낚시대처럼 느껴지지는 않았습니다.

    지금 40 - 50만원인지는 모르겠지만 제가 구입할 당시 받았던 보라매스마트 가격입니다.

    18칸-55그람-150,000원
    20칸-60그람-160,000원
    22칸-63그람-175,000원
    24칸-70그람-190,000원
    26칸-80그람-205,000원
    28칸-85그람-220,000원
    29칸-92그람-230,000원
    30칸-98그람-240,000원
    32칸-100그람-250,000원
    34칸-118그람-265,000원
    36칸-124그람-280,000원
    38칸-156그람-295,000원
    40칸-165그람-310,000원
    42칸-190그람-325,000원
    44칸-195그람-350,000원
    46칸-225그람-375,000원
    48칸-230그람-400,000원
    나얼 20-06-10 12:03
    아. 저는 보라매 골드 말씀드리는건데 지금 이름이 안바꼈나..모르겠네요
    ♣지란지교♣ 20-06-10 17:10
    네. 보라매 스마트가 보라매 골드와 같은 카본이라고 하고, 도장 부분의 차이라고 합니다. ^^*
    달빛흐르는강가 20-06-10 21:26
    카본 톤수가 올라갈수록 제조비용이 급격히 올라가며 순간적인 충돌이나 힘에 파손률이 올라가겠죠
    낚시대 성질을 잘 파악해서 사용하면 낮아질거에요
    알콜조사 20-06-11 01:24
    카본 톤수가 높을수록 원단의 가격은 상승하나
    엄청난 차이가 나거나 그러지 않습니다.
    부담이 될 정도로 비싸지 않습니다.
    대물 낚시 로드의 성질상 고톤과 저톤의 카본을 적절히 사용하며 절번마다 비율이 틀립니다.
    중국대가 보통 고톤을 주로 사용하는데 보통 60~65톤 그렇다고 특별히 어마무시하게 비싸지 않죠.
    국내 버젼은 또 다릅니다...^^
    낚시 환경과 유저의 스타일이 우리나라와 많이 다릅니다.
    언급하신 낚시대는 노지 대물 낚시에서 사용하기엔
    적합하지가 않습니다.
    수중 수초,수몰 나무 등등 양어장과는 환경이 많이
    다르죠.
    못 만든다 보다는 안 만든다가 맞을겁니다.
    나얼 20-06-11 08:13
    그렇군요 보라매 골드가 예전에 30마넌 초반대인걸로 기억하는데 오히려 가격이 내렸내요 ㅎㅎㅎ
    좋은,감사한 댓글 감사드립니다
    제이킥 20-06-15 17:58
    보골 두셋을 몇년동안 보유하다 처분했지안 좋은낚시대인것만은 사실입니다. 청프와 비교해도 마감이나 기타면에서도 절대 떨어지지않는 낚시대이나 요즘 트랜드에는 맞지않죠..바트대가 맥없이 부러지는경우도 있고(한번 서비스 받았습니다) 양어장 떡밥대로는 훌륭하나 대물낚시하기엔 좀 무리수가 있죠..전 노지에서 옥내림 다대편성을 했는데 늘 불안해서 3년정도 쓰다 분양했습니다..카본이 높으면 가볍도 탄성이 좋으나 파손의 위험을 늘 안고 가야하기때문에 호불호가 갈리는것같습니다
    허수아비 20-06-16 01:04
    보골은 노지는 별로고 양어장에서는 좋다고 합니다.
    똥다구리 20-06-18 11:29
    전 지금 금호(중국)대 5.0대 쌍포 5.5쓰고있는데 아주좋던데요...
    카본원사가 일본토레이사 제품으로 80ton 으로 해서인지 가볍고 좋던데요...
    가격은5.5대 현금180,000원
    붕킬러 20-07-05 19:40
    늦게봤네요 보골 하고 보스 둘은 완전다른느낌입니다

    그리고 보골.. 그리 인기있는 제품은 아니죠 낚시대는 좋습니다

    고급대인만큼 가격이 높죠 그만큼 수요가 많지 않아요



    2024 Mobile Wolchuck